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水晶, 크리스탈)’이란 석영(SiO2, 이산화규소, 돌 중의 꽃)의 다른 표현으로 물처럼 맑은 육방정계의 결정 광물을 뜻하며, 지하 깊은 곳에서 물이 오랜 세월 고온 고압 작용에 의해 변화된 농축 물질이다. 한국경제 신문에 실렸던 수정水晶에 관련된 내용으로, 수정水晶이란 물질이 가진 특성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 인용해 본다. “수정 진동자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역압전효과로 여진하고 매우 높은 Q값(공진첨예도)을 가지는 소형, 고안정, 고신뢰성의 진동자이다. 수정 결정에 일정한 전압변화를 가하면 역압전효과로 결정이 진동하기 시작하고 구동 주파수가 결정의 고유 진동수와 같으면 공진기로서 공명진동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수정 진동자는 전자산업에 없어서는 안 될 소재인 작은 석영덩어리로 특정 전류가 흐르면 일정한 속도로 진동하면서 주파수를 만들어 낸다. 그래서 주파수를 만들어 내는 휴대폰, TV, 라디오, 컴퓨터 등의 전자제품 뿐만 아니라 시계, 전자저울, 디지털카메라, 자동차 등 생활 주변기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런 수정 진동자는 전자제품에서 사람의 맥박과 같은 역할을 하는데, 심장이 맥박을 통해 온몸에 영양과 수분 미네랄을 공급하듯이 수정진동자는 주파수를 통해 전자장비를 돌아가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한마디로 주파수를 발생시키거나 주파수를 이용하는 모든 전자제품에 반드시 사용되는 핵심 부품이다. 수정 필터 또한 수정 진동자의 첨예한 공진 특성을 이용한 필터로 높은 Q값으로 우수한 주파수 선택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매우 정확한 주파수를 요구하는 전자제품의 필수 부품으로 수정 진동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수정이란 물질이 예민한 공진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주파수 선택이 우수하며, 다른 발진 회로에 비하여 주파수 변화가 극히 작기 때문에 휴대전화, 통신기기, TV, 비디오, 디지털 카메라, PC, 시계 등에 쓰이는 것이다. 결국 첨예한 공진특성으로 인한 공진기로서 공명진동하는 특성과 그로 인한 우수한 주파수 선택의 가장 탁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수정’이란 물질과 인간의 ‘뼈’에서 나오는 석영질의 물질인 사리의 공통분모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의 뼈가 전기적, 기계적인 물리적 공진이 아닌 눈에 보이지 않는 공명진동인 동기감응同氣感應의 핵심적 매개체라는 것을 연결 지어 확인할 수 있겠다. 이렇게 석영질 구조의 뼈를 같은 석영질의 수정 진동자의 매우 높은 공진첨예도의 원리(강력한 공명 물질)와 연결해서 동기감응同氣感應의 이유를 밝힌 것은 필자가 최초임을 밝힌다. 참고로 위의 사진은 멕시코 치와와주의 나이카 광산 지하 300m에 위치한 수정 동굴(Cave of the Crystals)이다. 가장 큰 것은 길이 11m, 직경 4m, 무게 55톤으로, 인류가 발견한 결정 중 최대이다. 동굴의 길이는 27m, 폭은 9m 정도이며, 동굴 내부의 온도는 58℃, 습도는 90~100%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적절한 장비 없이 인간이 10분 이상 버티기 어려운 극한 환경으로, 오랜 기간 미지의 공간이었다. 크리스탈 동굴은 2000년 4월에 페뇰레스의 나이카 광산에서 새로운 터널을 굴착하던 산체스 형제 (Juan Sanchez & Pedro Sanchez)가 발견했는데, 기회가 되면 정말 한번 가고 싶은 마음이 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