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가정에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은 모두가 알고 느끼는 것입니다. 사회적 환경이 열악해서 그렇다고들 생각합니다. 그럴 수도 있겠으나. 저는 결혼식과 결혼생활의 함수관계로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필자는 목사이기에 결혼주례의 경험이 많은 편이고. 또 가족이나 지인들의 결혼식을 많이 지켜보았습니다. 그 결과 피부로 느끼게 된 것은 결혼식 풍조가 많이 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과거에 결혼식은 엄숙하고 숙연했습니다. 그래서 신부가 결혼식에서 웃으면 첫 딸 낳는다는 말도 있었습니다. 마을에서 결혼식이 있으면 온 마을에 경사이며 축제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집집마다 결혼피로연에 필요한 음식을 정성스레 준비하여 이고지고 가져와서 축하하고 함께 즐거워했었습니다. 아이들은 덩달아 즐거워하고. 돼지 오줌 통으로 만든 공을 차면서 행복해했었습니다. 가족들은 혼수품을 나누워서 장만하여 신혼살림을 돕고 결혼 전날에 와서 함께 결혼식을 준비하고 가족 간에 정담을 나누는 시간들을 보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의 결혼식 풍속도는 가볍게 흘러가고 편리주의로 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합니다. 결혼식에 참여하지도 않고 부조 내고 식사만하고 돌아가는 분들이 있고. 혼주도 식사비가 만만치 않아 부조만하고 식사를 않고 가면 도움이 된다고 농담을 하는 현실입니다. 어느 결혼식이든지 식장 자리에 앉지 않고 서서 이야기하는 분들로 결혼식장의 엄숙함을 깨뜨리는 분들이 있고. 젊은 사람들이나 결혼한 기혼자들도 다시 한 번 결혼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 준비할 수 있는 기회에 핸드폰을 가지고 오락을 하거나 문자를 보내거나 자기들끼리 이야기하는 모습에서 결혼식의 격을 떨어뜨리는 행동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결혼식과 피로연은 구별지어야함에도 결혼 사회자의 지나친 장난은 결혼에 대한 젊은 사람들의 인식을 읽을 수 있게 합니다. 결혼식은 두 사람이 부부의 인연을 맺는 장인데도 불구하고. 평생을 희로애락을 함께하기로 언약하는 엄숙한 장을 이벤트화 하는 모습은 곧 결혼 생활도 이벤트로 생각하지 않나 하는 느낌이 들게 합니다. 그러기에 쉽게 결혼하고 쉽게 이혼을 하게 된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습니다. 행복한 가정은 사랑하나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며. 나 혼자의 노력이나 둘만의 사랑 만으로 완성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결혼 준비는 단순히 혼수 준비만 하는 것이 아닌데도 요즘은 남편으로서 아내로서의 역할에 대한 준비가 빈약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필자는 결혼 전 신랑신부에게 별도로 가정교육을 시키고 예식에 참여케 하고 있습니다. 가정에 관한 책도 읽어오게 합니다. 부족하지만 준비를 하게 합니다. 준비하는 것만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협력하여 건강한 가정을 세워가게 됨을 봅니다. 아름다운 가정은 가족구성원이 성숙하고 책임 있고 준비된 만큼 이루어지는 것이라 봅니다. 건강한 가정관이 건강한 가정을 만드는 것이기에 결혼하는 신랑신부들은 혼수품 준비가 아니라 건강한 가정관. 경제관. 비전을 세우는 일이 중요할 것입니다. 제가 주례사로 하는 단골 말씀이 있습니다. 결혼하면 자연인은 없어진다는 것입니다. 이름 세 자는 그대로이지만 결혼 후에는 남편으로 아내로 살게 되고. 부모님께는 자녀로. 자녀를 낳으면 아빠와 엄마로서만 살게 된다는 것입니다. 신분의 변화와 그에 대한 책임이 무엇인지를 꼭 일러주고 당부를 합니다. 또한 내가 행복하려고 결혼하는 것이 아니라 네가 행복하게 되도록 섬기려고 결혼하는 것이라고 일러줍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