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싣는 순서 1) 함양에서 선비의 길을 걷다. 2) 팔정팔담의 화림동 계곡-거연정·군자정 3) 팔정팔담의 화림동 계곡-동호정·농월정 4) 정자 문화의 진수 전남 담양군 5) 100여개 정자의 향연. 경북 봉화군 6) 정자문화.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100여개의 정자가 자리 잡은 정자(亭子)의 본향 함양. 국립공원 1호 지리산과 남덕유산을 따라 흘러내린 수많은 계곡에는 아름다운 풍광을 벗 삼은 정자들이 들어섰다. 함양은 선비의 고장이다. 그 대표적인 표현이 `좌안동 우함양`으로 선비 문화의 본산이기도 했다. 그것을 가장 쉽게 엿볼수 있는 것이 정자(亭子). 옛날 선비들이 만남을 갖고. 시를 짓고 풍류를 읊던 곳. 더위를 피해 탁족을 즐기던 곳. 정자에는 선비들의 문화가 고스란히 나타난다. 현존하는 옛 목조건물 중 가장 많은 것이 정자. 정자는 우리의 선조들이 벼슬길에서 물러난 후 관직에 나가지 않는 처사(處士)로 지내면서 소박한 정자 한 칸을 마련해 저술과 강학 활동을 펼쳤다. 또한 학덕 높은 스승이 거닐던 곳에 제자나 후학들이 그 학덕을 기리는 정자를 건립해 인격과 학문을 수양하는 장소로 삼기도 했다. 정자는 건물 자체도 중요하지만 거기에 담겨진 선비들의 삶과 정신이 더 중요한 자산이다. 이에 본지는 함양의 정자 문화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경북과 전남지역 정자 문화의 조명을 통해 함양의 정자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6회에 걸쳐 점검하려 한다. 자연을 벗삼아 시문을 읊던 선비들의 길을 걸어보자. <편집자 주>   정자 문화의 진수 전남 담양군   담양군.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대나무이다. 사시사철 푸르름을 간직하면서 선비의 올곧음을 상징하는 대나무의 고장. 불합리한 정치현실을 비판하며 정치권에서 물러난 대쪽 같은 선비들이 머물며 인재를 양성하고 시재를 논하던 곳이 담양군이다. 함양군에서 약 2시간 거리에 멀지 않은 담양은 함양과 여러모로 많이 닮았다. 선비들의 강학 장소였던 누정(樓亭)이 곳곳에 산재한다. 호남지방 담양의 정자는 함양지역 정자와 또 다른 볼거리를 선사한다. 함양의 이름난 정자들이 계곡을 끼고 바위 위에 세워진 반면. 담양의 정자는 산 위나 산 속 풍광이 트이고 산세가 좋은 곳에 자리를 잡았다. 또한 함양의 선비들은 정자에서 학식을 쌓고 후학을 양성하며 학덕을 쌓았지만. 담양의 선비들은 물론 후학양성과 학식을 쌓기도 했지만 이곳에서 시를 읊고 글을 쓰는 등 학문과 함께 예술적 소양을 쌓기도 했다. 담양에 산재한 정자와 그 곳에서 꽃피운 가사문학에 대해 여행을 떠나보자. 조선의 르네상스 가사문학의 산실 가사문학(歌辭文學)은 고려 말 조선 초에 걸쳐 발생한 다행성 율문의 문학형식이다. 우리가 국어 교과서를 통해 배운 정극인의 ‘상춘곡’. 송순의 ‘면앙정가’. 정철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허난설헌 ‘규원가’ 등이 가사문학의 대표작들이다. 가사문학의 작자는 이 시대 지식층들인 사대부들이 대부분이지만 승려·부녀자 등 다양하며. 시대에 따라 내용이나 형식이 변화. 발전한다. 고려 말부터 가사문학의 발생시기로서. 이 시기에 이루어진 나옹화상(懶翁和尙)의 ‘서왕가(西往歌)’와 정극인(丁克仁)의 ‘상춘곡(賞春曲)’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가사가 문학사에서 본격적으로 향유되기 시작한 것은 성종 이후로. 전원과 강호(江湖)의 생활을 노래하는 강호가사. 공무의 틈을 내어 임지 곳곳을 둘러보며 임금에 대한 충성과 자신의 감흥 및 선정(善政)을 노래하는 기행가사. 유배지에서의 고독함과 임금에 대한 충성을 절실하게 나타내는 유배가사. 유교의 교훈을 풀어서 엮은 교훈가사 등이 나타난다. 이 시기의 작가는 주로 사대부들로서 송순·백광홍(白光弘)·정철 등 훌륭한 작가들이 나왔고. 특히 이들이 호남출신이라는 점이 특징이다. 한국가사문학관 담양군은 가사문학 관련 문화유산의 전승·보전과 현대적 계승·발전을 위해 지난 2000년 10월 한국가사문학관을 만들었다. 이곳에서는 한국의 르네상스 시대라 할 수 있는 가사문학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 호남 가사문학의 총수라 할 수 있는 송순과 정철 등의 대표 작품들과 그들의 저술 등이 질서정연하게 전시되어 있다. 또 영남의 규방가사를 비롯해 유배가사 등의 원본 및 필사본을 전시해 한국 가사문학의 모든 것이 있는 곳이다. 이와 함께 담양지역 곳곳에 산재한 누정(樓亭)까지도 이곳에서 한눈에 볼 수 있어 가히 선비문화의 보고라 할 수 있다. 담양군청 문화재담당은 “가사문학의 발전이 곳 누정문화의 알리미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모든 누정문화의 중심에는 한국가사문학관이 있으며 만든 목적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한국가사문학관 인근으로는 소쇄원과 식영정. 독수정 등 담양 정자문화의 보고들이 산재해 있다.   면앙정 담양군청에서 차로 약 10분 거리 도로 한 켠에 면앙정(면仰亭)이 서 있다. 주차장에서 계단으로 약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