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군은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산림병해충예찰·방제단이 참여한 지상 및 항공예찰 등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소나무재선충병은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란 매개충이 먹이를 먹을 때 입을 통해서 소나무. 해송. 잣나무 등에 옮기는 병으로. 목재운반. 조경수 이동. 매개충 자력이동 등의 방법으로 언제든지 발생지 주변으로 확산이 가능해 무엇보다도 사전 예방이 필요하다. 소나무재선충병 진단은 예찰·방제단이 소나무. 해송. 잣나무 등의 고사목 시료를 채취해 연구소로 송부한 시료나. 직접 예찰해 채취한 시료를 조제→선충분리→선충검경→동정의 과정을 거쳐 최종 분석된다.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단은 수시예찰은 연중 실시하고. 중점예찰은 4월말까지 하며. 항공예찰은 4월말에 누락본수 확인을 위해 1회 실시할 예정이다. 주요예찰 방법은 고사목에 대해 GPS로 위치를 체크하면서 실시되며 ▲차량예찰은 차량 진입이 용이한 지역을 ▲도보예찰은 선단지 1km 전역을 ▲항공예찰은 지상예찰 시 누락된 고사목을 체크한다. 군 관계자는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을 위해 항상 관심을 가지고 주변에서 죽어가는 나무에 대해 유심히 살펴보고. 의심 나무가 발견되면 가까운 관공서 등에 신고해 소중한 산림자원이 보호될 수 있도록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한편 소나무재선충병은 1988년 처음 부산에서 발생된 이후 경남·북. 전남·북. 경기. 강원. 충남·북. 제주도까지 확산되어 소나무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