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등 수도권 일부 재활용품 수거업체들이 비닐·플라스틱·스티로폼 수거를 거부 하면서 ‘재활용 쓰레기 대란’으로 떠들썩하다. 함양군은 군이 직접 쓰레기를 수거해 처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당장은 쓰레기 대란은 피할 수 있지만 이같은 문제가 장기화 하면 함양군도 예외가 될 수 없다는 점에서 군민들의 쓰레기 줄이기 및 분리배출 동참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된다. 그 배경에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민간 업체와 계약을 맺고 재활용품을 수거해오던 중 지난 1월부터 중국의 폐자원 수입금지 조치 이후 판로가 막혀 재활용 업체들이 수거 거부 선언을 한 것이다. 4월5일 함양군에 따르면 현재 11개 읍면은 정상적으로 재활용품을 수거하고 있다. 수도권과 달리 함양군은 아파트 단지와 지정 배출지의 쓰레기를 직접 수거하고 직영 폐기물 종합처리장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처리장에는 2014년부터 시설을 재정비해 폐기물 소각시설, 폐기물 매립 및 재활용 시설 침출수처리시설 등을 갖추어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서 지난해 하루 평균 수거해 처리한 쓰레기량은 40t으로 매립 17t, 소각 16t, 재활용품 7t이다. 함양군 관계자는 “폐비닐은 한국환경공단에서 따로 수거하고 자체에서 선별한 빈 병, 고철, 페트병 등은 압축 처리한 후 입찰을 통해 계약한 민간 수집상에 돈을 받고 파는 형태이다. 따라서 단가가 떨어지긴 했지만 선별과정을 거친 재활용품을 업체에 넘기기 때문에 수거 거부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재활용품 가격이 하락하고 판로가 막히게 되면 재활용업자들도 수거를 꺼림으로써 함양군도 쓰레기처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함양군 환경시설담당 관계자는 “함양군에서 재활용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아직까지 큰 문제는 없지만 현재 전국적으로 재활용 쓰레기가 이슈가 되고 있는 만큼 정부에서 대책 방안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번 기회로 군민들의 생활형태도 친환경적으로 바껴야 한다”며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분리배출 요령을 지키고 생활 쓰레기량을 줄이는데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