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곡 마을 길 한가운데서 새끼를 돌려달라고 끝까지 1인 시위하는 별난 개`(별난 개 中에서)로부터 산들이와 시인의 인연은 시작됐다. 시인의 스승으로 똥개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산들이는 눈 쌓인 병곡 어느 골짜기에서 당신에게 매일 머리를 조아리는 시인이 손수 만들어 바친 문패가 달린 집에 산다. 꽃과 산과 풀과 짐승과 인간을 통해 철학을 논하는 산들이는 죽은 소크라테스나 니체를 대신해 철학자로 시집에 이름을 박았다. `철학자 산들이` 그 시작과 끝에는 시인 문복주가 있다. 이성천 문학평론가는 해설을 통해 "그의 시는 때때로 엉뚱하고 기발한 상상력을 활용하며 유쾌한 역설과 황홀한 아이러니의 미학적 공간으로 독자를 안내한다"고 밝혔다. 살아있을 때 육체에게 다 해주자/ 살아 있을 때 정신에게 다 해주자/ 정신을 놓아줍니다/ 육체를 풀어줍니다/ 주변의 자동력을 거부합니다/ 몸으로 해결합니다. - `원시(原始)로 돌아가며` 중에서 바다를 배경 삼아 시로 그림을 그렸던 문복주 시인은 원시(原始)로 돌아가기 위해 함양 병곡 골짜기에 터를 잡았다. 그리고 탄생의 그의 다섯 번째 시집. `세상에 맞지 않는 어정쩡한 웃음을 지으며 손바닥만 한 땅에 바람난 오미자 키우며 혼자 냇물처럼`사는. `산골 하나 갖고 세상 하나 버린`(내 윗집에 산적(山賊)이 산다 中에서) 산적과 이웃이 된 문복주 시인의 일상은 시를 쓸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이재훈 시인은 "속리(俗離)의 깊은 산 속으로 들어서기까지의 도정을 시집에서는 파란(波瀾)과 만장(萬丈)의 언어로 보여준다. 신산(辛酸)한 삶의 내력과 새로운 고향이 된 함양(咸陽)의 공간들은 시인에게 `야생의 정신사`를 쓸 수 있게 하는 힘이다. 산 속의 개 산들이와 순일(純一)한 무아지경을 누리는 시인. 앞으로 우리는 지리산의 시인이 된 문복주가 펼치는 유곡의 사유를 오래도록 지켜볼 것"이라고 평했다. 이제 `산들이`에게 하나. 둘 제자가 늘어나는 것은 시간문제다. 문학의 전당/8.000원 문복주 1992년 월간 `현대시` 등단. 시집 `꿈꾸는 섬` `우주로의 초대` `제주수선화` `식물도 자살한다` 등이 있다. 현재 함양문인협회장. <하회영 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