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의 고장 함양. 그 속에 숨 쉬는 정자문화   글 싣는 순서 1) 함양에서 선비의 길을 걷다. 2) 팔정팔담의 화림동 계곡-거연정·군자정 3) 팔정팔담의 화림동 계곡 – 동호정·농월정 4) 정자 문화의 진수 전남 담양군 5) 100여개 정자의 향연. 경북 봉화군 6) 정자문화.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100여개의 정자가 자리 잡은 정자(亭子)의 본향 함양. 국립공원 1호 지리산과 남덕유산을 따라 흘러내린 수많은 계곡에는 아름다운 풍광을 벗 삼은 정자들이 들어섰다. 함양은 선비의 고장이다. 그 대표적인 표현이 ‘좌안동 우함양’으로 선비 문화의 본산이기도 했다. 그것을 가장 쉽게 엿볼수 있는 것이 정자(亭子). 옛날 선비들이 만남을 갖고. 시를 짓고 풍류를 읊던 곳. 더위를 피해 탁족을 즐기던 곳. 정자에는 선비들의 문화가 고스란히 나타난다. 현존하는 옛 목조건물 중 가장 많은 것이 정자. 정자는 우리의 선조들이 벼슬길에서 물러난 후 관직에 나가지 않는 처사(處士)로 지내면서 소박한 정자 한 칸을 마련해 저술과 강학 활동을 펼쳤다. 또한 학덕 높은 스승이 거닐던 곳에 제자나 후학들이 그 학덕을 기리는 정자를 건립해 인격과 학문을 수양하는 장소로 삼기도 했다. 정자는 건물 자체도 중요하지만 거기에 담겨진 선비들의 삶과 정신이 더 중요한 자산이다. 이에 본지는 함양의 정자 문화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경북과 전남지역 정자 문화의 조명을 통해 함양의 정자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6회에 걸쳐 점검하려 한다. 자연을 벗삼아 시문을 읊던 선비들의 길을 걸어보자. <편집자 주> 1) 함양 속 선비의 길을 걷다 정자문화의 백미...수많은 유학자 함양에서 유하다 화림동계곡에 이어진 굽이굽이 선비문화탐방로 정자(亭子)는 경치나 전망이 좋은 곳에 아담하게 지은 집을 뜻한다. 우리나라의 정자들은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가는 민초들을 닮았다. 그래서 자연과 어우러져 계곡이나 강변. 혹은 숲속 조용한 곳에 터를 잡는다.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자연 그대로 자연에 녹아든 정자는 이미 자연의 일부가 되었다. 정자는 휴식이나 놀이의 기능을 하기도 했지만 자연과 함께 생을 영위(營爲)하기 위한 기능이 더욱 강하다. 그래서 정자는 절해고도 봉우리 꼭대기나. 계곡의 물 맑고 풍광이 좋은 곳. 아담한 호숫가. 자연 풍광이 좋은 곳 등에 자리를 잡는다. 지금도 옛 풍취가 느껴지는 정자에 앉으면 몸과 마음이 깨끗해지고 자연에 동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함양. 선비의 문화-정자의 문화 함양은 ‘좌안동. 우함양’으로 불릴 만큼 일찌감치 묵향의 꽃이 핀 선비의 고장이었다. 서울을 기준으로 좌측의 안동과 우측의 함양이 유학의 양대축을 형성하며 당대 유학을 이끌었다. 함양에는 최고 문장가이자 상림을 조성한 고운 최치원(857~925)을 비롯해 조선유학을 발전시킨 동방오현이라 불리는 일두 정여창(1450~1504). 함양 군수를 지낸 김종직(1431~1492). 유호인(1445~1494). 강익. 박지원(1737~1805) 등 조선시대 쟁쟁한 학자들이 함양에서 관직생활을 하거나 이곳에 뿌리를 두었다. 이들이 함양에 머물며 거문고를 뜯고. 시를 짓고.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후학을 양성하기도 했던 곳이 바로 정자이다. 이런 연유로 함양에는 수많은 정자들이 만들어졌고 지금에 이르고 있다. 물 맑고 호젓한 계곡 옆에는 어김없이 정자가 자리 잡고 있다. 팔정팔담 화림동 계곡 옛 문헌을 보면 함양지역에는 100여개의 정자가 있을 정도로 정자문화가 꽃을 피웠다. 그 중에서도 계곡과 정자가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을 그려내는 곳이 바로 화림동계곡이다. 화림동계곡은 해발 1.507m의 남덕유산에서 발원한 금천(남강의 상류)이 서상면과 서하면을 거쳐 안의면까지 흘러 만들어 놓은 계곡이다. 굽이굽이 계곡을 따라 내려오던 물들이 돌을 깎고 담과 소를 만들면서 천혜의 자연을 만들어 놓았다. 풍광이 수려한 곳곳에는 수많은 정자들이 그 자연 속에 파묻혀있다. 이 화림동계곡에는 ‘팔정팔담(八亭八潭)’이라 하여 여덟 개의 정자가 여덟 개의 담(물이 괸 깊은 곳)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최근까지 거연정(居然亭). 군자정(君子亭). 동호정(東湖亭). 농월정(弄月亭) 등 4곳의 정자가 세월의 흔적을 간직하며 꿋꿋이 주춧돌 위에 서 있었다. 동방오현의 한분인 일두 정여창선생의 머물며 학문을 닦고 심신을 수련했던 군자정. 정선전씨의 선비들이 유적을 가진 거연정. 달을 희롱한다는 뜻을 가진 우리나라 정자문화의 꽃이라 했던 농월정까지. 그러나 농월정은 2003년 방화로 추정되는 화재로 불타고 주춧돌만이 남아 그 옛날 아름답던 모습을 기억하고 있다. 아쉽게도 아름다움을 뽐내며 자연과 동화되었던 팔정팔담의 정자들은 절반도 남아 있지 않다. 현재 남아 있는 정자들은 주변 자연과 완벽하게 일치돼 자연이 만들어 놓은 것 같다. 자연 암반 위에 나무 기둥을 깎아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정자는 자연의 훼손 없이 지금도 꿋꿋하게 계곡을 바라보고 있다. 화림동계곡의 풍광은 산수가 빼어난 함양군의 8경 가운데 4경에 꼽힐 정도로 그 아름다움이 대단하다. 선비들의 길. 선비문화 탐방로 예로부터 선비들이 모임을 갖고 풍류를 즐기던 곳이 정자(亭子)이다. 민족의 영산 지리산과 덕유산을 품에 안고 있는 함양의 정자문화의 산실이라 불리기도 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