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은 전 민족이 봉기한 항일독립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해다. 대한민국의 근대사를 관통하며 오늘날 우리가 민족의 자부심을 안고 살아가는 현실적 토대를 마련해준 두 가지 역사적 사건의 흔적은 경남 함양군에서도 찾을 수 있다. 바로 ‘함양 백용성선사 화과원 유허지 (咸陽 白龍城禪師 華果院 遺墟址)’다. 진종 백용성(白龍城)대종사는 구한말의 승려이자 독립운동가로 3·1운동 때 만해 한용운과 함께 불교측 대표로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분이며 그가 1927년 함양군 백전면 백운산 8부 능선의 황무지와 임야를 개간하여 과수원을 조성,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자금조달을 위해 세운 국내 유일의 선승농장이 화과원이다. 함양의 역사를 넘어 대한민국의 근대사에 소중한 사료로 보존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는 이유다. 본지는 ‘독립·개혁의 상징 함양 화과원의 재발견’ 기획 취재를 통해 상해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자금 지원과 참선하며 일하는 선농일치의 불교운동 진원지였던 화과원의 현재 모습과 위상을 고찰하고 미래의 위상을 정립해 국가사적지 지정을 위한 점검의 기회로 삼고자 한다. 아울러 화과원의 재발견을 통해 경남 함양이 독립운동의 산실이요 충절의 고장임을 밝혀 군민의 자긍심 고취와 우리 고장 함양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드높이고자 한다. / 편집자 <글 싣는 순서>1. 민족독립과 불교개혁의 진원지2. 민족과 전통불교를 지킨 백용성 3. 화과원의 중심 대각사상4. 만주 길림에서 함양 백전까지5. 함양 화과원의 2027년 만주 길림에서 함양 백전까지 만주 대각교 농장과 함양 화과원일제 강점기에 불교개혁과 독립운동의 전진기지 역할을 했던 함양 화과원의 실체를 연구하는 한동민 수원화성박물관장은 2017년 12월 대각사상 28집에 논문을 발표했다. 그의 <백용성의 만주 대각교 농장과 함양 화과원> 연구 논문을 통해 함양 화과원의 운영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중국 길림성 용정의 대각교당과 명월구의 대각교 농장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함양 화과원의 운영 양상을 비교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그의 논문에 따르면 백용성 선사는 1920년대 한국독립운동의 주요 활동무대였던 만주에 대각교당(大覺敎堂)과 대각교 농장을 개설하였다. 안수길의 소설 「원각촌」은 만주의 대각교 농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용성은 운츨라즈(瓮声砬子)에서 12km 북쪽 용산동에 120만평의 광대한 산림과 토지를 구입하여 대각교 농장을 경영하였음 알 수 있다. 100호에 이르는 한국인 농민들의 이상촌 건설을 꿈꾸었다. 대각교 농장은 가난한 조선인 농민들에게 토지를 개간한 5년 동안 소작료 면제, 주택 건축비 50원 지원 및 목재 제공, 세 집에 소 한 마리씩을 제공하는 파격적 조건이었다. 소작료도 저렴하게 하여 3.7제(농장 3, 소작인 7)로 만주의 한국인 농민들에게 경제적, 정신적 안정을 제공하고, 독립운동 거점을 만들려는 것이었다. 여름에는 농사와 목축, 겨울에는 숯을 만들어 팔아 경제적 자립과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만주 대각교 농장 경영의 국내적 응용과 연장이 함양 화과원의 운영이라 할 수 있다. 이곳에서 과수원을 경영하고 선원(禪院)을 운영하였다. 자급자족적 농장이요 승려들의 수도처이자 지역의 가난한 아이들을 위한 교육장이었다. 용성 자신의 휴식처이자 여생을 보낼 안식처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시에 생산조합과 소비조합을 통한 새로운 농촌을 건설하고 교당을 만들어 순회 포교사를 배치하여 소작인들의 신앙생활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이는 종교를 기반한 농촌계몽 운동의 공간이자 이상촌을 꿈꾸었다고 할 수 있다.만주의 대각교 농장과 함양의 화과원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독립운동 자금 지원은 다양한 루트를 통해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자료의 부족으로 증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지만 이 또한 어려운 작업이다. 다만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환국 이후 20일 만인 1945년 12월 12일 김구 일행의 대각사 방문이 상징하는 바가 크다고 주장했다. 안수길의 소설 <원각촌>을 통해 본 대각교 농장<원각촌>은 소설가 안수길(安壽吉, 1911∼1977)이 일제강점기 간도에 활동하며 발표한 대표적 작품이다. 「원각촌」은 안수길의 경험이 묻어나는 사소설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를 문학적 측면보다 역사적 측면에서 해석해 볼 수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내용은 용성스님과 대각교 그리고 만주에 열었던 대각교당 및 이상촌 건설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비록 소설이지만 용정의 대각교당과 대각교 농장에 대한 당대인의 눈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인 셈이다. 안수길은 대각교 및 용성과 밀접한 인연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소설은 원각촌, 즉 대각교 농장이 옹성립자(운츨라즈)에서 북으로 30리 지점의 분지에 위치하고 있다고 적고 있다.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였기에 겨울에 바람 막기가 좋았고, 10만평의 산림은 이깔나무 고목이 자옥이 들어앉아 큰 집 기둥감은 물론 겨울 땔나무가 풍부한 곳이었다. 이곳에 100호 정도 꾸려 법당과 학교를 중심으로 남쪽으로 집을 짓고 대각교에 기초한 이상촌을 건설하고자 했던 것이다. 더욱이 여름에는 농사를 짓고 겨울에는 숯을 만들어 팔 수 있으며, 산 옆의 초원에서 목축을 계획하였음을 알 수 있다. 대각교 농장의 꿈을 확인할 수 있다.용성 선사의 만주 대각교 농장의 경영은 단순히 스님들이 농사짓고 수행하는 곳이 아니라 유랑하던 동포들이 대각교회를 통해 정신적으로 위로를 받고 대각교 농장에 정착하여 농사를 짓고 제대로 살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자 독립운동의 방편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정 대각교당과 옹성납자(명월구) 용산동의 대각교 농장은 용성의 또 다른 독립의지와 불교개혁의 이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대각교 농장’이라는 용어가 용성 스님의 원대한 꿈을 보다 발전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다.함양 화과원의 역사적 의미대각교 농장을 통해 용성은 또 다른 독립의지와 불교개혁의 이상을 보여주는 것을 국내로 연장한 것이 함양 화과원(華果院, 함양 백운산) 경영이라 할 수 있다. 화과원은 화엄경과 화엄사상과 관련한 용어로 용성 선사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용성스님과 인연이 깊은 문학가 김달진은 1935년 용성스님이 창립한 ‘항일 불교단체인 대각교가 운영하는 화과원’에서 반선반농(半禪半農)의 수도생활을 하면서 용성 스님이 번역한 <화엄경(華嚴經)>을 공부했다. 특히 그는 1984년 불교사상에 발표한 <나의 인생, 나의 불교>에서 ‘화(華)를 인행(因行)과 비유한 것은 참으로 광대무변의 깊은 진리가 있다 할 것이다. 꽃에는 피어나기 시작하는 화(華)와 열매(實)까지의 중간에 해당하는 생과(生果)의 화(華), 그리고 화실(華實)의 때인 장과(莊果)의 화(華) 등 세 가지가 있다. 이렇게 볼 때 용성 스님이 화과원이라 이름 하여 백운산에 선농을 병행하는 항일 불교단체인 대각교를 창시하고 경제적 자립상태에서 장과(莊果)=화과(華果)의 참뜻인 인과상즉무애(因果相卽無碍)를 몸소 후진들에게 교시한 것은 불교사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높이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라고 적고 있다. 또 그는 1941년 북간도 대각교 농장을 찾았지만 용성스님이 입적하신 뒤 대각교 농장은 운영상 어려움이 많았다고 적고 있다.용정 대각교당과 안투현 명월구의 대각교 농장 및 함양 화과원의 운영은 백용성 선사의 중요한 과업이었다. 백용성의 삶 자체가 독립운동이었기 때문이다. 화과원은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이기 이전에 불교개혁을 위한 거대한 실험의 장소였다. 그 거대한 실험에는 인간에 대한 보편적 자유와 더 나아가 조국의 독립을 위한 염원을 담은 노력이 함께 했던 것이다. 만주 대각교 농장과 함양 화과원의 꿈과 땀, 그 꿈은 크고 깊고 넓어서 앞으로 한국불교의 또 다른 거대한 미래를 찾는 숨은 보배라 할 수 있다. 박민국·정세윤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