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설비는 대부분 가공으로 설치되어 태풍 등 자연재해 및 자연적인 열화. 차량출돌. 조류접촉 등으로 불가피하게 정전이 발생될 수 있다. 상황에 따른 대처 요령을 숙지하여 피해를 예방하여야 한다. ◇ 우리집만 정전되었을 경우 옥내 배전반의 누전차단기 또는 개폐기 휴즈의 이상유무를 확인. 옥내설비에 이상이 있을 경우 전기공사업체에 의뢰하여 수리하고. 이상이 없을 경우에는 한전에 신고한다. ◇ 이웃과 같이 정전되었을 경우 대부분 선로고장인 경우이며 이때는 즉시 복구작업에 임하게 되므로 잠시 대기한다. 여러 고객이 동시에 전화를 하게 되면 통화체증이 발생하여 통화가 어려울 수도 있다. 선로고장에 의한 정전은 대부분 신속히 복구되나 고장의 유형에 따라서는 다소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 순간정전 대비요령 전동기를 많이 사용하는 공장에서는 지연석방형 전자개폐기를 부설하는 것이 좋다. 지연석방형 전자개폐기는 선로에 정전이 발생할 경우 1~5초 동안 부하회로 차단을 지연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어 순간정전에 대한 피해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 불시정전 대비사항 비닐하우스. 양계장. 양어장. 저온저장고 등 정전시 피해가 예상되는 고객은 비상용 발전기 등 피해예방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PC방 및 컴퓨터 등 정밀기기를 사용하는 곳에서는 무정전전원장치(UPS)와 정전경보장치 등을 설치하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천재지변이나 전기설비 고장으로 인한 정전피해에 대해서는 배상을 하지 않으니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점검이 필요하다.(전기고장신고 ☎ 국번없이 123)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