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대표적인 교육기관으로 우리지역에서 동방5현 중 한분인 일두 정여창 선생을 모신 남계서원. 남계서원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유서 깊은 곳으로 대원군의 서원철폐 정책에도 살아남았을 만큼 긴 세월을 자랑한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서원의 가치는 이제 단순 교육기관을 넘어 분명 그 역사적 과정과 인류의 보편적 가치라는 차원에서 세계인들과 함께 공유해야 하는 문화자산임에 틀림없다. 최근 남계서원을 비롯해 우리나라 9개 서원을 대상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남계서원과 경북 영주의 소수서원, 경주의 옥산서원, 안동의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대구 달성의 도동서원, 전남 장성의 필암서원, 전북 정읍의 무성서원, 충남 논산의 돈암서원 등이 그곳이다. 오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다면 남계서원 등 9개의 서원은 우리의 문화자산을 넘어 ‘전 세계 인류의 공동유산’으로 인정받게 된다. 1회 서원의 중심 남계서원, 그리고 세계문화유산2회 한국의 서원①(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3회 한국의 서원②(옥산서원, 도동서원)4회 한국의 서원③(필암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5회 남계서원, 세계문화유산이 되려면 퇴계의 성리학이 꽃을 피운 안동의 도산서원.병산서원최초의 사액서원인 영주 소수서원과 그 속의 선비정신 경북 안동시와 영주시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선비의 고장이다. 곳곳에 서원과 향교 등 조선시대 교육시설이 즐비한 이들 두 지역은 우리나라 성리학을 이끈 대표적인 곳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인 영주시의 소수서원, 퇴계 이황 선생이 공부했던 곳이며 선생 사후 사액서원이 된 도산서원, 그리고 서애 류성룡 선생이 심혈을 기울려 자리 잡은 병산서원 등 우리나라 대표적인 서원의 고향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에서부터 성리학의 꽃을 피울 수 있었던 수많은 서원들이 자리 잡았던 지역 찾았다. 퇴계 선생의 숨결이 살아있는 도산서원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이 1561년(명종16년) 현재의 위치인 안동시 도산면에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세워 학문을 정진하며 제자들을 가르치던 곳이다. 이후 선생 사후 4년 뒤인 1574년(선조7년)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퇴계 선생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도산서당 뒤편에 서원을 짓고 선생의 위폐를 모셨다. 1575년 선조로부터 ‘陶山(도산)’이라는 편액(扁額)을 받으며 사액서원이 되었다. 도산서원은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는 동시에 영남유림의 정신적 중추 구실을 했다. 도산서원으로 접어드는 약 1km의 길을 지나면 관리사무소와 만난다. 가을 초입으로 여기저기 단풍나무들이 물든 모습이 다른 세상으로의 여행을 하는 것 같다. 도산서원의 인기 관광지로서 주차료는 승용차 2000원과 입장료 1500원을 내고 들어가야 한다. 관리사무소에서 300m 정도 안동호의 풍광을 감상하며 걸으면 우리나라 성리학의 산실 도산서원을 만날 수 있다. 도산서원에 들어가기 전 오른편에는 안동호 건너 섬 같은 시사단(試士壇)을 볼 수 있다. 이 시사단은 정조16년인 1792년 정조임금이 평소에 흠모하던 퇴계선생의 학덕을 기리고 지방선비들의 등용문으로 선비들의 사기를 높여주기 위해 어명으로 실시된 특별과거인 도산별과(陶山別科)를 실시한 장소다. 도산서원도 우리나라 전통 서원의 전형인 전학후묘(前學後)의 모습을 보여준다. 앞쪽으로는 학문을 정진할 수 있는 전교당과 동재, 서재, 장판각 등이 있으며, 건물 뒤쪽으로는 선현을 배향하는 상덕사가 자리 잡았다. 여타 서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누대가 없는 것이 이 곳의 또 다른 특징이다. 문화관광해설사는 “퇴계선생님이 후학들이 공부에 매진할 수 있도록 대를 만들지 않았나 생각된다.”라고 설명했다. 도산서원은 정문을 통과하면 오른쪽으로 퇴계 이황 선생이 말년에 공부를 하며 후학을 양성하던 도산서당을 만난다. 퇴계선생이 4년에 걸쳐 지은 건물로 선생이 거처하던 방은 완락재(玩樂齎)라 했으며, 마루는 암서헌(巖栖軒)이라 하였다. 서원 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도산서당은 선생이 직접 설계를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문 왼쪽으로는 학생들이 생활하던 기숙사인 농운정사(隴雲精舍)도 도산서당과 함꼐 지은 것으로 퇴계 선생이 제자들에게 공부에 열중하라는 뜻에서 건물을 한자의 工자 모양으로 지었다. 동편은 시습재(時習齋), 서편은 관란헌(觀瀾軒)이라했다. 이어 본격적인 학문의 전당으로 들어서는 진도문과 마주한다. 진도문 양 옆 누각으로 지어진 광명실(光明室)은 책을 보관하던 서고로 현판은 퇴계선생의 친필이다. 진도문을 지나면 보물 제210호 전교당(典敎堂)과 사액현판인 ‘도산서원’을 볼 수 있다. 스승과 제자가 함꼐 모여 학문을 강론하던 대강당으로 서원의 중심이 되는 건물이다. 도산서원은 조선 명핑인 한석봉이 글씨다. 전교당 뒤편 퇴계 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 상덕사(尙德祠)는 보물 제21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봄과 가을 두차례 퇴계 선생의 유덕을 추모하는 행사가 봉행되는 곳이다. 상덕사에는 이황과 제자 조목(趙穆)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도산서원은 유네스코 등재가 추진 중인 9개서원 가운데 년 간 관람객이 약 100만으로 관람객 수로는 최고를 자랑하며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에서는 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선비문화체험을 실시해 수만명의 인원이 이용하고 있다. 자연과 하나 된 병산서원 안동의 명소 화회마을 인근에 자리 잡은 병산서원은 비교적 후대인 1863년 사액된 서원이다. 병산서원(屛山書院)은 류성룡과 그의 셋째아들 류진을 배향한 서원으로 빼어난 자연경관이 병풍을 둘러 친 듯하여 ‘병산’이라 불렸는데, 뒷산인 화산(花山)을 등지고 앞으로 낙동강이 흐른다. 병산서원과 화산 뒤편으로는 화회마을이 자리 잡고 있어 등산로나 선비길을 걸으면 도달할 수 있다. 병산서원은 도산서원과 다르게 관광객들의 발길이 비교적 적은 곳으로 약 2km 가량의 비포장 도로를 달려가면 서원과 만날 수 있다. 세계문화유산에 잠정 등재되어 포장을 할 수 없다는 것이 해설사의 설명이다. 사적 제260호인 병산서원은 서애 류성룡(柳成龍, 1542~1607) 선생이 1572년 풍산읍에 있던 풍악서당을 이곳으로 옮겨온 것으로 1863년(철종 14년) ‘병산(屛山)’이라는 사액을 받았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속에서도 헐리지 않고 그대로 살아남은 47개 서원중의 하나이다. 병산서원의 건물배치는 전학후묘(前學後墓)의 배치의 원리에 따라 정문에서 시작해 앞쪽에는 학문을 배우고 익히는 강학공간으로 구성하고, 중앙의 강당을 지나면 서원 뒤쪽 가장 높은 곳에 배향 공간인 사당을 배치했다. 병산서원의 강학건물은 복례문, 만대루, 동서재, 입교당, 장판각 등이 있으며, 제향건물로는 신문과 존덕사, 전사청, 그리고 서원의 일을 맞아 보던 부속시설은 고직사와 달팽이 뒷간 등 건물들이 영역에 맞춰 구성되어 있다. 병산서원의 삼문 중 하나인 복례문(復禮門)을 지나면 우리나라 누각 중에서 손꼽히는 만대루(晩對樓)를 볼 수 있다. 만대루는 자연 지형을 그대로 이용해 지은 건축물로 정면 7칸, 측면 2칸으로 나눠졌으며 휴식과 강학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관광해설사는 “인공적인 서원건축과 자연사이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건물로 우리나라 서원 건축의 백미”라고 소개했다. 만대루를 지나면 본격적인 강학공간인 입교당과 동서재를 만날 수 있다. 서원의 중앙에 위치한 입교당은 ‘가르침을 바로 세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남계서원’의 현판이 웅장하게 걸려 있다. 양 옆으로는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로 나뉘는 유생들의 기숙사 건물이 나란히 마주보고 있다. 사당(祠堂) 존덕사(尊德祠)는 서원 가장 위에 있다. 존덕사 출입문 기둥에 그려놓은 팔례기호는 주역에서 따온 것으로 연못, 우레, 물, 하늘, 바람, 산, 붕, 땅을 말한다. 향사는 서애(西厓) 선생과 수암(修巖)의 학덕을 기리고 추모하는 행사이며 병산서원의 가장 큰 행사로 매년 봄과 가을 두 번 치러지며, 향사일은 각각 음력 3월 초정일과 9월 초정일에 열린다. 최초의 사액서원 소수서원 조선시대 대표적인 교육기관이며 선현들을 배향하던 서원의 뿌리는 경북 영주에 위치한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인 회헌 안향(晦軒 安珦 1243 ~ 1306)을 배향한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최초로 사액을 받은 서원으로, 민족교육의 산실이자 인재배출의 요람이었다. 1962년 사적 제55호로 지정된 소수서원은 인근의 선비문화수련원과 선비촌, 소수박물관, 청소년수련관 등을 묶어 약 10만평 규모로 광대하게 자립잡고 있다.  소수서원으로 들어서는 길은 1654년에 심었다는 수 백년된 소나무 군락인 ‘학자수’를 지난다. 그리고 보물 제59호인 숙수사지 당간지주가 보인다. 당간지주는 절에서 당(幢)을 거는 장대인 당간(幢竿)을 걸어두기 위하여 세운 기둥을 뜻하는 것으로 예전 소수서원이 만들어 지기 전 ‘숙수사’란 절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서원건축이 ‘전학후묘’의 양식을 따랐으나 소수서원은 최초의 서원답게 특정한 형식의 틀이나 배치 규범을 따르지 않고 여러 건물들이 자유롭게 배열된 것이 특징이다. 그렇지만 강학(講學)의 중심인 명륜당은 동향이고 배향의 중심 공간인 사당(祠堂)은 남향으로 동학서묘(東學西廟)의 원리를 따랐다. 여덟 채의 건물로 구성된 소수서원은 강학당과 직방재, 장서각, 학구재, 지락재, 영정각 등 강학 건물과 문성공묘와 전사청 등 제향건물의 위치는 제각각이면서도 편안한 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홍전문(紅箭門)을 지나 정면에는 강학당(講學堂)이 자리 잡았다. 보물 제 1403호인 이곳에는 유생들이 교육을 받았던 곳으로 바깥쪽으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라는 현판이, 그리고 내부로는 ‘서수서원’ 현판이 걸려 있다.  소수서원의 건물로 강학당 뒤 서편으로는 서책을 보관하던 장서각(藏書閣)이 있다. 장서각은 서책은 좌우지선(座右之先)의 예를 따라 으뜸자리에 둔다고 스승의 숙소(직방재·일신재) 우측에 뒀다. 장서각 우측으로 소수서원의 원장과 교수 제임(諸任) 등이 함께 기거 하던 집무실 겸 숙소인 직방재(直方齋)와 일신재(日新齋)가 있고 그 옆으로 유생들의 숙소인 학구재(學求齋)와 지락재(至樂齋)가 있다. 학구재와 지락재는 학문의 숫자인 3을 상징하여 세 칸으로 꾸몄고 공부 잘하라는 뜻으로 건물 입면(立面)이 한자 ‘工’자형으로 지어져 있다. 소수서원에서는 스승의 숙소를 오른쪽에 짓고 제자의 숙소를 왼쪽에 지으면서 나란히 짓지 않고 스승의 그림자까지 피한다고 해서 두 칸 물러지었으며 방 높이도 스승의 숙소보다 한자 낮춰 지었다. 강학당과 직방재, 학구재는 조금씩 높이가 다르다. 서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학(學)이므로 강학당을 가장 높게, 그다음이 스승, 그리고 학생 순서로 건물에서부터 존경의 의미가 담겨 있다.강학당 왼쪽편으로는 보물 1402호인 문성공묘(文成公廟)가 있다. 대부분 서원 사당은 사당 사(祠)를 사용하지만 왕과 제후 급에 해당되는 분의 위패를 모신 곳에는 사당 묘(廟)자를 사용한다. 관광해설사는 “묘자가 붙은 것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주자학을 도입한 회헌 안향(安珦)선생을 국부(國父)로 기리고자 나라에서 격을 높이 기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강대용 기자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