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은 우리 겨레의 가장 큰 명절, 한가위는 추석, 가배절, 중추절로도 불린다. 하지만 요즘은 이 가운데서 추석이란 말을 가장 많이 쓰는 듯하다. 벌써 한 주간 추석이 지나갔다. 풍성한 열매를 거둘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먼저 중국에서는 가을을 셋으로 나눠 음력 7월을 맹추(孟秋), 8월을 중추(仲秋), 9월을 계추(季秋)라고 불렀는데 그에 따라 8월 보름을 중추라 한다. 이 말 말고도 추석이라는 말이 있는데 추석은 5세기 송나라 학자 배인의 <사기집해>의 ‘추석월(秋夕月)’이란 말에서 유래한다. 여기서 추석월의 뜻은 천자가 가을 저녁에 달에게 제사를 드린다는 뜻인데 중국 사람들은 이 말을 거의 쓰지 않는다. ‘한가위’는 “크다”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라는 말이 합쳐진 것으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또 가위는 신라에서 유래한 말인데 다음과 같은 <삼국사기>의 기록이 있다. “신라 유리왕 9년에 나라 안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음력 7월 열엿새 날부터 8월 보름까지 길쌈을 짜게 하였다. 그리곤 짠 베로 승부를 가름하고, 진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려 이날 달 밝은 밤에 길쌈을 한 부녀자들이 밤새도록 ‘강강술래’와 ‘회소곡’을 부르며, 춤을 추고 흥겹게 놀았다” 이것을 그때 말로 ‘가배’라 하였는데 나중에 ‘가위’로 변했다. 한가위를 가위, 가배절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서 유래한 말이다. 따라서 말밑이 불분명한 ‘추석’보다는 신라 때부터 오랫동안 쓰인 토박이말 ‘한가위’를 쓰는 게 좋을 듯하다. 한가윗날 음식으로는 송편을 꼽을 수 있다. 온 식구가 둥그렇게 앉아 송편을 빚는 모습은 생각만 해도 정감이 넘친다. 잘 빚은 송편은 향긋한 솔잎을 깔고 쪄내 제사상에 올리면 조상님도 흐뭇해하실 것이다. 또한 한가위 음식으로는 <농가월령가> 8월령에 보면 “북어쾌 젓조기로 추석 명절 쉬어보세·신도주, 올벼송편, 박나물, 토란국을 선산에 제물하고 이웃집 나눠 먹세”라고 나오듯이 여러 음식이 있는데 명절 음식을 해서 이웃과 나눠 먹었던 모습이 정겹다. 추석 무렵의 생산력을 작업별로 나누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농업 : 벼 베기, 콩·팥·수수·고구마 거두어들이기, 퇴비하기, 무·배추 갈기, 밭 골타기, 목화·담배잎·고추 따기, 밀·메밀·양파·시금치 파종하기, 거름내기, 누에치기, 논둑 고치기, 겨울나무 준비하기, 담장 수리하기, 병아리 깨기, 길쌈하기, 과일 저장하기, 곶감 말리기, 약초 캐기, ② 어업 : 오징어·갈치·다랑어 잡기, ③ 임업 : 잔디씨 받기, 낙엽송씨앗대기 등이 있다. 추석은 1년 중 가장 큰 만월을 맞이하는 달의 명절로서, 농경민족으로서 수확의 계절을 맞이하여 풍년을 축하·감사하며 조상에게 천신하고 성묘하여 추원보본을 하였고, 명절의 기쁨에 넘쳐 여러 가지 놀이가 있어 사람의 마음을 더욱 즐겁게 하였으며, 신을 섬기고 풍·흉을 점침을 하였다. 풍부한 음식을 서로 교환해서 후한 인심을 보였고, 농한기를 이용해서 놀이하고 친정에 가서 아버지를 뵈는 즐거움이 있었다. 추석과 정치는 정당 간에 의견 차이로 갈등을 일으킬 수는 있지만, 국리민복을 위한 건설적인 목표를 위해 함께 힘을 모으는 조화의 예술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실은 정치 본래의 뜻과는 너무나 먼 길을 걷고 있다. 적지 않은 정치인이 자기를 뽑아준 국민의 삶보다 자신의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정치의 기본이 되는 인간에 대한 예의와 윤리 의식마저 파괴하는 모습을 스스럼없이 보여준다. 여야가 추석 밥상머리 민심의 핵심 화두는 대선과 민생, 코로나19 였다. 연휴 기간 지역구 밑바닥 민심을 훑고 온 여야 의원들은 대선 민심에 대해 저마다 다르다. 여당 의원들은 야에 지도자가 없다는 정권 재창출론과 야는 정권 교체론이 우세했다며 아전인수식 해석을 내놨다. 야당 의원들이 경청한 추석 민심은 ‘반드시 정권교체’였다. 모 의원은 “한마디로 ‘무조건 바꿔야 산다’는 게 추석 민심”이라며 “문재인 정권의 실정에 대한 분노가 최고조에 이른 분위기를 실감했다”고 말했다. 서로 엇갈린 평가를 말 할 것이 아니고 국민의 입장에서 섬기는 자세로 나갈 때 국민의 한 표를 얻게 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