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에게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욕구임과 동시에 즐거움은 먹는 것이다. 먹는다는 것은 그 만큼 사람들에게 절실한 것임과 동시에 오감을 자극하는 즐거움이기도 하다. 먹을 식(食), 밥 식(食) 자는 사람 인(人)과 어질 양(良)으로 구성돼 사람의 먹을거리가 인성에까지 작용한다는 선현들의 지혜가 담겨있다. 즉, 무엇을 먹느냐가 인성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것. 그만큼 사람에게 먹을거리는 중요하다. 이 같은 먹거리는 지역 마다 고유의 향기를 가지고 있다. 어느 한 지역의 문화와 전통, 사회와 경제 등 그 지역이 가지고 있는 생활양식이나 사고방식, 그리고 정서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이 음식이다. 그래서 향토음식만으로도 그 지역의 특성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다. 이런 의미에서 음식은 단순한 상품구매의 장소가 아닌 하나의 문화로써의 그 의미 자체를 더하고 있다. 주간함양은 함양의 전통 먹거리 향토음식을 찾아 그 먹거리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한편, 향토 음식 발굴의 중요성과 음식거리의 발전을 위한 방안 등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편집자 주> 1. 100만 관광객, 그러나 먹거리가 없다.2. 함양의 먹거리 - 향토음식3. 함양의 먹거리 - 종가음식4. 선비의 고장 안동의 종가음식5. 세계적인 먹거리 전주비빔밥6. 함양의 먹거리로 관광객을 사로잡자 100만 관광객, 그러나 먹거리가 없다 춘천 닭갈비 막국수, 전주 비빔밥, 벌교 꼬막, 영덕 대게, 마산 아구찜, 하동 제첩, 봉평 메밀, 제주 흑돼지, 횡천 한우... 음식 이름이 그 지역의 대명사처럼 불리어지는 곳들이다. 그 지역을 대표하는 음식 하나로 지역 상권이 살아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기도 하다. 지역의 대표 음식은 음식에 머물지 않고 거대 상권을 형성한다. 음식이 춘천 닭갈비를 먹기 위해 한해 천만명의 관광객들이 찾는다는 것만 보더라도 지역의 대표 음식 한 가지가 갖는 힘은 실로 대단하다 할 수 있다. 한해 함양을 찾는 관광객은 수백만명인 상황에서 아직까지 소위 말하는 뜨내기 관광객들이 대부분이다. 함양에서 머물며 소비하는 관광객들보다 잠깐 스쳐 지나가는 관광객들이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함양 향토 음식의 현 주소 함양의 대표 음식은 무엇일까? 함양 사람들에게 물으면 대부분이 ‘흑돼지’ ‘어탕’ ‘연잎밥’ ‘안의갈비’ 등을 말한다. 그러나 이는 함양 사람들만 알 뿐 함양을 조금만 벗어나면 알지 못하는 것들이다. 이와 같은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함양군에서 다양한 사업들을 벌이고 있다. 군은 향토음식을 발굴하고 이를 육성하기 위한 사업들과 함께 함양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함양을 알리고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한 음식거리 조성을 등을 추진하고 있다. 군은 지난 2011년 5월 함양건강백세음식점 10개소 업주가 참석한 가운데 대표음식 맛 개발과 활성화 방안관련 설명회를 개최했다. ‘함양건강백세음식’으로 명명된 이번 사업은 함양의 대표음식을 브랜드화 해서 홍보를 강화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것이다. 이날 선정된 건강백세음식점은 흑돼지고기 식당 5곳, 산채정식/비빔밥 3곳, 연잎밥 1곳, 붕어탕 1곳 등으로 군은 대표음식 맛 개발 및 메뉴, 연구, 판매전략, 함양건강백세음식점 연합회 구성 및 운영방안, 외부관광객 대상으로 할인쿠폰 및 할인관련 방법 등 향토 음식을 발전을 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었다. 그러나 4년이 흐른 지금 건강백세음식에 대한 관심과 인지도에서는 유명무실해질 정도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함양건강 100세 음식지구 이와 함께 군은 국비와 도비, 군비 등 모두 6억50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지난 2012년 6월부터 상림공원 주변 21개 업소를 대상으로 ‘함양건강 100세 음식지구 조성사업’을 벌였다. 2014년에는 농식품부가 주최한 우수외식업지구 육성사업 워크숍에서 ‘올해의 우수외식업지구’로 대상을 받기도 하는 등 발전 가능성을 보였다. 이에 따라 군은 2018년까지 국비 포함 총 11억 4400여만 원의 예산을 확보해 올해 1억 2200만 원을, 내년부터는 3억여 원을 투입해 공격적으로 테마지구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곳들은 시민들의 각별한 관심과 행정의 지원으로 음식 테마거리가 조성된 이후 고객의 발길을 점차 늘고 있으나 관광명소로 발돋움하기에는 아직 미흡한 편이다. 음식 테마거리라는 번듯한 간판에도 불구하고 차별화된 이미지 구축과 고객유인을 위한 마케팅 전략, 영업주들의 마인드 부족 등 과제가 산적하다. 관광 명소인 상림 인근에는 사람들로 북적이지만, 향토 음식을 테마로 한 먹을거리 명소는 찾아볼 수 없다는 지적들이 계속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 군은 안의면 한우갈비탕음식점 시설 등을 보완해 ‘안의 한우갈비탕 거리’ 조성과 함께 마천면 곳곳에 산재한 흑돼지 음식점을 개선해 `마천 흑돼지 향토음식거리`를 만들 계획을 가지고 있다.  선비의 고장 함양의 종가음식 선비의 고장 함양에는 고고한 선비정신을 이어오며 전통을 자랑하는 이름난 명문 종가들이 뿌리내리고 있다. 종가들의 오랜 전통 속에 담겨 있는 먹거리를 발굴해 종가음식을 재조명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군은 새로운 관광체험상품으로 각광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함양종가음식 발굴사업 최종용역보고회’를 개최하고 함양에 뿌리내리고 조상대대로 살아온 하동정씨 종가음식 2종, 풍천노씨 2종, 남원양씨 2종 등 총 3대 종가 음식 상차림 6종을 발굴했다. 정소혜 여사(하동정씨 죽헌 정태현 어른 후손)를 통해 발굴한 2개 하동종가음식 상차림은 조선 성종 때 문신으로 안의현감을 지낸 일두 정여창선생의 얼과 기품이 스며있는 잔칫상과 주안상이다. 또한, 이정호 여사(사초 노근영 선생의 며느리)가 전하는 풍천노씨의 2개 음식은 함양 바둑의 전통을 뿌리내린 한 사초 노근영 선생의 배려가 담긴 국수상과 다과상이다. 박경숙 여사(일로당 양관 어르신의 15대 손부)가 전하는 남원양씨 종가음식은 일로당 양관의 정신과 함양의 자원을 닮은 손님상과 건진국수다. 이외도 이날 발표회에서는 종가음식을 널리 보급할 종가음식 브랜드 네이밍으로 ‘정성과 예를 담은 밥상’이라는 뜻의 ‘예다믄’과 개평마을 한옥대문에서 모티브를 딴 심벌로고도 개발 보고됐다. 군은 이날 보고회를 기점으로 평가회를 거쳐 종가음식 전수교육과 함께 스토리텔링과 개발상차림, 표준레시피가 담긴 홍보책자를 제작, 본격적으로 종가음식 보급에 나설 계획이다. 음식거리 풀어야 할 과제 산적 음식은 단순하게 먹거리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음식은 한 지역의 정서에서부터 시작해 풍토와 역사, 경제, 사회상 등 갖가지 내용을 함축하고 있는 중요한 문화의 한 축으로 여겨진다. 이 같은 의미에서 음식은 단순 배를 채우기 위한 먹거리에서 머물지 않고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서 각 지자체들이 앞 다퉈 지역의 대표 향토식품을 개발하고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지역의 특징을 살린 음식거리가 조성되고 있다. 함양군에서도 수년전부터 향토 음식을 발굴하고 이를 육성하기 위해 ‘함양건강백세음식’을 지정하는 한편 상림 인근 식당가들을 하나로 묶어 ‘100세 음식 거리’를 조성하는 등 그 열기에 편성하고 있다.   함양군에서 추진한 향토음식의 경우 흑돼지고기, 산채정식 비빔밥, 연잎밥, 붕어탕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식당 등을 선정해 의욕적으로 추진한 사업이지만 제 궤도에 올라서지 못하고 있는 모양새다. 그리고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는 이유로 상림 인근의 식당 밀집지역을 묶어 무조건적으로 100세 음식 거리를 지정했다. 아무런 특색 없는 음식거리 조성은 소비자들의 발걸음을 돌리게 하는 요인이 된다. 향토음식과 연계한 음식거리 조성은 그 지역, 함양지역의 정체성을 부여하면서 미관개선, 상인들의 자발적인 노력과 의식개선, 주차문제 등은 지자체와 상인 등이 앞으로 함께 풀어나가야 할 과제다. 종가음식은 이제 막 걸음마 단계에 접어들었다. 사라져가는 종가음식에 대한 재조명은 이뤄졌지만 이를 더욱 발전시키고, 현대인의 입맛에 맞게 재탄생 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군민이나 관광객들에게 선보이는 일도 남아있다.강대용 기자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