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독일 복스베르그 양돈지역청 내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우리나라가 산업화되기 전에는 소와 돼지 등 가축의 분뇨는 귀한 대접받았다. 화학비료가 없던 시절 오로지 사람이나 가축의 분뇨만을 비료로 사용했기 때문에 이 같은 대접은 당연했다. 그러나 산업화로 인해 화학비료가 일상화되면서 가축분뇨는 역한 냄새와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폐기물로서 처리에 골머리를 앓게 됐다. 올해로 축산분뇨의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되면서 우려했던 분뇨대란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여전히 농가에서는 분뇨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그러나 외국의 선진 축산국가의 경우는 다르다. 물론 현지 실정 등에서 조금은 우리나라와 축산 여건이 다른 경우도 있지만 축산분뇨는 `자원 즉 돈`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완벽한 경축농법을 통한 퇴비로. 또는 신재생 에너지로 가축분뇨의 위상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와 외국의 선진 축산분뇨 처리형태를 보고 폐기물로서의 축산분뇨가 아닌 자원으로서의 축산분뇨의 활용에 대해 제시하려 한다. <편집자 주> 1. 축산분뇨 폐기물인가 자원인가 2. 축산분뇨 우리나라의 실태는 3. 네덜란드 첨단 축산업의 실태 4. 독일 생태순환농법을 배우다 5. 독일 축산분뇨를 활용한 에너지 생산 6. 스위스 축산분뇨에서 시작되는 마을공동체 5. 독일 축산분뇨를 활용한 에너지 생산 우리나라에서는 축산분뇨의 대부분의 퇴비화나 정화 후 방류하는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독일 등 유럽지역의 경우 축분을 이용한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 중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바이오가스’다. 축산분뇨를 발효시키면서 나오는 가스를 활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제 시작단계인 축산분뇨의 바이오가스화가 유럽의 경우 3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특히 독일의 경우 오는 2024년까지 원자력발전소를 없애는 정책을 펴고 있어 바이오가스를 활용한 전력생산 등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독일 복스베르그 양돈지역청 복스베르그 양돈지역청은 독일 남서부에 위치한 바덴 뷔템베르크주 농업부 산한 연구기관이다. 뷔템베르크주는 본에서 약 320㎞ 떨어진 곳으로 5천여 양돈농가에서 어미기준 20만두. 도축용 120만두를 사육 중이다. 이중 800가구 정도가 바이오가스 생산 설비 보유하고 있다. 2007년 신축된 이곳 연구소는 20만m²(20ha) 면적에 100여명의 연구원 포함 상주 직원이 연구를 하고 있다. 이 연구소에서는 돼지 인공수정에서 사육. 도축까지 가능한 시설을 두루 갖추고 대학. 유관 대학 등 주변 기관 및 단체와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종돈 종자개량. 선진형 축사 모델 개발 등 돼지 사육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한다. 대학이 순수 학문 연구를 수행한다면 센터는 실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농가에 보급하는 중간고리에 위치한 것이다. 이곳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나 관련자료는 관할 주에 보고되고 양돈 농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마련이나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된다. 과거 연구방향이 생산성 향상이라는 경제논리에 치우쳤다면 지금은 사육 동물에 대한 보호와 친환경 축산이 핵심이다. 이곳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축산분뇨의 재활용 방안으로 축사를 하게 되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분뇨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진행중이다. 책임자인 빌헬름 플란츠 박사는 "분뇨는 가치 있는 원자재 중 하나다. 분뇨에는 질소(N). 삼산화인(P2O3). 산화칼륨(K2O). 산화칼슘(CaO) 등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게 포함돼 있다"며 "돈으로 환산하면 1㎥당 9.05유로(약 1만3천원)로 이런 분뇨가 없으면 일반 농가에서는 따로 비료를 사서 밭에 뿌려야 한다. 때문에 폐기물이란 표현은 아주 좋지 않다"라고 설명했다. 분뇨의 에너지화 센터에는 어미돼지 250두를 포함해 새끼돼지까지 총 4천두 가량이 사육되고 있으며 하루에 총 10톤. 한해 4천톤 가량의 분뇨가 배출된다. 양돈지역청에서는 중점을 두는 분야가 바로 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이다. 특히 독일 정부는 일본 원전사태를 계기로 2024년까지 원자력발전소 없애기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와 맞물려 축산분뇨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기술의 개발과 보급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독일에서 축산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역사는 30여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 시작했을 당시는 순수 분뇨만을 이용해 바이오 가스를 생산했지만 생산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이후 식물(곡물)을 함께 이용하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다. 순수 퇴비로는 1톤당 1㎥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지만. 옥수수와 분뇨를 7대3으로 섞으면 200㎥를. 음식물과 분뇨를 함께 섞어 사용할 경우 1톤당 300㎥로 큰 에너지 발생 효율을 낼 수 있다. 이곳에서는 분뇨와 옥수수를 3대 7로 혼합하고 100일 정도 후 가스를 생산한다. 바이오 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대형 저장탱크가 2기로 한쪽 설비에서 50일간 보관되고. 나머지 50일은 옆쪽 설비로 옮겨 보관한다. 분뇨는 매일 10t가량 들어오고. 옥수수는 매일 8t 정도가 반입된다. 바이오가스가 만들어지면 가스를 태워서 전기를 생산하고. 그 열로 물을 데워 전체 설비와 돼지 축사의 난방에 사용한다. 센터 내 바이오가스 생산설비는 1시간에 400kw의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설비 가동 시간이 한해 8.000시간인 점을 감안할 때 축산분뇨로 1년에 약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