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017년 대입 수능시험부터 한국사를 필수과목으로 도입하기로 한 것과 관련되어 50대가 가장 적극적으로 찬성한 반면. 40대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지난 12일 실시한 긴급설문에서 19세 이상 성인남녀 1400명 가운데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선택한 비율이 52.7%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학교 내에서 한국사 시험 시행’(19.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결과의 학생부 기재’(17.0%). ‘한국사 표준화시험 시행 후 대입자격 연계’(11.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사의 수능 필수과목 지정’의 경우 연령대별로 의견 차이가 컸다. 50대의 경우. 58.9%가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지정’을 선택했고 30대(57.9%). 20대(51.6%)도 과반이 선택했다. 다만. 40대는 47.9%가 ‘한국사 수능 필수과목 지정’을 선택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른바 ‘학력고사 세대’인 40대의 ‘자녀 시험부담’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사가 수능 필수과목으로 채택 후. 교육과정이 변화되고 있다. 수업을 대하는 학생들의 태도가 달라졌고 사교육 시장이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선 가운데 한국사 관련 서적의 판매도 늘고 있다. 한국사 필수과목에 반대하는 의견도 있다.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은 수능 간소화 방향과 어긋나는 정책이기 때문에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는 의견과 올바른 역사의식 확립을 위해서 한국사 교육을 강화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그것을 학생들에게 필수과목 이라는 부담감으로 안게 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 한국사가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될 경우 단순 암기과목으로 전략될 우려가 있다는 의견. 근본적으로 역사 교육을 강화 활 방법을 찾아야지 단순히 필수과목으로 지정 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 의견이다. 이렇게 한다면 우리나라 학생들이 부담감을 더 많이 가지게 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