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60여년전 32명의 억울한 죽음을 당한 도북마을 아픔의 역사. 함양 양민 학살 사건을 말한다 1. 잊혀지지 않는 그날의 참혹함 2. 우리나라 민간인 학살의 역사 3. 진실과 화해를 위한 노력 4. 반복하지 않기 위한 우리가 할 일 이데올로기의 대립으로 6.25 한국전쟁이 일어난 지 어느덧 반세기를 훌쩍 넘겨 62년이 흘렀다. 당시 전쟁으로 수백만의 목숨이 산화하는 등 우리 민족 최대의 아픔으로 기억된다. 그러나 이 중에는 사상이나 이데올로기 조차 알지 못하면서 그 속에 숨 쉬고 살았다는 이유만으로 총부리에 난자당한 이들이 있다. 깊은 산골 속에 살면서 아무것도 모르는 순박한 농부였던 이들. 경찰의 호출에 아무 죄가 없다며 불려간 후 다시는 돌아오지 않았다. 우리는 이같이 숨진 이들에 대해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사건`이라고 일컫는다. 그들의 억울한 죽음을 가슴에 묻고 반세기가 훌쩍 지난 지금까지도 하소연조차 하지 못하는 이들. 정부의 사죄가 있었지만 한(恨) 많은 가슴속 응어리는 풀리지 않고 있다. 국가 권력은 한 생명을 앗아간 것에 그치지 않고 숨진 이의 자손들에게까지 영향력을 행사하며 최근까지도 어둠속으로 몸을 웅크리게 했다. 소위 말하는 `빨갱이`로 치부하면서. 함양을 중심으로 산청·함양 사건과 거창 사건은 큰 주목을 받으며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과 각종 기념 사업들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이들 사건은 한국전쟁이 진행되는 도중인 1951년 발생했지만 함양의 경우 전쟁 발발 전. 1949년도부터 자행돼 왔다. 군경에 의해 자행된. 국가 권력의 폭력에 의한 잔혹한 일들이 우리가 살고 있는 함양땅에서. 함양지역에서의 한국전쟁은 1948년 10월 여순사건 이후부터 1963년 최후의 빨치산 정순덕이 붙잡힐 때까지 15년간 계속되어졌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전쟁을 치른 지역인 것이다. 1. 잊혀지지 않는 그 날의 참혹함 “죽어도 억울하고 드럽게 죽은기라...” 당시 학살로 인해 형 3명을 한꺼번에 잃어야 했던 도북마을 권재택(75)씨. "죄를 짓고 죽었나. 그냥 베끼(괜히) 죽인기라" 한 많은 그의 첫 마디는 원망도 아닌 억울하다는 말이었다. 한꺼번에 형들을 잃어야 했던 당시 열세살의 막내 동생은 이제 70을 넘겼다. 당시를 회상하는 것 자체가 그에게 고통스러운 일인 것이다. 집안의 든든한 아들 3명이 한꺼번에 화를 당한 이후 그의 부모도 차례로 세상을 떠났다. 이후 ‘빨갱이’라는 오명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학살당한 이들의 죄명은 빨치산을 도왔다는 것. 그러나 "우리 먹을거리도 없는데 어찌 그놈들한테 먹을 것을 주겠나. 그냥 뺏어갔지. 안주면 총부리로 위협하고 집에 불을 지르고. 살라면 안줄 수가 없는 기라" 살려고 먹을 것을 준 것이 오히려 화가 되어 돌아왔다. 당시 도북마을에는 인근에는 빨치산 활동이 활발해 마을에서는 자체적으로 자경대를 조직해 운영했다. 이 자경대에 빨치산과 내통하던 정주상이 붙잡히고. 경찰에 넘겨지면서 마을 전체의 운명이 결정됐다. 당시 경찰은 빨치산 내통자를 찾는 명분으로 이 사람 저 사람 끌어들이던 시기로 통비분자를 찾지 못하자 경찰은 ‘외상장부’를 ‘내통자 명단’으로 탈바꿈 시켰다. “아무 죄도 없응께 나간기라. 죄가 있으모 숨지 말라 나가끼고. 그래서 죽은기라. 그냥 다 잡아가서 고문하고 산에 가서 쏴 죽이고. 그냥 쏴 죽인것도 아니라 차로 갈아서 죽였다는 말도 들었어. 얼마나 억울해. 아무 짬도 모르고 죽은 기라” 학살에서 살아남은 이들도 이후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빨갱이’라는 손가락질과 최근까지 이어진 연좌제의 고통이 그것이다. “청년이 없어 부역을 나가면 ‘어린놈이 나왔다’고 말을 하기도 하고 ‘빨갱이’라고 손가락질 해. 또 집안에 똑똑한 놈이 나와도 출세를 할 수 없는데 어떻게. 그냥 사는 거지” 이후 유족들은 학살 현장 근처에 접근도 하지 못했다. 빨갱이로 몰려 죽을까봐. 학살 이후 40여년이 지난 1991년에서야 유골은 수습될 수 있었다. <도북유족회시> 님들이 뿌린 씨앗 단비 없이 자랐도다 해 가고 눈서리 져도 피고 지고 또 피나니 한 맺힌 가슴 도려 산 넘어 내던지고 세세연년 아픔 펴고 고이 잠드소서 1992년 1월18일이 돼서야 합동 묘역이 조성되고 위령비를 제막했다. 합동묘역은 도북마을 건너편에 작게 만들어졌다. 사건 발생 후 43년만에 첫 추모제를 지낼 수 있었다. 이곳에서는 유족들이 1년에 한번 모여 제를 지내고 있다. 학살 현장인 함양읍 이은리 당그래산에는 1996년 2월 10일 그 날의 참상을 알리는 보존 비석이 건립됐다. 현재 학살 현장은 그 형체조차 찾아볼 수 없다. 인근으로 공장이 들어서고 그 날을 기억할 수 있는 것은 오직 보존 비석만이 존재한다. 과거사 정리를 위한 진실화해위원회는 2007년 8월∼2008년 8월까지 1년간 조사를 실시. 2007년에 30인. 2008년에 86인. 2009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