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신성범의원(새누리당, 경남 산청함양거창)은 20일 경상남도 교육청(박종훈 교육감) 국정감사에서 농산어촌 학생들이 불이익을 받지 않고, 도시 지역과 교육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농산어촌 지역에 대한 교육 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신의원은 농산어촌 지역 학교의 경우 학생 수가 줄고, 학교가 폐교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고, 낮은 학업성취도와 학교 경영 및 교원 확보 문제 등을 공통적으로 안고 있다며 농촌 지역 학생들의 교육 격차 심화를 우려했다. 신의원은 “경남 교육청의 농산어촌 교육여건 개선 사업이 규모도 적고 사업 내용도 빈약하며, 다양한 학습 욕구를 충족하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농산어촌 지역 학생들의 적성을 살리고 학업 성취도롤 높이기 위한 다양한 시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농산어촌에 거주한다는 이유만으로 교육적 불이익을  받아서는 안 되며,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에 박종훈 경상남도 교육감은 “농산어촌 방과후학교 운영 지원 등을 통해 교육 복지 정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학교 통폐합 문제도 거론됐다. 경상남도 교육청에서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소규모학교 27곳이 통폐합되었으며, 특히 2012년에는 16개 학교가 통폐합되는 등 학교 통폐합이 농촌 지역 사회의 현안 과제로 대두되고 있었다.    신의원은 “농어촌 지역의 소규모 학교 통폐합 문제와 교원 정원 감축 문제는 학교 뿐 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동문회 등에서 논란이 있는 만큼 소규모 학교를 어떤 형태로든 활성화시켜 존속시킬 것인지, 아니면 통폐합시켜 더 나은 교육여건과 환경을 마련해 줄 것인지 하는 명확한 기준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보편적 복지가 확대되면서 정작 필요한 예산이 줄어들고 있어 학교 현장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면서 “교육 예산의 효율적인 사용이 이루어져야 하고, 특히 정부와 시도 교육청간에 논란이 되고 있는 누리과정 예산은 서로가 책임을 전가하기 보다는 머리를 맞대고 지원이 차질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