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역사인물공원 내 조병갑 선정비를 놓고 시민단체와 문화원, 지역 사학자, 군이 머리를 맞댔다. 12월17일 오후4시 함양군청 재난상황실에서는 김종현 부군수, 임재구·이경규 군의원, 김흥식 함양문화원장, 정상기 부원장, 김윤수 향토사학자, 임병택 함양시민연대 대표, 전성기 함양농민회 부회장, 서필상 함양노동자연대 대표, 정대훈 문화관광과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병갑 선정비 관련 간담회가 열렸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10월 조병갑 선정비 철거를 위한 함양지역 공동대책위원회(이하 위원회)에서 함양군민을 비롯한 상림 방문객 522명에게 받은 서명서를 제출한 이후 민관 공동위원회를 구성해 선정비의 거취를 결정하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대부분은 조병갑에 대해 ‘탐관오리’에 대한 역사적 사실에 대해서는 공감했다. 위원회 측 서필상 대표는 “이번 논의는 선정비가 우리 역사가 될 수 있게 역사 인식이나 위상을 높이는데도 큰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함양군민들의 자존심을 세울 수 있는 슬기로운 의견이 오갔으면 한다”고 밝혔다. 간담회가 진행되는 동안 조병갑 선정비에 정확한 안내를 담은 ‘표지석’의 설치에 대해서는 모두가 공감했으나 선정비 자체에 대한 위치 이동이나 세우는 방식 등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였다. 전성기 농민회 부회장은 “조병갑은 역사적으로도 분명히 심판을 받고 있으며, 교과서에도 나오는 ‘탐관오리’의 표본”이라며 “역사인물공원에는 함양을 빛낸 훌륭한 분들을 모신 곳으로 조병갑은 분명히 차별을 두어야 한다. 비석을 뒤로 한발 물리던, 한자 이상 파 묻던, 차별화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윤수 향토사학자는 “조병갑 선정비는 함양에서 120년간 존치되어온 역사적 공공기물이다. 치욕의 역사도 역사다, 우리나라 최대의 치욕적인 사건인 삼전도비도 문화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병갑이 함양에서 선정을 베풀었을 수도 있다. 선정비는 역사자료이며, 교육자료로 남겨야 한다. 훼손은 안된다”라고 주장했다. 실무부서인 정대훈 문화관광과장은 “비는 존치하되 조병갑의 행적, 탐관오리의 역사 등을 설명하는 안내판을 세웠으면 한다”고 밝혔다. 정상기 함양문화원 부원장은 “선정비를 세울 당시 문제가 있었느냐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후의 역사적 사건은 모두 공감하고 있다. 문제가 있었다면 당연히 철거해야 하겠지만 함양에서는 선정을, 이후 세월이 가면서 그 같은 일이 발생했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서필상 위원장은 “사실과 진실은 다르게 기록해야 한다. 언제 세웠고, 왜 세웠는지에 대한 사실보다는 ‘탐관오리’라는 조병갑에 대한 진실을 알려야 하는 것”이라며 “정확한 역사의 인식이 필요하다. 함양에서 선정을 베풀었다고 교육을 할 수는 없으며, 반역사적인 인물이라고 후손들에게 가르쳐야 한다”고 밝혔다. 함양역사인물공원 내 조병갑 선정비가 함께 할 수 없다는 것에 공감했으며, 조병갑과 함께 그의 부친인 조규순 역시 함양에서 군수를 지냈으며, 역시 선정비가 있어 이 부자의 선정비를 함께 다른 곳으로 옮기자는 이야기도 나왔다.   2시간여 진행된 이날 간담회에서 여러 가지 안이 나오자 김종연 부군수는 선정비의 존치, 안내비문 작성, 그리고 비문에 대한 고증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차기 간담회에서 논의를 하기로 결정했다.강대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