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6장부지런함이란 도덕과 의리에 민첩한 것을 말함인데 세상 사람들은 부지런함을 빌어 그 가난함을 구제하는 구나. 검소함이란 재물과 이익에 담백한 것을 말함인데 세상 사람들은 검소함을 빌어 그 인색함을 꾸미는구나. 군자가 몸을 닦는 방법이 도리어 소인이 사욕을 도모하는 도구가 되고 있으니 애석한 일이로다. <원문原文>勤者(근자)는 敏於德義(민어덕의)어늘 而世人(이세인)은 借勤而濟其貧(차근이제기빈)하고 儉者(검자)는 淡於貨利(담어화리)어늘 而世人(이세인)은 假儉以飾其吝(가검이식기린)하나니 君子持身之符(군자지신지부)기 反爲小人營私之具矣(반위소인영사지구의)라 惜哉(석재)로다. <해의解義>근면이란 도덕을 닦고 의리를 지키는데에 민첩하라는 것인데 소인들은 자기 재산 늘리는 일을 근면이라고 한다. 검소함이란 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는 것을 말함인데 소인들은 인색한 것을 검소하다고 한다. 군자가 몸을 닦고 인격을 수양하는 방법을 소인들은 자신의 사리사욕을 채우는 수단으로 삼고 있으니 통탄할 일이 아니겠는가.<주註>德義(덕의) : 도덕과 의리. 借(차) : 빌다. 濟(제) : 구제하다. 淡(담) : 담박함, 욕심이 없이 담담함. 貨利(화리) : 재물과 이익. 持身(지신) : 몸을 가짐, 수신. 符(부) : 부적, 방법. 反(반) : 도리어. 營私(영사) : 사욕을 채움. 具(구) : 도구, 연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