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과잉 재배에 따른 양파가격 폭락 우려가 현실로 다가왔다. 본지는 지난해 11월 양파종자 보급량 등을 기준으로 올해 양파재배 면적과 생산량을 추산, 전년보다 30%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가격 폭락에 대한 우려를 보도(2017년 11월13일자 1면 머리기사)한바 있다. 양파 등 채소가격 안정제 사업 대상 품목에 대해 사후 약방문식이 아닌 사전 재배면적 조절 등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 수급조절을 통한 가격 안정을 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턱없이 부족한 저장·가공시설 확충 등으로 수급 조절기능을 강화하는 등 다각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올해 전국 양파 재배면적은 지난해에 비해 35.2% 늘어나 22만7000톤이 과잉 공급될 것으로 예측돼 중·만생종 출하를 앞두고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가격이 20%이상 폭락하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이에 따라 이달초 2018년산 중·만생종 양파 수급 및 가격안정을 위해 산지폐기 물량을 정해 각 지역별로 배정했다. 함양지역은 함양농협을 비롯해 수동, 안의, 지곡 등 4개 단위농협에서 수급조절을 위해 계약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산지폐기 신청을 받았으나 배정 물량 61ha의 63% 수준인 39ha 신청에 그쳤다.함양지역 산지폐기 신청실적을 단위농협 별로 보면 함양농협이 29만9900㎡로 가장 많고 다음이 수동농협 3만4880㎡, 지곡농협 3만4000㎡, 안의농협 1만4770㎡ 순이다. 산지폐기 지원금은 평당(3.3㎡) 6953원으로 함양지역 폐기 농가에는 모두 8억670여만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함양지역에서는 올해 1012농가에서 중·만생종 양파 962ha를 재배, 약 7만2750톤이 생산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897ha를 재배해 6만5250톤을 생산한 것과 비교하면 지난해 생산량의 11%가 넘는 7500톤이 초과생산 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현상은 함양지역에 국한된 것이 아니어서 문제의 심각성을 더한다. 양파생산농가 등에 따르면 “산지폐기 지원단가가 낮은데다 신청자격도 계약재배를 체결한 농가로 한정하는 바람에 폐기목표 물량을 채우지 못해 생산량 조절 취지를 살리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그들은 또 “산지폐기 목표 미달 물량에 대해서 일반농가로 참여 대상을 확대해 추가 폐기 조치해야 당초 계획대로 가격안정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지폐기 지원금은 농협 40%, 국비 30%, 군비 21%, 도비 9%를 출연해 충당하게 되는데 생산농가를 보호한다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무분별한 재배 확대로 촉발된 가격폭락 현상까지 세금과 농협 조합비로 충당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