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0장하늘이 나에게 복을 박하게 준다면 나는 내 덕을 두터이 하여 이를 맞이하며 하늘이 내 몸을 수고롭게 한다면 나는 내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이를 보충하고 하늘이 내 경우를 곤란하게 한다면 나는 내 도를 다하여 이를 통하게 할 것이니 하늘이라도 나를 어찌할 수 있겠는가!<원문原文>天薄我以福(천박아이복)이며 吾厚吾德以迓之(오후오덕이아지)하고 天勞我以形(천로아이형)이면 吾逸吾心以補之(오일오심이보지)하고 天吾我以遇(천액아이우)면 吾亨吾道以通之(오형오도이통지)리니 天且我奈何哉(천차아내하재)리오 <해의解義>여기선 ‘천(天)’이란 우주와 자연의 주재자로서의 운명을 의미한다. 만일 운명이 나에게 복을 준다고 하여 포기하거나 물러서면 그는 영원히 낙오자가 되고 말 것이다. 그럴 때에는 내가 가진 덕을 더욱 기르고 두터이 하여 운명의 방해에 대응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운명이 나에게 육체적인 괴로움이나 고통을 안겨 준다고 하더라도 나 자신은 언제나 여유있고 편안한 마음을 가져 육체적인 괴로움을 보충해 준다면 괴로운 생활을 하지 않게 될 것이다. 또한 운명이 내 처지를 아주 위태롭고 곤란하게 하더라도 나는 내가 닦은 도를 달성하여 이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 이렇게만 한다면 하늘인들 나를 어쩔 수 있겠는가? 요컨대 천명이나 운명은 나의 힘과 의지로 피하거나 물리칠 수 는 없다. 그러나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함으로써 운명에 대처한다면 오히려 그 운명을 극복할 수 있ㅈ 않겠는가.<주註>薄我以福(박아이복) : 복으로써 나를 박하게 하다, 즉 복을 적게 주다. 迓之(아지) : 이를 맞이하다. 아(迓)는 영(迎)과 같고 지(之이)는 대명사로서 ‘이’ ‘그’라 해석함. 勞(로) : 수고롭게 하다, 괴롭히다. 形(형) : 형체, 육신. 逸(일) : 한가하고 편안하며 높이 두다. 遇(우) : 경우, 즉 형편이나 처지. 亨(형) : 형통하다, 이룩하다. 且(차) : 또한, 여기서는 ‘~조차, ~인들’로 해석함. 奈何(내하) : 어찌하리오. 哉(재) :감탄의 어조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