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최대 이슈는 12월19일에 치러지는 제18대 대선이다. 우리나라 대통령 임기는 5년 단임이다. 현행헌법은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선출하는 직선제를 채택하고 있다.(67조1항) 대통령선거는 임기만료일 전 70일 이후 첫 번째 수요일에 실시한다. 중앙선거관리 위원회는 유효투표의 다수를 얻은 자를 대통령 당선자로 결정한다. 새 대통령임기 시작일은 2013년 2월 25일 자정부터이다. 대통령의 임기는 5년으로 중임할 수 없다.(헌법 70조) 대통령의 임기연장이나 중임변경을 위한 헌법개정은 그 헌법개정을 제안한 당시의 대통령에 대해서는 효력이 없다.(128조 2항) 올해는 2007년 보다 투표율이 높을지 의문이다. 우리나라는 투표율이 계속 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선거가 있는 날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는데 선거일을 휴일의 개념으로 생각하고 투표하지 않고 기권하는 사람이 많다. 물론 투표율이 떨어지는 원인은 많지만 정치에 대한 무관심과 정치에 대한 실망이 선거 불참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성인이 되면 정치가 정말 삶에 들어온다. 세금하나 어떻게 꾸리느냐 4대 보험 어떻게 가느냐에 따라서 서민들의 살림살이는 천차만별로 달라지기에 요즘처럼 경제가 어려울 때는 정치인들이 못 마땅하기 마련이다. 정치부패 뉴스만 나오면 그야말로 분노에 휩싸이고 불만스러워 하는 것은 누구나 공감하는 사항이다. 정치사상 정당을 떠나서 그저 정치에 관심이 있다면 합법적이고 정당한 방법으로 정치에 간섭할 수 있는 최소한의 행위를 포기하지는 말자는 얘기이다. 그 정도조차 포기하는 사람은 정치 얘기할 자격이 없을 것이다. 국민의 기본적인 나라에 대한 관심이 없어 기권표를 던지는 무관심으로 일관한 사람이 나중에서야 이 정책 잘못됐네 뭐는 어떻게 해야되데 어쩌구 떠들면 논리에도 맞지 않고 보기에도 모양새가 아닐 것이다. 가장 기본적으로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투표’조차 하지 않고 현 정권에 대해 지지나 비판할 명분이 없는 것이다. 물론 투표를 하든 안 하든 개인의 자유이고 투표 안 했다고 정치에 대해 왈가왈부하지 말라는 소리는 지나치지만 국민으로서의 과거엔 목숨을 바쳐가면서 얻어낸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제도에의 직접적 참정권을 그렇게 쉽게 포기하고 무관심으로 일관하는 건 성인이자 진정한 의미의 국민으로서 그다지 성숙한 의식자세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더불어서 낮은 투표율로 나타나는 국민의 정치 무관심으로 곧 정치인들의 부패와 비리. 제 뱃속 채우기 형태를 나타내며 양극화를 확대시킨다고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투표를 안하는 건 무관심의 표현이다. 투표는 하되 아무리 생각해도 도무지 누굴 찍어야 할지 몰라서 아무도 안 찍어서 무효표로 처리되는 투표자 투표 자체를 안 하는 기권하는 투표자 모두 심각한 문제이다. 투표권을 가졌다면 스스로 판단할 능력이 수준이상이 되었다는 의미인데 투표에 열정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당연하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국민이 어찌하여 정치를 무시할 수 있겠습니까? 당장 정책이 바뀌면 경제가 활성화되고 국민의 복지인 삶의 질이 달라질텐데 정작 국민의 기본 권리인 투표를 안 하면 안 되는 것이다. 마음에 드는 정치인이 없어서 아무도 지지하지 않아서 기권표. 무효표를 생각하시는 분들도 대통령후보자 토론회. 선거홍보. 대선공약 정책을 꼼꼼히 보면서 이번 대선에는 꼭 투표를 해서 국민의 권리를 행사하여 투표율을 높임으로써 국민의 영향력을 높이는 것은 분명히 의미가 있을 것이다. 대선이 가까워지니 대선 후보자들이 공약과 비전을 더욱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실현 가능한 공약인지를 비교. 평가해서 현명하게 판단한 후에 선택한 후보에게 소중한 한표를 찍어야 한다. 대통령 선거일은 임시 공휴일이지만 관련 법규에 따르면 공공기관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이날은 휴일이지만 민간 사업장은 선거일에 근무를 해도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근무를 하는 직장인은 대통령 선거일에 시간이 없어서 투표를 못하는 사람도 있으므로 관계 사업장에서는 꼭 투표하도록 배려하고 독려해야 할 것이다. 대선은 국민이 권리를 누릴 수 있는 날입니다. 한 나라의 통치자를 뽑는데.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면 좋겠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