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요즘 유튜브에서 라이브 방송을 하고 있다. 그런데 처음에 올린 몇 편을 보면서 가슴이 뜨끔했다. 내가 사용하는 습관어가 크게 들어 왔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이 얼마나 불편했을까를 생각하니 얼굴이 화끈거렸다. 편집 영상은 틀린 문장이나 단어도 고칠 수 있고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은 삭제할 수도 있지만, 라이브 방송은 말투나 자세, 표정 등을 전혀 고칠 수가 없다. 나체의 몸인 듯 나의 말하기에 대한 모든 것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그래서 공중파 방송 아나운서들도 라이브는 피할 정도이다. 라이브 방송 영상을 통해 살펴본 나의 습관어는 가끔씩 다음 내용을 말하기 전에 ‘음-’ 또는 공기를 빨아들이는 듯한 ‘스-’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떨리는 마음을 감추고 내용을 정확하게 말하기 위해서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나의 습관어를 정확하게 의식하고 고치려고 노력하니 라이브 방송이 횟수를 거듭할수록 좀 더 매끄러워진다는 느낌이다. 습관어라는 단어를 찾아보니 딱히 국어사전에 나오지는 않는데 나도 모르게 습관적으로 튀어나오는 무의식중에 하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우리 주변에는 개인적으로 말을 할 때나 대중 앞에서 말을 할 때 습관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다. 흔히 쓰는 습관어 중에서 몇 가지를 살펴보자. 가장 기본적인 것은 말을 시작할 때 음-, 저-, 스- 라는 무의미한 소리를 내는 것이다. 이것은 준비를 안 하고 말을 하는 사람, 다음 내용을 생각하기 위해서 혹은 떨려서 그 마음을 감추려고 하는 사람, 좀 더 자연스럽게 말하기 위한 사람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에’나 ‘또’라는 습관어는 연세가 있으신 분들이 젊은이나 어린 사람들 앞에서 자기의 권위를 세우기 위해 자주 쓰는 소리이다. 또 교수나 공무원들에게서 볼 수 있는 말로 ‘예컨대’나 ‘예를 들어 서’가 있는데 그 뒤에 종종 예시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 아이러니다. ‘솔직히 말해서’라는 말을 자주 쓰는 사람도 있다. 그동안은 솔직하지 않았다는 것인가. 과연 그런 사람 중에 솔직한 사람이 진짜 몇 명이나 될지 의심스럽다. 그리고 ‘제가 볼 때는’이라는 말을 자주 쓰기도 하는데 이것은 상황에 따라 거만하게 들릴 수도 있다. 왜냐 하면 자기가 보는 게 가장 정확하거나 맞다는 뜻을 상대방이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그게 아니라’라는 말도 있는데 이것을 잘못 사용하면 상당히 어색하다. ‘그게 아니라 니 말이 맞아’라는 식으로 사용하면 화자가 정말 실없는 사람 더 심각하게 말하면 거짓말쟁이로 생각될 수도 있는 것이다. 양치기 소년이 생각나는 말이다. 그리고 텔레마케터들이 자주 사용하는 ‘네네’라는 것도 상대방에게 진정성이 없고 건성건성 넘어간다는 느낌을 주는 습관어이다. 습관어는 청중을 불편하게 하고 짜증나게 할 수 있다. 내용에 집중하지 못하게 한다.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게 방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전체적인 내용을 매끄럽지 못하게 하고 세련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개인적인 대화에서는 그렇더라도 면접이나 대중 앞에서 말하는 사람들은 분명히 고쳐야 할 부분이다. 지금 당장 나의 습관어를 살펴보자. 옆에 있는 사람에게 부탁하여 3분 정도 말을 하고 피드백을 받자. 그게 부끄럽거나 부담스러우면 휴대폰 녹음 기능을 활용하여 당장 녹음해 보기 바란다. 나처럼 영상을 찍어도 좋다. 그러면 내가 내뱉고 있는 습관어의 정체를 분명히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오래전에 접한 기사 중에 대통령 후보 연설에서의 문제점을 비교해 놓은 내용이 있었다. 박 모 후보는 이, 그, 어 습관어를 사용하고 문 모 후보는 사투리와 새는 발음이 문제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두 후보의 이러한 문제점들이 차츰 좋아지고 있다는 기사였다. 습관어를 버리자. 노력하면 누구나 할 수 있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관심을 가지고 끈기 있게 하다 보면 반드시 환하게 웃는 날이 온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