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대표적인 교육기관으로 우리지역에서 동방5현 중 한분인 일두 정여창 선생을 모신 남계서원. 남계서원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유서 깊은 곳으로 대원군의 서원철폐 정책에도 살아남았을 만큼 긴 세월을 자랑한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서원의 가치는 이제 단순 교육기관을 넘어 분명 그 역사적 과정과 인류의 보편적 가치라는 차원에서 세계인들과 함께 공유해야 하는 문화자산임에 틀림없다. 최근 남계서원을 비롯해 우리나라 9개 서원을 대상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남계서원과 경북 영주의 소수서원, 경주의 옥산서원, 안동의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대구 달성의 도동서원, 전남 장성의 필암서원, 전북 정읍의 무성서원, 충남 논산의 돈암서원 등이 그곳이다. 오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다면 남계서원 등 9개의 서원은 우리의 문화자산을 넘어 ‘전 세계 인류의 공동유산’으로 인정받게 된다. 1회 서원의 중심 남계서원, 그리고 세계문화유산2회 한국의 서원①(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3회 한국의 서원②(옥산서원, 도동서원)4회 한국의 서원③(필암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5회 남계서원, 세계문화유산이 되려면 탁월한 보편적 가치 인정 2015년 세계유산 등재 추진현대인이 갈구하는 자연과 조화 서원의 활용을 통해 가능 오는 2015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준비 중인 우리나라의 9개 서원들. 우리 지역의 남계서원을 비롯해 영주의 소수서원, 안동의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경주의 옥산서원, 대구의 도동서원, 논산의 돈암서원, 정읍의 무성서원, 장성의 필암서원 등 9개 서원을 둘러봤다. 이들 대부분의 서원은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었으며,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기쁘게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러나 지자체와 지역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수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서원이 있었던 반면 조금은 소홀한 관리로 문화유산으로서 제대로 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 서원들도 여럿 있는 것 같았다. 이제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을 넘어 세계문화유산으로 발돋움을 준비 중인 서원들의 가치와 미래 지향적인 발전 방향을 논해 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서원의 차이 서원의 명칭은 당(唐)나라 현종 때 서적 편수처이던 여정전서원(麗正殿書院)·집현전서원에서 유래하였고 제도로 정해진 것은 송(宋)나라에 들어와서이다. 특히 주자가 도학연마의 도장으로 세운 백록동서원이 유명하다. 우리나라의 서원 역시 중국의 영향으로 세워졌으나 기능과 성격 등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즉 중국의 서원은 강학, 즉 가르치는 것과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면, 우리나라의 서원은 후학 양성은 물론 현인에 대한 추모의 식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서원은 사림들이 책을 읽고 학문을 갈고 닦던 장수처(藏修處)이면서 향촌사림의 취회소(聚會所)로서 정치·사회적 기구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중국의 서원이 정체된 것에 반해 우리나라의 서원은 많은 병폐가 발생했지만 그 중심적인 사상은 선현을 공경하고, 후학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의 역할을 충실히 해 왔다. 1543년 주세붕이 경상도 순흥에 ‘백운동서원’을 창건하면서 시작된 한국 서원은 지방 사학의 중심지가 되어 한때 900개 넘게까지 번창했다. 관학인 향교와 합치면 조선 후기에는 지방에 1200여개 학교가 있어 체제를 유지하는 한 축이 되었다. 제사를 통해 유교의 전통과 가치를 유지하는 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다. 우리나라 서원의 가치 오는 2015년 ‘한국의 서원’이라는 이름으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될 예정인 우리나라 9개 서원들. 전국의 637개 서원 가운데 세계유산으로 등재가 추진되는 대상은 도동·돈암·무성·필암·옥산·병산·소수·남계·도산서원 9곳에 불과하다. 그만큼 우리지역 서원인 남계서원을 비롯한 9개의 서원이 문화적 가치를 품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2009년부터 시작된 서원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노력은 현지조사와 학술대회 등을 거쳤으며, 오는 2015년 1월 등재 신청을 예정하고 있다.   문화재위원회는 ‘한국의 서원’을 세계문화유산에 잠정목록으로 등재하면서 ‘중세 동아시아의 중요 사상인 성리학이 조선에 전래되어 정착·형성하는 산실이었고, 중국·일본과 다른 모습으로 발전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평가했다. 서원의 역사적인 중요성이 뚜렷이 남아있는 것이다. 또한 ‘서원의 공간이 독특하고, 입지는 건축과 자연이 하나로 어우러지도록 선택됐다’고 해 ‘인류 역사에서 중요 단계 예증·건축의 총체 혹은 경관의 탁월성’이라는 기준에도 부합한다고 보았다. 지성계층 사림(士林)이 조선의 성리학을 성숙, 실현한 공간이며 건축 구조와 형식이 자연과 일체가 되는 경관을 완성하고 있는 점 등에서 세계유산의 주요 등재 기준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를 지닌다.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의 사상과 활동 근거지가 되어 유교의 예(禮)가 구체적으로 실천되고 존속된 곳이라는 점에서 ‘사상의 보편적 중요성’이라는 조건도 충족했다. 변화를 시도하는 서원 서원이 수백년간 만들어 온 가치는 이처럼 각별하지만, 지금에 와서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유교 교육의 장이라 할 수 있는 서원과 향교 등은 세월의 흐름 속에서 도태되고, 사람들 사이에서 ‘고리타분한 사상’으로만 치부되고 있다. 수 백 년 동안을 국가의 이념적 지배 이데올로기로 군림해 온 중심적 사상이 시대의 변화에 밀려났다. 최근에 들어서야 유교의 성지라 할 수 있는 서원의 활성화 등 활용방안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했다. 전국의 수많은 서원들이 정체된 서원의 의미를 되살리기 위해 사업들을 진행하며 서원의 활력을 도모하고 있다. 우리 고장의 남계서원에서도 ‘서원 스테이’라는 아이템을 통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원 체험 등 체험활동을 한다. 남계서원 체험동에서 이뤄지는 서원스테이는 강의, 국궁, 다례체험, 사군자그림찾기게임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함양지역 청소년들이 참여하고 있다. 남계서원 스테이 윤석구 사무국장은 “청소년과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흥미를 유발해 서원이 세대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충효사상을 고취하여 지역의 문화재에 대한 자긍심을 갖는 구심점이 되도록 애쓰고 있다“고 말했다. 영주의 소수서원 인근에는 대규모 선비촌과 선비문화수련원 등의 교육시설을 통해 충과 효, 예를 가르친다. 지난 2008년 개원한 선비문화수련원은 초중고등학교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노어와 소학 등 유학은 물론, 다례와 예절, 다식만들기, 공예 등 다양한 유교 교육과 전통 체험 등을 통해 영주지역 선비문화를 엿볼 수 있다. 안동의 도산서원 인근에도 2001년 개원한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은 수료 인원만 10만명이 넘을 정도로 각계각층의 수많은 이들이 다녀갔다. 도산서원 부설 선비문화수련원은 선비정신을 되살리고 널리 전파해 인간의 도덕성을 개인의 내면뿐만 아니라 국가사회로 확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처럼 서원은 예전 특정인들의 심신수련의 공간이 아니라 현대에 맞게 문호를 개방해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을 되새기는 장소를 탈바꿈하고 있다. <인터뷰> “서원을 유교의 핵심적인 장소로 활용해야” 김덕현 교수(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과거의 서원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해 재활용해 나가야 한다. 서원은 현대인들에게 살아가는 방식에 대해 많은 것을 전해줄 것이다” 김덕현 교수(경상대 지리교육과)는 서원을 과거에 머물지 않고 전통이 현대에 다가설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교수는 “서원은 전통시대의 사립대학으로서 선현에 대한 제향하는 종교적 기능과 함께 강학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며 “한국 유교의 본산이 서원이다”라고 설명했다.그러면서 그는 이번 세계유산 등재가 한국 유교의 위치를 한 단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서원의 시작은 중국이었지만 이번 세계유산 등재를 통해 한국이 유교의 본산으로 우뚝 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세계유산 등재는 한 국가에서 1년에 한 개씩 밖에 신청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서원에 대해 중국에서 반발을 하고 있지만 중국의 경우 수많은 문화재들이 순번이 정해져 서원의 서원을 등재할 수 없는 실정”이라며 “우리나라 서원의 앞선 세계유산 등재는 세계적으로 우리나라가 유교 문화의 주도권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서원은 그 생성 의미부터 다르다. 중국의 경우 단순한 국가 인재 양성을 위한 기관으로 과거의 서원이 현재의 대학으로 발전했으며 공자와 그의 제자들을 제향하는 공간으로 활용된 반면 우리나라 서원의 경우 진정한 수기(修己)를 통해 자아실현의 장이면서 지역의 사표가 되는 성리학자를 제향했다. 김 교수는 “서원의 특징 중 하나가 유교의 이상인 ‘천인합인(天人合一)’로 자연과 하나가 되길 바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많은 이들이 몸과 마음을 갈고 닦았던 곳이 서원”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우리나라 서원의 입지와 공간에 대해 다양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우리나라 서원의 전형인 전저후고(前底後高)의 지형을 통한 전학후묘(前學後廟)의 입지에 대해 “이는 사당을 높이기 위한 방법과 경사지를 이용해 자연스럽게 주변의 경관을 볼 수 있는 이점, 그리고 우리나라 기후를 이용한 과학적인 건물 배치 등 다양한 우리 조상들의 슬기가 종합적으로 들어가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유교에서 가르치는 인간학에 주목했다. “전체 인생을 통해 끊임없이 배우며 자신을 계발하고 삶을 의미있게 변화시킬 수 있다”며 “고령화 사회, 은퇴 후 제2의 생애를 살아야 하는 현대인들에게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지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현대인이 갈구하는 것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 유교가 현대인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설 것이다”며 “유교에서 충효를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유교 현대화의 핵심적인 장소로 서원과 향교, 정자 등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대용 기자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