선비의 고고한 멋이 한껏 풍기는 ‘한옥’. 수백 년을 내려오며 조상들의 슬기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한옥은 기왓장 하나하나, 층층이 쌓인 돌담도 모두가 문화재와 같은 비범함이 맴돈다. 위압감을 풍기며 치솟은 솟을대문은 더 높은 선비의 정신이 녹아 있으며, 넓지는 않지만 정성이 가득한 마당과 정원에는 소박함이 묻어난다. 손때가 묻어 반질반질 윤이 도는 대청마루는 그 하나만으로도 아늑함을 선사한다. 불편할 것 같은 방안은 나름대로의 편안함을 선사한다.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남루하지 않은 멋이 있고, 비슷한 것 같아도 숨은 의미가 남다른 기와집이 바로 수백 년을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한옥이다. 오랜 세월 우리의 DNA 속에는 향수로 자리 잡은 한옥은 불과 한 세기 사이에 자취를 감추고 사방이 꽉 막힌 콘크리트 건물에 갇히고 말았다. 그 옛날부터 마을을 차지했던 한옥은 언제부턴가 하나둘 사라지고 그 곳에는 콘크리트 더미가 차지했으며 한옥은 이제 ‘고택(古宅)’이라는 이름으로 관광지로 변했다. 오래된 것들은 사람을 편안케 한다. 하루 종일 눈으로 보는 것은 콘크리트 건물이거나 유리뿐인 환경을 벗어나 오래된 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고택을 방문하면 마음이 그렇게 편할 수가 없다. 이번 기획취재는 고택의 재평가도 아니고 그렇다고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기사는 더욱 아니다. 어디에 내 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함양의 문화유산, 고택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우리의 문화유산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되새겼으면 한다. <편집자 주>1. 고택의 향기를 품은 함양2. 일두 고택에 흐르는 기품3. 풍천노씨 대종가와 하동정씨 고가4. 오담 고택과 노참판댁5. 우명리 정씨고가와 허삼둘 가옥6. 과거로 현재를 만드는 전주 한옥마을7. 전통이 살아 숨쉬는 안동 양동마을3. 풍천노씨 대종가와 하동정씨 고가수백 년을 내려오는 유서 깊은 종가. 함양 개평 한옥마을의 종가들은 높다랗게 솟은 대문을 지나면 위엄이 서린 사랑채와 여자들만의 공간인 안채, 그리고 곳간과 사당 등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함양의 종가를 찾으면 넉넉한 미소를 머금은 종부를 만나고, 자연과 합일된 종가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기품이 흐르는 풍천노씨 대종가지난해 함양문화원에서 주최한 풍천노씨 입향조 송재 노숙동(松齋 盧叔仝, 1403~1463) 선생을 재조명하는 학술회의가 열렸었다. 송재 선생의 생애와 학문, 그리고 시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세조 때의 청백리 송재 선생은 일두 정여창 선생의 고모집 사위로 처가인 개평마을에 자리를 잡고 이사를 오면서 지은 집이 현재의 풍천노씨 대종가이다. 송재 선생은 조선시대 수많은 벼슬을 지내면서도 조금도 민폐를 끼치지 않아 세조때 청백리로 녹선[祿選]되었고 상호군으로 보하여 졌으며 1701년 도곡서원에 재향됐다.15세기 송재 선생의 대종가는 경남문화재자료 제34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종도리에 있는 기록을 통해 1824년(조선 순조 24)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70여 년 전에 중수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대문간, 안채, 사랑채, 이래채, 곡간채, 사당 등 6동의 건물이 남아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에 전·후 퇴를 두고 팔작지붕이며 5량 구조이다. 기둥은 방주를 사용하였고 약한 민흘림이 있다. 아래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1칸,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이며, 대문간채는 솟을삼문 형식이다.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사랑채가 한눈에 들어온다. 사랑채에서 눈여겨 볼 부분은 송재 선생이 자손 대대의 법도를 삼게 한 ‘팔자유훈’이다. 성(誠), 신(信), 염(廉), 공(公), 근(勤), 간(簡), 화(和), 혜(惠) 등 8자의 지켜야 할 법도는 벼슬길에 오르는 큰아들에게 훈계한 것이지만 아들 훈계에 그치지 않고 대대로 자손을 위한 법도로 삼도록 하고 사랑채 정면에 걸어 놓았다. 후손들을 엄격하게 가르쳤던 풍천노씨 대종가의 가풍을 어렴풋이나마 느낄 수 있는 대목이다. 사랑채를 돌아 나지막한 철 대문을 넘어서면 마당과 안채를 만나게 된다. 마당에는 소나무와 화초를 비롯해 콩과 오이 등 갖가지 식물들이 심겨져 있다. 이는 최근에 후손들이 심었으며 예전에는 넓은 마당으로 존재했다고 한다. 안채는 현재 대종부가 살고 있는 곳으로 잘 관리된 모습이 보여 진다. 아래채에도 사람이 기거하고 있다. 안채 뒤편 사당에는 잡인들의 출입을 엄격하게 제한하며 자물쇠로 단단히 잠겨 있다. 안채는 종부가 생활하기 편하도록 대부분 개조했으며, 부엌도 현대식으로 바뀌었다. 부엌문은 옛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풍천노씨 대종부의 넉넉한 미소 아무도 없는 대종가를 기웃거리는 도중 웃음으로 맞아주는 풍천노씨 17대 대종부를 만날 수 있었다. 시어머니가 돌아가시고 16년 전부터 대종가를 지키고 있는 대종부는 고성 지역에서 덕망 높은 함안 이씨 가문에서 태어나 방년 20세에 가마를 타고 시집왔다. “우리 가문도 대단한 집안이었지. 그러니까 대종가 맏며느리로 들어온 거고” 환하게 미소 지으며 종가를 설명했다. 여든여섯 대종부는 조금은 불편한 몸이지만 집안에 있을 때는 대문을 활짝 열고 손님들을 반긴다. “대종가를 보러 왔는데 집을 보고 가야지”라며 언제나 먼저 손짓한다. 대종부는 “사람 사는 집에는 사람들이 와야 생기가 도는 것”이라며 반기며 처음 함양으로 시집오던 이야기부터 시작해, 대종손을 따라 각지에서 생활했던 이야기, 6남매를 키우고 손자 손녀 뒷바라지를 위해 캐나다에서 머물던 이야기, 함양에 머물며 종가를 지키는 이야기 등 80여년 삶의 이야기 주머니를 풀어냈다. △남부지방 사대부가의 전형 하동정씨 고가경남문화재자료 제 361호로 지정된 하동정씨 고가는 안채, 사랑채, 대문채로 구성되어 있다. 1880년 지은 집으로 건립 당시에도 사대부가의 저택답게 사랑채를 비롯한 여러 건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모두 훼철되고 현재의 모습만 남아 있다. 특히 안채는 남도의 특징인 일자형 건물에 개방형이며, 건물 배치 방식에서 조선 후기 남부지방 상류주거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 좋은 학술적 가치가 크다. 또한 보존상태도 양호한 편이다. 정면 6칸 측면 1칸에 전후퇴를 둔 안채는 맞배지붕으로 부섭지붕을 하였으며, 상량문의 기록으로 볼 때 1644년에 건축된 것으로 보여진다. 정면 2칸의 대청은 퇴를 합하면 4칸의 규모를 가지며 활처럼 휘어진 대볼보위에 5량의 가구를 두었고 판대공을 설치하였다. 배면퇴와 후면퇴에는 머름을 두었으며 큰 방과 인접한 후퇴칸에는 뒤주처럼 보이는 수장처를 두었다. 창호는 판장문으로 처리했으며 대청의 가운데 기둥을 연결하는 장귀틀은 3개의 부재를 이어 촉으로 고정시켰다.△공간(空間)도 아름다운 하동정씨 고가하동정씨 고가는 많은 건물들이 훼철되어 안채와 솟을대문, 사랑채만이 남아있다. 많은 건물이 헐리며 예전에는 대문을 통해 들어가야 했었지만 지금은 큰길가 쪽으로 담장이 없어 관광객들이 담을 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도로에서 고택으로 들어간다. 헐린 건물터가 공터로 남아 어느 고택보다 넓은 정원이 만들어졌다. 넓은 마당에서는 주말이면 다양한 문화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 대문을 들어서면 만날 수 있는 넓은 정원에는 오엽송과 향나무, 사과나무, 벚나무, 매화 등 정원수가 적절히 배치되어 고가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나무 사이로 놓인 길을 따라 멀리 보이는 고택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후손들이 자주 들러 집안을 손보고 있는 고가는 곳곳에 삶의 흔적이 남아 있다. 얼마 전 불을 피운 것 같이 아궁이에서 신선한 숯 냄새가 풍긴다. 반질반질 윤기가 도는 고택 마루에는 집 주인들이 사용하는 소파가 놓여 사람이 기거하는 곳임을 보여준다.전형적인 남부지방 사대부가의 모습이었을 옛 하동정씨 고가의 모습을 그려 보려 노력했지만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많은 부분이 헐리고 바뀌면서 부족한 지식으로는 상상하는 것조차 어려워 아쉬움이 남았다. 강대용 기자 ※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