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락 지자체 상응 지원책 있다지만 아직은 미지수 경남도가 지리산케이블카 설치를 놓고 치열한 각축을 벌이고 있는 함양군과 산청군 단일 입지 선정을 서두르고 있다. 도는 오는 10월 중으로 입지를 선정한 후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전라권과의 비교 우위에 설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일정대로 단일 입지 발표가 이어질 경우 탈락하는 지자체의 반발 등 후폭풍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함양군 등에 따르면 홍준표 도지사는 지난 2월 함양군과 산청군에서 열린 도.군정 현안보고회에서 “지리산 케이블카를 놓고 함양과 산청이 서로 싸우면 어느 한 곳도 유치에 성공할 수 없다”라며 “경남도가 적극 조정. 중재에 나설 것이다”고 선언했다. 이와 함께 케이블카 설치 대상에서 탈락한 지역에는 케이블카 사업의 수입에 상응하는 사업을 경남도가 지원하는 것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었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지난 8월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 후보지 연내 결정을 위해 함양군과 산청군으로부터 평가지표 3개씩을 제출받았다. 도는 케이블카 사업의 주요 지표인 예상 입장객 수와 교통 인프라 부문에서 두 지자체 주장이 첨예하게 대립해 각각 기준을 제시토록 했다. 경남도는 이들 지표를 포함해 환경부의 케이블카 설치 지표였던 환경성. 기술성. 공익성 등 각 3개씩 9개 지표를 포함한 15개 지표를 활용해 단일 입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도는 단일 입지 선정을 위해 9월 중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며 10월 초 각 지자체의 입장 및 위원회의 조정을 거쳐. 10월 중순께 단일 입지를 최종 선정한 다는 계획이다. 도는 함양군과 산청군 중 단일 입지가 선정이 끝난 후 경남도는 케이블카 설치를 계획 중인 전남 구례군과 전북 남원시와 후보지 단일화를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환경부에 경남 단독으로 케이블카 유치를 요구한다는 전략이다. 입지 단일화 이후 탈락한 지자체의 반발과 함께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양 지자체 모두 수년간 케이블카 사업에 군의 역량을 집중하며 지역 발전의 동력으로 삼으려 했기 때문이다. 탈락 지자체에 케이블카 사업 수입과 상응하는 사업을 검토할 계획이지만 탈락 지역의 민심은 물론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파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여진다. 경남도 관계자는 “지리산 케이블카 설치를 위해서는 도내 지자체부터 단일화 한 이후에 전라권과의 협의를 해야 할 것”이라며 “10월 중 단일 입지 선정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연말 내로는 선정을 마무리할 계획으로 선정위원회를 구성해 각 지자체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 단일 입지를 선정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탈락하는 지자체에 대해서 “아직은 구체적인 지원 계획은 나오지 않았지만 재정사업이나 재정지원 등에 대한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지난해 6월 환경 훼손 우려가 크고 경제성 또한 없다며 지리산권 4개 시·군의 케이블카 설치계획안을 모두 부결시켰다. 그 이후 해당 시·군이 자율 조정해 재신청하면 심의하겠다고 언급해 경남도가 산청군과 함양군을 상대로 단일 중재안 마련에 나서고 있다. 강대용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