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한·중 수교 25주년을 맞은 해다. 최근 사드문제와 위안부 문제 등이 불거지면서 한·중·일 동북아 3국의 관계가 다시 냉랭해 지고 있다. 하지만 한·중·일 동북아 3국의 서복(徐福)을 매개로한 역사·문화 교류는 그 어느때 보다 활발하다. 서복은 2200여년전 진시황의 명을 받아 불로초를 찾아 동도(東渡)에 나선 인물이다. 그는 비록 전설 속 인물이기는 하지만 단순히 불로초를 구하러 동도에 오른 게 아니라 당시 중국의 선진 문물을 한국과 일본에 전파한 평화사절이기도 했다. 주간함양은 ‘불로초, 서복의 꿈을 찾아서’라는 기획을 통해 함양을 비롯한 한국과 중국에 전해 내려오는 서복에 관한 전설과 자료, 각 지자체의 서복 마케팅 등을 재조명해 불로초의 고장 함양의 명성을 더 높이고 웰빙·고령화시대에 맞춰 지역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① 불로초와 서복 그리고 그의 발자취 ② 거제와 남해의 서복 이야기③ 제주도의 서복전설과 전시관④ 중국의 서복 마케팅 1⑤ 중국의 서복 마케팅 2 ⑥ 함양군의 항노화와 서복 마케팅 신격화 우상화를 통한 국부(國富) 창출 ‘잰걸음’ 서복의 고향 강소성 연운항시 감유구를 비롯한 산동성과 절강성 등 동중국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서복 관광 자원화사업은 그 어느 때보다 활기가 넘친다. 그러나 한때 서복은 중국 현지에서는 ‘배신자’라는 낙인이 찍힌 인물이기도 했다. ‘불로초를 구해 오겠다’며 진시황을 속여 삼천동남동여와 오곡종자, 각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을 가진 백공 등 수천명을 거느리고 출항한 뒤 돌아오지 않은 인물로 알려졌었다. 한때 배신자였던 그가 영웅으로그런 그가 20세기말부터 동아시아 평화사절로 재조명 받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신격화 우상화작업까지 한창이다. “서복은 단순히 불로초(장생초)를 구하러 간 것이 아니라 영토를 확장하기 위한 것”이라는 주장이 1980년대 중반부터 홍콩의 학자와 중국불교연합회장에 의해 제기 되면서 서복의 신격화 작업은 시작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오곡종자와 농업기술, 어로기술 등 선진문물을 전파한 평화사절이었다는 점에서 서복을 존경하고 있지만 중국 현지의 시각은 조금 달랐다. 우상화 신격화를 통해 서복 마케팅에 활력을 불어 넣겠다는 전략인 듯하다. 일본 역시 여러 지역에서 서복을 신(神)으로 섬기고 있다고 한다. 일부 중국 학자가 주장하는 것처럼 일본에서도 서복이 일본을 건국한 시조였을 것이라는 설도 인정하는 분위기다. 서복의 고향 또는 출항지였다는 주장이 중국 동부지역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만 봐도 중국에서의 서복열기를 가늠할 수 있다.본지 취재팀이 현지 취재차 방문한 강소성 연운항시 감유구 금산진(金山鎭)은 서복의 고향으로 유력하게 꼽히는 곳이다. 행정구역명이 바뀌기 전에는 감유현 금산향 이었다고 한다. 감유구 주운리(周云利) 부진장겸 홍보주임과 진박림(陳博林) 역사문화연구담당 부주임을 통해 중국의 서복마케팅에 대해 들어 봤다.주운리 부진장은 “현재 중국에서 서복을 관광상품화하기 위해 각 지방 정부, 특히 서복과 관계가 깊은 동부해안지역 지방 정부들은 경쟁적으로 유적을 발굴하고 관광지를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곳 감유구나 산동성 용구시, 절강성 자계시 등은 이미 유적지에 조각상 등을 설치하고 공원을 조성해 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서복의 고향마을로 알려진 서복촌이 소재한 감유구 금산진 일대에는 서복관련 유적과 관광자원이 산재해 있다. 연운항시 시가지를 벗어나 서복촌을 향해 자동차로 30여분 농로 같은 시골길을 달리다 보면 너른 벌판 한가운데 석상이 우뚝 솟아 있다. 서복문화광장이다. 높이 6m에 달하는 서복상이 위용을 자랑하듯 서 있다. 잘 생긴 외모에 방사의 복장을 하고 있다. 한 손에는 진시황으로부터 받은 교지를 들고 있다. 물론 그림이나 사진 기록 등으로 묘사된 서복에 대한 모습은 전하지 않는다. 진 부주임은 “서복상이 서복의 원래 모습 아니지만 당시 제나라 사람의 얼굴 모습에 구전 등을 통해 전해지는 서복의 모습을 조각한 것이다”고 했다. 약간의 과장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는 이 같은 서복상이 3곳에 있다고 한다. 서복의 2차 동도 출항지로 알려진 산동성 용구시 서복공원과 삼천동남동녀를 모집했던 절강성의 서복상이 그것이다. 진박림 부주임은 “금산진 서복문화공원의 서복상은 1985년 건립된 것인데 중국에서 최초로 세워진 중국 1호 서복상이다”며 “서귀포와 남해 등 한국과 일본에도 서복상이 있지만 그 후에 세워진 것이고 중국 1호이니 당연이 세계 1호 서복상이다”고 소개했다. 그의 말에서 감유구 사람들은 이 곳 금산진이 진짜 서복의 고향이라는 확신을 갖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조각상 옆에는 한·일 양국 민간단체에서 기증한 ‘한중 문화교류의 선구자 서복(韓中 文化交流의 先驅者 徐福)’과 ‘일본의 시조 서복(日本의 始祖 徐福)’ 이라는 기념비가 세워져 2200여년을 잇는 3국의 우호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서복촌에는 서씨가 없다자동차로 5~10분거리에 서복을 모셔 놓은 서복사(묘)가 있다. 입구부터 대궐의 모습을 하고 있다. 많지는 않지만 영정 등 서복관련 유물을 보관하고 있다. 해마다 청명(4월 5일경)이면 서씨 후손들이 서복에게 제사를 올린다고 한다. 후손들이 제향을 올리는 것도 불과 몇 년전부터다. 하지만 전국에서 1만명 정도가 제향에 참석한다고 하니 대단한 일이다.서복사에서 조금 더 가면 서복의 고향 서복촌이다. 서복촌에는 현재 1000여 가구가 살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서씨는 한명도 살지 않는다고 한다. 주운리 부진장은 “서복이 동도에 오르기 전에 불로초를 구하지 못할 경우 후한이 두려워 서복촌에 살고 있던 친척들이 피해를 볼까봐 성을 바꾸거나 다른 곳으로 이주하라고 했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 했다. 서복촌에는 서복을 고향임을 알리는 서복고리(徐福故里)라는 표지석이 있을 뿐 별다른 유적은 없다. 서복촌에 서복상을 건립하지 않고 서복문화광장을 건립한 것도 관광지로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연운항시 감유구 시내에는 감유박물관이 있다. 서복전시관은 이 박물관 안에 있다. 주로 한·중·일 3국의 서복 연구자료와 전설 등을 소개하고 있다. 서복사에 있던 일부 자료들을 옮겨와 2015년 이곳에 기념관을 열었다고 한다. 전시관 중앙에 자리한 서복 선단이 항해에 이용했던 배 모형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끈다. 중국인들이 좋아하는 붉은색 천으로 닻을 올렸다. 모형 건조에 사용한 나무의 재질도 당시 사용했던 것과 같은 것이라고 한다. 콜럼버스를 능가하는 중국의 위대한 항해가이자 탐험가 정화(鄭和)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서복이 정화 못지않은 인물임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손오공 고향 등 유명관광지 연계주운리 부진장은 “연운항시는 서복 외에도 풍경구로서 관광지가 많다”며 “우리 지방정부는 서복관련 유산을 기존 관광자원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내기 위한 사업들을 펼치고 있다”고 했다. 연운항시에 있는 화과산(花果山)은 <서유기>에 나오는 손오공의 고향으로 유명한 관광지 로 사시사철 꽃이 피고 일년내내 과일이 가득한 선인의 산으로 묘사되고 있다. 공자가 제자들을 데리고 와 바다를 바라보며 학문을 논했다는 공망산(孔望山). 이 곳은 한나라 때 인도에서 처음으로 불교가 들어온 곳으로 중국 1호 불상이 세워져 있다. 이 불상은 국가 최고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고 한다. 복숭아 나무가 많아 도화관이라고 이름 붙여진 계곡은 8000년전 동방문화의 발상지라고 한다. 당시 농민들의 생활문화를 말해주는 유물이 대량 발굴된 곳이다.진박림 부주임은 “연운항시 앞 바다에 있는 진산도(秦山島)도 2년 전부터 관광지로 개발해 올해부터 개방하고 있다”며 이 섬에 얽힌 전설을 들려주었다. “전국을 통일한 진시황이 연운항에 왔다가 앞바다에 있는 섬이 너무 아름다워 그 섬에 들어가기 위해 채찍질을 했더니 섬까지 돌길이 생겨 무난히 섬에 들어갈 수 있었다”는 이야기다. 그는 지금도 썰물이면 그 흔적을 볼 수 있다고 했다. 그 길은 신선이 다니는 길이라고 해서 선로(仙路)라고 이름 지었다고 한다. 그들도 썰물때 자연스럽게 생기는 자연현상임을 모를 리 없다. 서복마케팅을 위한 풍부한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이다.서복 마케팅을 위한 그들의 스토리텔링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중국인들이 즐겨 마시는 차와 술에도 서복을 입혔다. 감유구에서는 서복이라는 브랜드로 차와 술을 생산한다.서복차 ·서복주 등 산업화 접목서복의 고향 금산진 서복문화광장 인근 40만㎡가 서복차를 생산하는 녹차밭이다. 이 곳에서 생산되는 서복차는 무려 연간 2만5000㎏이라고 한다. 30명의 종업원이 상시 근무한다. 녹차 수확철에는 하루 300~400명의 인부가 찻잎을 따 들인다고 한다. 연매출 600위안, 한화로 약 10억원이다. 이 서복차공장은 1973년 설립해 녹차를 생산해 오다 서복에 관심이 높아지던 1980년대에 회사이름을 서복차공장으로 바꾸고 모든 제품에 서복차라는 이름을 붙여 시중에 판매하고 있다고 한다.자신도 서복의 후손이라고 밝힌 위군여(韋君余·64) 서복차공장 대표는 서복과 서복차를 알리기 위해 서복차에 대한 전설을 담아 팸플릿을 만들어 배포하고 있다. 위군여 대표는 “서복은 10살 때 약초를 감별할 줄 알았고 15살 때 견문을 넓히기 위해 고향을 떠나 전국을 유람한 뒤 고향으로 돌아 왔다”면서 “고향으로 돌아온 서복이 큰 나무아래에 자라는 작은 나무의 잎을 따 끓여 먹기 시작한 것이 서복차의 유래다”고 했다. ‘서복차’라는 이름도 진시황이 직접 하사한 이름이라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고 말했다.서복차와 마찬가지로 서복주도 1950년대 설립한 양조장을 80년대초에 서복양조장(대표 손국은)으로 이름을 바꿔 22도에서 62도짜리까지 50여종의 다양한 서복주를 생산하고 있다. 철저한 주문자 생산방식이라고 한다. 주류 유통업자나 소비자가 주문을 하면 생산하는 방식이다. 양조장이라고해서 우리나라 시골마을 술도가 정도로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공장 규모도 상당하다. 공장 건물만 10동이 넘는다. 증류공장과 술 창고, 원료인 수수보관 창고 등 눈대중으로 봐도 3만㎡는 족히 넘을 듯하다. 서복주는 1988년 중국 저도주 품평회에서 특등상을 수상하며 품질도 인정받았다.이 밖에도 연운항시는 서복을 알리기 위해 ‘서복고향해양축제’를 열고 있다. 올해로 10회째를 맞는 서복축제는 지난 1985년 처음 시작돼 부정기적으로 개최해 오다 서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3년전부터는 해마다 열고 있다고 한다. 서복문화 국제학술대회를 비롯, 서복 경극, 서복무 등 서복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짜여 있다.중국은 이미 서복 유적 관광자원화 및 상품개발 등을 통한 서복마케팅으로 새로운 활로를 개척해 나가고 있었다.최경인·정세윤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