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선도國仙道의 단법丹法을 보면 우주의 근본이치인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원리를 중심으로 명쾌하게 설명하는 것을 알 수가 있는데, 장부臟腑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장臟이란 육肉변에 장藏으로서 감추어 비밀적 작용을 한다는 뜻이고, 부腑는 육肉변에 부府로 물질을 보관하고 출납하는 부고府庫의 뜻이다. 사람에게 있어서 중심의 역할을 해주는 것은 토土의 장부臟腑인 비장(지라)과 위장으로서, 인체 가운데에 있어 다른 모든 장기를 통하여 생성한 기운과 혈액으로 소모되는 기혈氣血을 보충해 준다. 위장은 중앙에 있으면서 음식을 받아들여 수화기혈水火氣血의 원료를 모아 죽과 같이 만들어 소장小腸으로 내려 보내면 소장은 이것을 받아서 소화하여 기혈氣血의 진액이 되게 하며, 이 진액은 하단전下丹田을 통하여 간으로 가서 생명활동에 필요한 생신生新한 기혈氣血이 되므로 생명의 문이라 하는 것이며, 몸을 보양保養한다. 바로 하단전下丹田에서 생동의 힘이 간으로 나와 생신生新한 기혈氣血이 되어 내 몸을 보하고 키우는 것이다. 그리고 그 기혈氣血을 비장이 받아 적혈구, 백혈구, 임파구를 제조, 정리하고 보관하여 생리적으로 요구될 때 즉시 피를 통하여 보내 주어 기혈氣血의 부족함을 항상 보충해 주면서 조절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장과 위장이 실하면 다른 내장들 역시 튼튼하게 되고 비위脾胃가 약하면 모든 장부와 생리도 따라서 약해지는 것이니 비위가 중기中氣를 간직하고 있는 까닭으로 온몸을 통하여 기혈氣血을 조화하고 전부를 거느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동양의 의학은 비위脾胃의 기氣가 많고 적고와 있고 없음으로써 생사를 결정하게 되는 것으로 음양을 단합시키는 힘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비장과 위의 작용을 거쳐 작은 창자까지 내려와서 소화된 진액을 통해 하단전下丹田까지의 깊은 심호흡으로 행공하여야 진정한 도력을 쌓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비위脾胃의 역할은 음양오행론의 토土의 작용인 중재와 조절, 조화의 그것과 정확히 일치한다. 참고로 ‘약방의 감초’는 한약을 제조할 때 토土의 기운인 단맛의 감초甘草가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서 한약방에는 항상 감초甘草가 있다는 데서 유래한 말로 어디에나 빠짐없이 끼어드는 사람 또는 꼭 필요한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해 이르는 말이다. 비위脾胃를 건강하게 하고, 특히 모든 약을 조화롭게 하는 강력한 효능이 있는 약재로, 국노國老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연륜과 경험을 바탕으로 신하들의 의견을 조율하여 좋은 결과를 이끌어내는 원로대신처럼, 감초甘草는 다른 성분의 약재들이 어긋나지 않고 잘 어울려서 훌륭한 효과를 내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토土의 기운인 꿀에 구운 감초甘草를 차처럼 내려 먹으면 비위脾胃를 따뜻하게 해주면서 신경을 안정시켜주어 신경성 소화장애나 위궤양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약재 하나만 달인 ‘단미單味’는 약성이 세기 때문에 맞지 않는 사람에게는 크게 부작용이 날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하겠다. 삼초三焦는 육부六腑의 하나로 육기六氣 중에 군화君火인 심장의 불기운을 보조하는 상화相火의 기운이다. 초焦는 불로 태운다는 뜻이다. 목구멍에서부터 전음(前陰 : 배뇨와 생식을 담당하는 요도를 포함한 외생식기), 후음(後陰 : 항문)까지의 부위를 말한다. 삼초三焦는 각 장부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서로 기능적으로 연결해주는 연결 통로나 기능 체계를 말하는 것으로 한의학에서만 있는 장기의 개념이다. 따라서 삼초三焦라는 것은 해부학엔 없다. 이것은 생명 유지의 3단계(먹고, 먹은 것이 온몸으로 퍼지게 하고, 배설하는 것)의 각 단계마다 일어나는 생리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삼초三焦는 기혈을 잘 돌게 하며 음식물을 소화시켜 영양물질을 운반하며 수도가 잘 통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삼초三焦의 주요 생리기능은 원기를 통행시키고 수액운행의 길이 된다. 이러한 삼초三焦는 부위에 따라 상초上焦, 중초中焦, 하초下焦로 나뉜다. 상초上焦는 가슴부위로 심장이나 폐의 작용을 도와서 기운이 온몸을 잘 퍼지게 도우며, 중초中焦는 명치 아래 윗배로 소화 기능을 도우며, 하초下焦는 아랫배로 배설 기능을 돕는다.※ 이음二陰 : 전음과 후음을 말한다. 소변의 배설은 방광을 통해서 이루어지지만 반드시 신장腎臟의 기화氣化를 거쳐야 완성된다. 신장腎臟의 기화氣化에 이상이 생기면 빈뇨頻尿, 유뇨遺尿, 요실금尿失禁, 소뇨少尿, 변비, 설사 증상 등이 나타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