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갑의 지리산 여행기 127편 무공해 된장 곶감 만드는  견불동 사람들   산 높고 푸름이여. 신선들이 사는 곳 지리산 견불동. 이곳은 시간이 정지된 풍경화 같다. 해발 600 고지에 열 네 가구가 산다. “견불동은 토종된장마을로 유명하지요. 지리산 야생콩된장 이강영씨. 귀농한 원자력박사 이길우씨 등이 산 속에서 불심 닦듯 장류(醬類)를 생산하고 있지요. 견불동은 지리산 정기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청정도량인지라 장맛도 유별납니다. 앞으로 견불동. 우리나라 최고의 장(醬) 테마파크로 발전시켰으면 합니다”   혜암 종정 유발상좌가 만든 산양삼 청국장. 가히 일품!    # 지리산 영봉. 곳곳에 불교 색채가 물씬 풍기는 지명들이 있다. 반야(般若). 풀이하면 법의 참다운 이치에 계합한 최상의 지혜. 문수사(文殊寺). 문수는 반야경 계통의 불교경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보살의 이름이다. 제석봉(帝釋峰). 제석은 수미산 꼭대기 도리천의 우두머리로써 불법에 귀의한 사람들을 보호한다. 함양군 휴천면 문정리에 견불동(見佛洞) 있다. 속칭 점불이라고도 하는데 마을이 처음 생길 때 땅속에서 불상이 발굴되었다 하여 견불동이라 하기도 하고 이 마을에서 지리산 줄기를 바라보면 건너편에 부처님 누워 계신 형상 와불산이 보이기도 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와불능선은 휴천면 송전리 뒷산. 점필재 김종직이 쓴 지리산 유람록 <유두류록>에 와불능선의 장엄함이 기록되어 있다. "나 혼자 삼반석에 올라 지팡이에 기대섰노라니 향로봉. 미타봉(와불능선의 부처바위)이 모두 다리 밑에 있었다"   언젠가. 견불동에 올라가 와불능선을 바라보았다. 저 멀리 와불능선 정상에 누워 계신 부처님이 보였다. <석가여래응화사집> 기록에 따르면 부처님은 엿새동안 먼저 사선팔정(四禪八定)을 얻고 다시 의생신(意生身)을 얻었으며 마지막 하룻밤 사이에 육신통(六神通)을 얻었다 한다. 그리고 이레째 되던 날 새벽. 고개를 한번 들어 하늘에 밝게 빛나는 별을 보고 아누다샴막삼보리를 깨달았다고 한다. 필자는 와불능선 누워 계신 부처님을 바라보며 위 대목 이레째 되던 날 새벽 부처님의 모습을 곧잘 연상하곤 한다. 이렇게 생각하노라니… 아! 견불동. 이곳이야말로 선(禪)의 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기막힌 길지가 아닐 수 없다. 많은 여행작가들이 견불동을 찾는다. 황소영 월간 마운틴 기자는 자타공인 견불동 마니아. “견불동.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시간이 정지된 풍경화 같은 곳이죠. 해발 600 고지에 열 넷가구. 대체로 보수를 하지 않은 옛집에서 살지요” 식품영양학자들도 견불동을 자주 찾는다. 본지 기고가 고은정 교수의 말이다. “견불동은 토종된장마을로 유명하지요. 지리산 야생콩된장 이강영씨. 귀농한 이길우씨 등이 이 산 속에서 불심 닦듯 장류(醬類)를 생산하고 있지요. 며칠 전 경향각지 장(醬) 연구가들이 견불동을 찾아 이들이 생산하는 된장 장아찌 엑기스를 시음하는 한편 장(醬) 세미나를 열었습니다. 견불동은 지리산 정기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청정도량인지라 장맛도 유별납니다. 앞으로 견불동. 우리나라 최고의 장(醬) 테마파크로 발전시켰으면 하는 게 제 바램입니다”   # 견불동 터주대감 지리산야생콩된장 대표 이강영씨. 혜암 조계종 종정의 유발상좌요. 걸출한 서예가이기도 하다. 그는 국내 각종 매스컴에 소개된 유명인사로 이름 높다. 많은 식품학자들은. 이구동성. 이씨가 생산하고 있는 산양삼 청국장 가리켜 “음식이라기보다 영약입니다” 박근혜 차기대통령도 이씨의 산양삼청국장에 지대한 관심을 쏟고 있다. 2012년 12월6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2012 서울국제식품산업전에 이씨 청국장이 출품되었다. 이 행사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 이씨 청국장 맛을 보며 이렇게 코멘트. “역시 지리산! 지리산 내음이 물씬 풍기는군요” 이때. 박 당선자 수행요원의 말이 걸작이다. "청국장 한 스푼 먹어본 제 소감은 이렇습니다. 방하착(放下着)! 청국장 먹고 나니 무심의 경지에 들어가는 듯 싶습니다" 이강영씨는 독실한 불자이다. 수도승도 하기 힘든 하루 만배를 하며 부처님을 친견한다. 그는 식약동원(食藥同源)에 입각. 전통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