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장세상을 뒤덮을만한 큰 공로로 일개 긍(矜)자 하나를 당해내지 못하고 하늘에 가득한 큰 조 l도 일개 회(悔)자 하나를 당해내지 못하리라.<원문原文>蓋世功勞(개세공로)라도 當不得一箇矜字(당부득일개긍자)이고 彌天罪過(미천죄과)라도 當不得一箇悔字(당부득일개회자)니라. <해의解義>아무리 큰 공로라도 자랑하거나 뽐내게 되면 그 순간 지금ㄲ지의 공적이 무너지게 됨을 교훈한 글이다. 큰 공일수록 대개 여러사람의 힘이 뭉쳐서 이룩된 것인데 이것을 자기 혼자만의 노력으로 되었다고 믿고 자만하면 자기 발전도 이루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비난도 막을 길이 없다. 그러므로 노자(老子)는 ‘공성이불수(功成而不守)’라고 했다. 큰 공을 세울수록 더욱 삼가고 겸손한 태도를 지녀야 이룩한 공적과 함께 자기 자신도 온전히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세상에 공을 이룬 사람들은 마땅히 이 ‘자랑할 긍(矜)자’를 겁낼 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아무리 큰 잘못을 저질렀다고 할지라도 후회하고 반성한다면 그 잘못도 용서될 수 있다. 후회하고 뉘우친다는 것은 바로 본연지성의 복귀요, 이후 다시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겠다는 다짐이며 약속인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인간본래의 선(善)을 볼 수 있으며 아무리 죄가 무거운 사람이라도 존엄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아무리 큰 죄라고 하더라도 ‘뉘우칠회(悔)’를 감당할 수는 없는 것이다.<주註>蓋世(개세) : 온 세상을 뒤덮음, 엄청나게 큰 것을 의미함. 當(당) : 감당하다. 당해내다. 不得(부득) : ~할 수 있다. 一箇(일개) : 한 낱. 矜字(긍자) : 긍이라는 글자, 자랑하다, 뽐내다의 읨. 彌天(미천) : 하늘에 가득차 있음의 뜻. 이것도 대단히 큰 것을 의미함. 悔字(회자) : 회자라는 글자, 뉘우지다, 후회한다는 의미임.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