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지역 환경단체들이 경남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지리산댐과 지리산케이블카 사업의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지리산댐백지화함양대책위·지리산케이블카반대공동행동·낙동강경남네트워크·지리산생명연대·경남환경운동연합 등 경남도내 환경단체들은 지난 3월6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가졌다.
환경단체들은 “최근 경남도가 지리산 다목적댐과 지리산케이블카 사업을 다시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라며 “국토에서는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는 다목적댐과 환경부에서 수차례나 부결된 지리산케이블카 사업을 의지로 돌파해내겠다는 무모함은 필경 독이 되어 돌아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유럽 전체인구의 약 85%가 식수댐과 지하수를 이용한 식수를 먹는다고 발표했으나 이 또한 교모한 말장난”이라며 “85% 중 20%만이 식수댐을 이용한 식수를 먹고, 나머지 65%는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숨기고 명백하게 그 방식이 다른 식수댐과 지하수를 하나의 범주로 묶어 부풀리고 있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유럽 전체에 6600개의 댐이 있으니 우리도 더 지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실상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댐 밀집도가 1위인 국가라는 사실은 슬쩍 무시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환경단체들은 지리산케이블카 사업에 대해서도 지적하며 “그렇게 강조하는 친환경 사업이라면 왜 환경부에서 세번이나 반려했겠느냐”라며 반문했다.
또 “구례와 남원, 산청과 함양이 협의한다면 한 곳만 고려해 보겠다는 환경부의 입장이 무슨 뜻이겠느냐”라며 “많아도 한 곳 이외에는 설치할 수 없을 정도로 환경에 위협적인 사업이라는 의미 아니겠느냐”라고 말했다.
이들은 끝으로 “올해는 지리산국립공원이 지정된 지 50주년이 되는 해”라며 “국립공원 제1호 지리산이 얼마나 큰 의미인지, 올해 펼쳐질 각계각층의 사업으로 국민들에게 알려지게 될 것이고 그 가치가 재평가 될 것이다. 이러한 때에 지리산에 이런저런 개발 사업을 하여 지지도를 올려보고자 시도한다면 오히려 큰 역풍을 맞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경남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리산댐을 다목적댐으로 건설하는 등 지자체별로 식수댐을 만들어 경남을 비롯한 부산 울산까지 1급수를 공급한다는 식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12년 산청군과 함양군이 환경부에 신청한 지리산케이블카 설치 사업은 환경부로부터 3차례 반려되기도 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