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의 고고한 멋이 한껏 풍기는 ‘한옥’. 수백 년을 내려오며 조상들의 슬기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한옥은 기왓장 하나하나, 층층이 쌓인 돌담도 모두가 문화재와 같은 비범함이 맴돈다. 위압감을 풍기며 치솟은 솟을대문은 더 높은 선비의 정신이 녹아 있으며, 넓지는 않지만 정성이 가득한 마당과 정원에는 소박함이 묻어난다. 손때가 묻어 반질반질 윤이 도는 대청마루는 그 하나만으로도 아늑함을 선사한다. 불편할 것 같은 방안은 나름대로의 편안함을 선사한다.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남루하지 않은 멋이 있고, 비슷한 것 같아도 숨은 의미가 남다른 기와집이 바로 수백 년을 우리 민족과 함께해 온 한옥이다. 오랜 세월 우리의 DNA 속에는 향수로 자리 잡은 한옥은 불과 한 세기 사이에 자취를 감추고 사방이 꽉 막힌 콘크리트 건물에 갇히고 말았다. 그 옛날부터 마을을 차지했던 한옥은 언제부턴가 하나둘 사라지고 그 곳에는 콘크리트 더미가 차지했으며 한옥은 이제 ‘고택(古宅)’이라는 이름으로 관광지로 변했다. 오래된 것들은 사람을 편안케 한다. 하루 종일 눈으로 보는 것은 콘크리트 건물이거나 유리뿐인 환경을 벗어나 오래된 마을에 자리하고 있는 고택을 방문하면 마음이 그렇게 편할 수가 없다. 이번 기획취재는 고택의 재평가도 아니고 그렇다고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기사는 더욱 아니다. 어디에 내 놓아도 부끄럽지 않은 함양의 문화유산, 고택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고 우리의 문화유산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되새겼으면 한다. <편집자 주> 1. 고택의 향기를 품은 함양2. 일두 고택에 흐르는 기품3. 풍천노씨 대종가와 하동정씨 고가4. 오담 고택과 노참판댁5. 우명리 정씨고가와 허삼둘 가옥6. 과거로 현재를 만드는 전주 한옥마을7. 전통이 살아 숨 쉬는 안동 양동마을 1. 고택의 향기를 품은 함양 함양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딱히 생각해보면 ‘이거다’하는 것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 그렇지만 함양인으로 태어나 항상 들어오며 가슴 속 자부심을 가지게 했던 말, ‘선비의 고장 함양’이라는 함양을 대표하는 대명사처럼 굳어버린 이 말을 항상 머릿속에 남는다. 선비의 고장을 일컬을 때 ‘좌 안동, 우 함양’이라는 수식어가 항상 따라 붙는다. 조선시대 성리학을 대표하는 동방오현 중 한 분으로 추앙받는 일두 정여창 선생을 비롯해 뛰어난 학자들을 많이 배출한 선비의 고장으로 손꼽히는 곳이 바로 함양이다. 선비의 고장, 이를 가장 잘 표현해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우리 선비들의 고고한 정신세계가 머물렀던 오래된 집 ‘고택’이다. 세대를 이어 대물림되며 선비정신의 표상처럼 우뚝 솟아 있는 고택의 아름다움은 다른 어떤 것에 비할 바가 아니다. 이번 호에는 함양의 선비정신을 가장 잘 보여주는 개평마을 소개를 통해 과거로의 여행을 떠나려 한다.  한옥의 부상, 고택의 변신 지난 2010년 8월 1일 경주의 ‘양동마을’과 안동의 ‘하회마을’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함양과 더불어 우리나라 대표적인 선비의 고장 안동의 한옥마을들이 세계인의 주목을 받으며 그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다. 전국 각 지자체들도 잇따라 한옥 활성화 정책을 내놓으며 기존의 한옥 집단지구를 정비하고, 어떤 곳에서는 한옥마을을 새롭게 조성하는 곳도 늘고 있다. 불과 한 세기도 지나지 않아 사라져가던 전통 한옥이 다시 인정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그 이유에 대해 한옥이 가진 과학적이며 자연친화적인 구조를 꼽는다. 이 같은 과학적인 건물 설계뿐만이 아니라 한옥이 가진 아름다움에 매료된다. 특히 한옥투어나 고택투어 등 새롭게 변하는 관광트렌드에 맞춰 한옥을 주제로 한 한옥마을이 훌륭한 관광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다. 기존에 우리 주변에 늘 있어왔던 문화자산 ‘한옥’ 그 하나로도 훌륭한 관광자원이 될 수 있고 한옥마을 자체로 역사문화도시로서 불릴 수 있다. 개평 한옥마을을 간직한 함양은 세계 어디에 내 놓아도 뽐낼 수 있는 훌륭한 관광자원을 가진 것이다. 600년 역사를 간직한 개평 한옥마을 함양군 지곡면 개평마을. 함양의 고택들이 즐비하게 늘어선 함양의 자랑이다. 하루 수백 명의 관광객들이 찾아와 함양 한옥의 아름다움을 감상하고, 함양의 선비정신을 조금이나마 체득하는 함양 문화의 산실이 되고 있다. 개평마을은 100여 가구 180여 명이 살아가는 시골로서는 비교적 큰 규모를 자랑한다. 개평마을은 마을 입구에서 보면 좌우로 두 개의 개울이 마을을 가운데 두고 흘러 다시 하나로 합류한다. 개울에 끼여 있는 평평한 평지라고 해 개평(介坪 끼일 개, 들 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또 지형이 개(介)자 형상이라 마을 이름이 지어졌다는 유례도 있다. 배가 힘차게 항해하는 모습을 닮아 ‘행주형(行舟形) 마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을 주변으로는 수백 년 된 소나무들이 병풍처럼 둘러있다. 마을을 보호하기 위해 심어졌다고 전해지는 이 소나무들은 300년에서 500년 된 적송들로 마을의 역사와 함께 해 왔다. 개울 사이, 소나무 평풍에 둘러싸인 개평마을 고택들. 그 옛날 선비들은 집을 짓기 위해서 길지(吉地)를 찾아 헤매고, 그렇게 찾은 터에 또 다시 풍수지리에 맞게 건물을 배치하는 수고스러움을 마다하지 않았다. 한번 지으면 수백 수천 년 동안 자손만대가 머물며 편안과 안존 영위할 수 있는 집을 짓기 위한 그들의 고육지책(苦肉之策)이었을 수도 있다. 자연과 가장 잘 어울리는 건물 배치를 통해 선비들은 자연을 닮고자 했으며 자연과 하나가 되고자하는 뜻을 담아냈다. 개평마을의 고택들 한옥마을로 지정된 개평마을에는 유서 깊은 한옥들이 즐비하다. 일부 고택은 아직도 실제로 사람이 거주하면서 그 효용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며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을 위해 거의 대부분 문이 열려 있다. 개평마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일두고택이다. 일두고택은 조선 성종때의 학자인 일두 정여창의 고택으로 1984년 중요민속자료 제186호로 지정이 되었다. 지금의 건물은 정여창의 사후인 1570년대에 후손들이 중건했다. 당시만 해도 1만㎡(3000여 평)에 17동의 건물이 있었지만, 현재는 사랑채, 안채, 문간채, 사당 등 12동만 남아 있다. 민속자료로 지정당시 가옥의 소유자의 이름을 따서 함양정병호가옥이라고 하였으나 이 가옥이 일두 정여창선생의 생가지에 중건한 것을 반영하여 2007년1월 그의 호를 따라 함양일두고택이라고 변경했다. 정여창선생의 12대 후손인 오담 정환필(1798~1859) 선생의 오담고택(梧潭古宅)은 지난 2004년 경남 유형문화재 제407호로 지정됐다. 이 외에도 풍천노씨 대종가(경남 문화재자료 제356호), 노참판댁 고가(경남 문화재자료 제360호), 하동정씨 고가(경남 문화재자료 제361호) 등 보물들을 만날 수 있다. 오담 고택, 풍천노씨 대종가, 노참판댁 고가는 실제 주민들이 거주하고 있다. 개평마을 이외에도 함양에는 이름난 고택들이 즐비하다. 그 중에서 경남 문화재자료 제121호로 지정된 우명리 정씨고가와 중요민속문화재 제207호 허삼둘 가옥도 귀중한 우리지역 문화재로서 남아있다. 다음호부터는 앞서 소개한 함양의 한옥들을 소개할 예정이다.강대용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