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기가 끝나고 방학이 시작되었지만 방송매체를 통해 보도되는 학교폭력의 심각성으로 국민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그리고 새롭게 발생되는 신종학교폭력 역시 그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하여 우리 곁에 나타나고 있다. 한 대표적인 예로는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학생들 사이에 단체 카톡방에 피해 학생들을 초대하여 괴롭히는 카톡왕따가 있다. 카톡 왕따엔 여러 종류가 있다. 가장 기본적인 카톡 왕따는 스마트폰이 없거나 카톡에 가입하지 않은 아이들을 따돌리는 것이다. 반대로 피해 학생이 카톡 채팅방에서 빠져나갈 수 없도록 계속해서 ‘초대하기’를 해 괴롭히는 방법인 일명 ‘카톡 감옥’이 있다. 그리고 카톡뿐만 아니라 SNS 공간에서도 시간과 장소를 구애받지 않고 피해학생을 괴롭히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 전혀 죄의식을 갖지 못하는 가해 학생들이 많다. 보다 학교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학생들에게 주지시켜야하며, 학생과 학생 간 원만한 관계를 유지시키기 위해 학교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 내에서도 평소 아이들에게 더 이상 학교폭력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며, 부모와 자식 간의 원활한 관계가 이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피해학생 역시 학교폭력이 발생한다면 망설이지 말고 적극적인 신고와 상담을 통해 학교폭력으로 벗어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이다. 경찰 역시 각 학교마다 학교전담경찰관(spo)을 배치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경찰지원센터인 안전드림(www.safe182.go.kr)을 통해 117 학교폭력 신고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 모두가 더 이상 학교폭력으로 고통받는 학생들이 없도록 적극적인 관심을 통해 해결해 나가야할 과제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