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 칠선계곡 두지터  함양 관광진흥 리포트 <마지막편>     지금은 힐링 체험시대! 함양 빅 4 트레일<도보여행> 개발을 위한 提言<제언>   글 싣는 순서 1. 스토리텔링 강한 함양 옛길. 바로 이곳이다 2. 제산의 마음수련길 답사기 & 스토리텔링 개발방안 3. 중국진시황 불로초의 길 개발 4. 지리산 테마 길 이렇게 개발하자 5. 함양여행길 걸으며 힐링한다.   5. 함양여행길 걸으며 힐링한다. 함양 힐링 명소 ‘베스트 3’을 찾아서… # 정상명. 노무현 정부 때 검찰총장을 지낸 사람이다(2007년 퇴임). 퇴임직후 그는 친구들에게 이런 말을 했다. “전처럼 일정에 얽매이지도 않아 백수가 좋구먼. 이제 나는 남은 생애를 어떻게 살아야 할까 그런 고민에 젖어 사네. 무엇을 해 볼까? 그러던 중 문득 떠오른 생각이 고향까지 한번 걸어가 보는. 도보여행을 한번 해보고 싶네. 그 도보여행을 통해. 지나온 나의 인생을 다시 복기해 보고 인생의 새로운 의미를 찾아보고 싶네” 2011년 3월. 정상명 전 검찰총장은 서울서 고향 경북 의성까지 240km 도보여행을 강행했다.   칠선계곡 두지터 가는 길 선계 분위기 물씬  “걸을 때 뭔가를 생각하면 안돼. 아무 생각 없이 걸어야 해. 생각이 다른데 팔려 있으면 십중팔구 걷다가 돌부리에 채이거나 발이 서로 엉켜 넘어지기 일쑤거든. 그럴 때 의식적으로라도 눈이 앞을 향하도록 하면 잡념은 끼어들지 않고 걷는 일에 매진할 수 있지. 걷기는 생각을 비워내는 것이지 채워가는 작업이 결코 아니야” 베르나르 올리비에. 이 양반 세계적인 도보여행가다. 나이 70. 전 세계 이색적인 길을 찾아 그 길에서 느낀 감흥을 책으로 펴내고 있다. 이스탄불에서 중국 시안(西安)에 이르는 1099일 여행기록 <나는 걷는다>를 상재했다. 베르나르 올리비에는 말한다. “걷기는 육체의 운동이 아니라 정신의 운동입니다. 걸으면서 사람들은 흘러가는 구름. 변덕스런 바람. 울퉁불퉁한 길을 만나지요. 도보여행을 통해. 우리는 자기자신을 탐구하게 되고 이전에는 몰랐던 세상.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 우정을 나누고 위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며칠 전 필자는 동문회에 참석하기 위해 서울 남산 모처를 찾았다. 동문 중 박관식(소설가). “구선배(필자). 선배는 참 좋겠습니다. 지리산 깊은 속 극락세계에서 소유유를 즐길 수 있으니. 저도 은퇴하면 시골로 내려가 농사를 지으며 살까 합니다. 아참. 선배. 저 부탁이 하나 있습니다. 기회가 닿으면 도보여행을 테마로 한 소설 한편 쓰고 싶어요. 해서 하는 말인데. 선배가 사는 지리산 함양 있죠. 그 곳 길을 주제로 한 소설을 써 보고 싶은 마음이 꿀떡 같습니다. 저를 도와주는 셈치고 언제. 시간 내어. 함양 이색 사연이 깃든 길 좀 안내해주시죠” 박관식씨가 써 보고 싶다는 길 테마 소설은 이미 여러편 발표되었다. 서편재로 유명한 이청준 작가는 남도 해변가를 무대로 한 <천년학>. <소리의 빛>을 썼고 이외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이문열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갈 수 없으리> 등이 있다. 필자는 후배 청 들려줄 겸. <주간함양> 관광진흥리포트 작성 할 겸. 함양 이색적인 길 탐험에 나섰다. 지리산 자락 함양은 아무래도 산약초 그리고 정자가 많이 있으메. 약선(藥膳) & 정자 스토리텔링이 풍부한 길을 탐험해야겠다. 때마침. 김석종 경향신문 부국장급 기자가 취재차 함양에 내려왔다. “경향신문에 만인보를 연재하게 되었네. 그 첫회로 함양 칠선계곡 두지터 약초꾼 문상희씨 살아가는 이야기를 쓸까 한다. 같이 가자” 두지터는 추성리 끝자락에 있다. 해발 700미터. 추성리에서 두지터 가는 길은 가히 신선이 노니는 곳 같다. 층암절벽 기암괴석 너머로 지리능선이 끝간데 없다. 두지터 문상희 우거에서 집주인이 내놓은 천삼술을 마셨다. 별들은 초롱초롱 하늘을 수놓고 김석종 기자는 그 감회를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천삼술 마신 후 신새벽 여명에 거짓말처럼 잠이 깼다. 이미 가부좌 틀고 명상을 끝낸 집주인은 능숙한 손길로 또록또록 차를 따랐다. 지리산 석간수로 우려낸 은은한 차향이 산방 가득 번졌다. 숙취는커녕 깨끗한 산공기와 싱그럽고 그윽한 차 향에 정신이 명경처럼 맑았다. 새파란 계곡수에 눈을 씻고 지리산을 보니…" 필자가 문상희에게 말했다. “주간함양 독자를 위해 두지터와 관련된 비하인드스토리 하나 들려주게나” “두지터 위에 선녀탕이 있네. 비오는 날 안개가 피어오르는 날 선녀탕에 관세음보살 이미지가 출몰하네. 눈 맑은 이만 바로 볼 수 있다네. 두지터에서 선녀탕 가는 길에 사연 많은 산약초가 즐비하지. 내가 일전에 함양군 관계자에게 이 산약초 전설을 잘 다듬어 한 권의 책을 펴내 지리산을 찾는 도보여행족들에게 선사하라고 몇 번 이야기를 했는데 깜깜무소식! 진정한 도보여행길은 교(敎)의 기능이 있어야 하네. 무슨 말인고 하면 도보여행은 그냥 길을 걸어가는 걸로 끝나면 안되고 문화예술적 체험이 있어야 하네. 즉 지적 교육적 가치를 창출해야 하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