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설명 : 이달말 할머니가 빵틀에 참기름을 바르고 있다. 아니 세월(歲月)을 바르고 있다! 함양만인보 9 안의버스류장 풀빵장수 이말달 할매 풀빵! 참 오랜만에 불러보는 이름이다. 일명. 붕어빵. 국화빵. 풀빵은 겨울눈이 펄펄펄 내리는. 어느 시골 이름 모를 차부(정류장) 한 모퉁이에서. 완행버스 기다리며 먹는 게 제격이다. 함양군 안의버스터미널 앞에 3층짜리 건물이 있다. 1층에 어탕국수로 유명한 주차장식당. 그 옆에 경남식당. 광풍사. 이 3층건물 우측에 마치 아기버섯처럼 피어있는 (허름한) 판잣집이 있다. 판잣집 옆으로 은빛 물결 금호강이 흐른다. 버스를 기다리던 시골 촌부 몇 사람이 이 판잣집으로 들어간다. 4평 남짓. 실내에는 땟국물이 흐르는. 남루한 식탁 두 개가 놓여있다. 식탁 위로 풀빵 8개 그리고 안의막걸리 1통. 찐계란 3개 오뎅국물이 놓여지니 이것이 곧. 진수성찬! 까무잡잡하게 생긴 판잣집 할매. 풀빵을 굽기 위해 빵틀에 참기름을 바른다. 마치 오래된 밭을 확확 갈아엎는 듯 빵틀에 참기름을 쫙쫙 바른다. 버스 기다리는 시골 할배들의 사랑방 “그라니께 73년부터 여기서 풀빵장씨(장사)를 했네. 아이구야 볼쏘 40년 후딱 지나가보렸네. 다 쓰러져가는 판잣집이지만 무시하지럴 말어. 함양군청으로부터 정식으로 상호도 부여받은 집이여. 금호식당이라꼬” 금호식당 유리창 옆에 ‘개구리 튀김’이라는 글이 적혀있어. “개구리 조림도 합니까?” 물었더니 “지금은 안 해. 옛날 내가 여기서 장씨할 때 금호강 민물고기 횟집을 했는데. 나라에서 불법포획 하지마라케서 일체 안 해. 그때는 돈 좀 만졌는데 흐흐흐” 할매(이말달·37년생)는 투박하게 말은 하지만. 여간 다정다감하지 않다. “저번에도 사진 찍어가더니만 오데 쓸라꼬 또 찍소? 모델료 주고 찍으소 마. 내가 태어난 곳은 바로 조기 안의약초시장 옆. 내 나이 열여덟때. 중신애비 소개로 서방을 만나 서울 돈암동에서 살림을 차렸지. 그곳에서 연탄장씨를 했소. 슬하에 세 놈을 낳았고. 그런데 내 운(運)이 참 더러버. 서방 나이 마흔여섯 때 저그. 어무이 산소 이장해야 한다몬서 안의로 내러갔거등. 그까지는 별탈이 없었는데. 이 노무 서방. 남우 초상집에 가서 그 뭐시냐. 망자 살(煞)을 받아옹거라…그것땜시롱 시름시름 앓다 이듬해 죽고 말았소. 그 살(煞) 참 무섭더구먼. 내 자식 둘도 데려가고 말았능거라” - 그라몬 젊은 나이에 고만 과(寡)가 되뿌고 말았네요? “하모! 새털 같이 많은 날. 빈방 홀로 지키는 일이야 아무것도 아니지만서두 입에 풀칠을 해야 안 하나. 다행시럽게도 정류장 부지 주인(타계) 어른이 딱하게 보고 바로 이 코딱지만한 판잣집을 내한테 팔아. 지금까지 풀빵을 굽고 안 사나. 원래 이 정류장은 목재소 방앗간 얼음과자 공장이었지” -풀빵기계도 오래되었네요. 완전. 육이오 때 만든 것 같습니다. “허허허 그래도 여기에 구버야… 사람들이 우리집 풀빵 맛이 좋다케사! 추운데 어묵국물 한사발 떠 묵어 보소. 돈 달라 안카케” -몇시에 시마이(영업완료) 합니까? “5시반. 들어가서 하나 남은 아들내미 저녁밥 할라몬 일찍 문 닫아야지” -그래 풀빵 팔아 돈은 좀 모았습니까? 할매. 거무스름한 얼굴에 미소가 피어난다. 얼굴에 깊게 팬 주름이 흥이 나는 듯 움찔거린다. 돈주머니를 필자에게 보여주며 “봐라봐라 오늘 하루종일 번기다” 1만2천원! -풀빵만 팔지 말고 금호강 물고기도 팔몬 재미가 좋을낀데. “말아라(그런 말 하지 마라). 저놈우 대진고속도로가 생기는 바람에 저쪽서 불어오는 세멘토 가루 땜에 금호강 물괴기 다 죽어뿨 물괴기도 없다” 어느날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