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을 행복의 요인으로 알고 있는 사람은 오감을 통해 행복을 느끼려고 합니다. 달콤한 초콜릿을 먹거나 아름다운 음악을 듣는 일. 추운 날 따뜻하고 부드러운 담요의 온기 속으로 파고드는 것. 또한 흥미로운 운동경기를 관람하거나 남으로부터 칭찬을 듣거나 귀한 선물을 받을 때 행복감에 젖어들게 됩니다. 그런데 이런 종류의 쾌락을 통한 행복은 중독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약간의 음주가 쾌락을 준다면 과음은 알코올 중독을 초래하고. 도박이나 과식. 지나친 오락 등도 역시 마찬가지 결과를 가져다줍니다. 따라서 오감을 통한 쾌락은 참다운 행복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또한 돈과 명예와 성적 관계가 행복으로 인도해주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믿게 되면 그런 것들에 집중하거나 지나치게 탐닉하게 되고 집착하게 됩니다. 그런데 죽음을 앞둔 사람들이 “과거에 더 많은 일을 해서 더 많은 돈을 벌었어야 했다”면서 후회하기보다는 오히려 가족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지 못한 것. 진정한 행복을 맛보지 못한 것을 후회하는 모습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또한 이 시대는 다른 사람들보다 앞선 전문인들이 높은 대우를 받는 전문가 시대임에도 자신의 직업에 대한 이들의 만족도가 매우 낮다는 설문조사결과에 놀라움을 금치 못하게 됩니다. 오히려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보다 우울증 발병률이 높고 알코올 중독과 약물 중독수치도 높게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진정한 행복이란 외적인 환경이나 특정의 사건이 가져다주는 만족감에 의해서 주어지는 것이 아님을 다시 깨닫게 됩니다. 주변에 있는 두 부류의 이웃을 보면 한 사람은 자신의 일에 대하여 매우 행복해 하지만 다른 한 사람은 사사건건 불평하면서 다른 일에 기웃거립니다. 주어진 일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고 긍정적인 사고와 믿음의 시각을 지닌 사람은 행복해하지만 반대로 감사하지도 못하고 부정적인 사고와 불신의 시각을 지닌 사람은 언제나 회의적이고 행복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렇습니다. 진정한 행복은 외면적인 환경보다는 내면의 기쁨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내면의 기쁨이란 성품이 변하고 가치관과 물질관도 변하고 사람을 바라보는 관점이 바뀜으로 가능합니다. 유난히 빨리 찾아온 겨울 추위로 움츠러든 이때 내면의 따뜻함으로 추운 겨울을 녹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주는 자가 받는 자보다 복이 있다는 가르침을 실천함으로 헛된 행복의 덫에서 벗어나서 진정한 행복을 공유하는 우리들의 모습을 그려봅니다. 이 그림의 제목은 바로 `이 행복한 세상`입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