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대표적인 교육기관으로 우리지역에서 동방5현 중 한분인 일두 정여창 선생을 모신 남계서원. 남계서원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유서 깊은 곳으로 대원군의 서원철폐 정책에도 살아남았을 만큼 긴 세월을 자랑한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서원의 가치는 이제 단순 교육기관을 넘어 분명 그 역사적 과정과 인류의 보편적 가치라는 차원에서 세계인들과 함께 공유해야 하는 문화자산임에 틀림없다. 최근 남계서원을 비롯해 우리나라 9개 서원을 대상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남계서원과 경북 영주의 소수서원, 경주의 옥산서원, 안동의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대구 달성의 도동서원, 전남 장성의 필암서원, 전북 정읍의 무성서원, 충남 논산의 돈암서원 등이 그곳이다. 오는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다면 남계서원 등 9개의 서원은 우리의 문화자산을 넘어 ‘전 세계 인류의 공동유산’으로 인정받게 된다. 1회 서원의 중심 남계서원, 그리고 세계문화유산2회 한국의 서원①(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3회 한국의 서원②(옥산서원, 도동서원)4회 한국의 서원③(필암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5회 남계서원, 세계문화유산이 되려면 회재 선생의 성리학적 위상이 살아 있는 경주 옥산서원 서원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대구 달성 도동서원 우리나라 5대 서원을 꼽자면 병산, 도산, 옥산, 소수, 도동성원을 말할 수 있다. 이들 서원들 모두가 경북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등재 목록에 올라있는 서원이기도 하다. 앞서 안동 도산서원과 병산서원, 그리고 영주 소수서원을 소개했으며, 이번에는 경주의 옥산서원과 대구 달성의 도동서원을 소개하려 한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성리학자인 회재(晦齋) 이언적 선생을 제향한 옥산서원과 도학의 창시자인 한훤당(寒暄堂) 김굉필 선생을 모신 도동서원 등 두 곳의 서원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서원이기도 하다. 옥산서원 조선시대 성리학의 최고봉을 꼽으라면 퇴계 이황이 첫째일 것이다. 조선 성리학을 세계적 철학의 반열에 올려놓은 인물, 그같이 높은 학문적 성취를 이뤘던 퇴계가 각별하게 존숭한 인물이 회재(晦齋) 이언적(1491~1553) 선생이다. 회재 선생은 동방오현으로 꼽힐 정도로 퇴계 이황, 한훤당 김굉필, 일두 정여창, 정암 조광조 선생과 함께 조선을 대표하는 성리학자이다. 회재는 24세에 문과에 급제한 후 벼슬길에 올랐으나 1530년 김안로 세력에 밀려나게 되자 낙향, 안강 자옥산 기슭에 독락당을 짓고 은둔하며 성리학 연구에 몰두한다. 당시 호를 자계옹(紫溪翁) 또는 자옥산인(紫玉山人)으로 짓기도 했다. 자계는 독락당 옆으로 흐르는 하천의 이름이다. 김안로가 사사(賜死)된 후 중종이 회재를 다시 불러들여 여러 벼슬을 하게 되나, 명종 즉위 후 문정왕후 섭정 시절(명종 2년) 양재역벽서사건(1547년 9월 문정대비의 수렴청정과 이기 등의 농권을 비방하는 내용의 양재역 벽서가 발견된 사건)에 연루돼 평안도 강계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사망했다. 옥산서원은 회재가 별세한 지 20년 뒤인 1572년(선조 5), 경주부윤 이제민이 사림의 뜻에 따라 회재가 은둔했던 곳을 서원 자리로 정하고, 그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한 사당이 설립됐으며, 그 다음해인 1573년 ‘옥산서원(玉山書院)’이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사액서원이 되었다. 대원군의 서원 철폐 시 훼철되지 않은 47개 서원 중 한곳이다. 옥산서원은 화개산(華蓋山)을 주산으로 앞 쪽에는 자계(紫溪)가 흘러 곳곳에 용소를 이루고, 주변으로는 울창한 수목이 빼어난 경관을 보여준다. 옥산서원은 전형적인 서원건축에 의해 지어졌다. 정문인 역락문을 들어서면 누각인 무변루가 있고, 강당인 구인당의 양쪽으로는 동재와 서재가 위치한다. 강당 뒤쪽으로는 회재를 모신 사당인 체인묘가 자리잡았다. 동재의 오른쪽 서원의 살림을 맡아보던 고직사는 여타 서원에 비해 규모가 매우 커 당시 서원의 재산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서원의 외삼문인 역락문(亦樂門)으로 들어서면 누마루인 무변루(無邊樓)와 마주한다. 두 건물 사이에는 작은 시냇물이 흐르는데 이는 서원의 명당수로 계곡이 물길을 끌어들여 만든 풍수의 한 전형이다. 무변루는 정면 7칸 측면 2칸의 2층 누각으로 구조가 독특하다. 위아래 가운데 3칸은 출입문과 대청으로 활용하는 반면, 양쪽 1칸씩은 벽체를 두어 온돌방을 마련했다. 그 옆에는 누마루를 두르고 부섭지붕을 얹었다. 보통 서원의 누각이 개방해 자연과의 경계를 허무는 것을 고려할 때 무변루의 이러한 구조는 자연과 어느 정도 경계를 둔 셈이다. 문화관광해설사는 “무변루의 편액은 명필 한호가 쓴 것이다. 무변루에 문이 달려있는데 이것은 강당에서 공부하던 유생들이 바깥 경치에 취해 마음이 산란해 질까봐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무변루 아래를 지나 돌계단을 오르면 정면에 강당인 구인당(求仁堂), 그리고 그 양옆으로 유생들의 기숙사인 민구재(敏求齋)와 암수재(闇修齋) 등 강학공간과 만난다. 구인당의 전면 편액은 추사(秋史) 김정희가 쓴 것이며 내부 구인당 현판은 석봉 한호의 글씨라고 한다. 제사를 지내는 제향 영역은 체인문, 체인묘, 전사청, 경각, 비각 등의 건물로 이루졌다. 체인문을 들어서면 회재의 위패를 모신 체인묘가 있으며 사당 오른쪽의 경각에는 어서와 어필, 퇴계수필 등이 봉안되어 있다. 옥산서원은 수많은 문화재를 보유한 것으로 유명하다. 보물 제525호인 삼국사기와 동국이상국전집 등 고서(古書) 4000여 권을 비롯해 호구단자, 명문, 도록 등 1156건의 고문서, 책판 회재 선생 문집, 정조어필보관함, 회재 유묵함 등 유물(遺物) 24건을 포함해 총 6280여점의 소중한 문화유산이 분산 수장돼 있다. 현재 유물전시관이 개장을 앞두고 있어 조만간 우리의 귀중한 문화유산을 이곳에서 직접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옥산서원에는  옥산서원은 한해 10만 명 이상이 방문해 회재 선생의 뛰어난 학문과 함께 자연 속에 자리 잡은 서원의 향취를 느끼고 있다. 도동서원 함양에서 군수를 지내며 선정을 베풀었던 점필재 김종직의 제자로는 우리지역의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선생과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선생이 꼽는다. 일두와 한훤당은 점필재 아래에서 성리학을 배우고 연구한 동문으로 각별한 인연을 이어갔다. 그러나 1498년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일두 선생은 종성으로, 한훤당은 평안도 희천으로 각각 유배되었으며 갑자사화에서는 극형을 면하지 못했다. 이후 신원이 복원되었으며 두분 모두 동방 오현의 위치에 놓였으며 한훤당의 경우 수현의 자리에 올랐다. 도동서원(道童書院)운 한훤당 김굉필 선생을 모신 서원으로 앞쪽으로는 낙동강이 유유히 흐르고 뒤로는 나지막한 산이 펼쳐져 있다. 도동(道童)이라는 ‘의미는 성리학의 도가 동쪽으로 왔다’라는 뜻을 품고 있다. 도동서원은 한훤당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조선 선조 원년(1568) 처음 세워져 쌍계서원이라 불렀다. 그러나 임진왜란 당시 불에 타 없어져 선조 37년(1604) 지금의 자리에 사당을 다시 지었고, 선조 40년(1607)에 사액을 받아 정식 사액서원이 되었다. 도동서원 역시 대원군의 서원 철폐 속에 살아남은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도동서원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나면 가장 먼저 400년 된 은행나무가 반긴다. 도동서원 건립과 함께 서원 앞을 지켜온 은행나무는 세월의 무게를 이겨내고 여전히 푸르름을 선사한다. 도동서원 역시 정형적인 서원 건축 양식을 따랐다. 외삼문과 수월루를 지나면 강당인 중정당과 양옆의 동서재, 그리고 전사청과 장판각이 자리 잡았다. 중정당 뒤편 가장 높은 곳에는 사당이 자리 잡은 전학후묘의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가장 먼저 만나는 수월루(水月樓)는 도동서원의 정문격으로 외삼문과 그 위의 누각을 겸한 곳이며, 유생들의 휴식처나 강독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수월루에 오르면 낙동강과 멀리 평야가 한눈에 들어오는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수월루를 돌아 본격적인 강학 공간으로 들어서기 전 만나는 곳이 바로 사람 한명이 겨우 드나들 수 있을 것 같은 환주문(喚主門)이다. 주인의식과 겸손함, 인성을 갖추고 드나들라는 뜻을 품고 있다.  환주문을 넘으면 본격적인 강학 공간과 마주한다. 정면 높은 기단 위 중정당(中正堂)은 정면 5칸 측면 2칸 반 주심포에 맞배지붕으로 된 건물이다. 강당 내 중앙 벽 위에 걸린 ‘道東書院’ 현판은 사액현판으로, 글씨는 배대웅(裵大維)이 썼으며, ‘중정당’현판은 이관징의 글씨다. 전면의 ‘도동서원’ 현판은 퇴계 이황의 글씨를 집자하여 각한 것이다. 그밖에 임금님의 전교(傳敎) 등이 마루 벽에 걸려있다. 중정당의 기단은 높이가 1.5m이로 상당히 높다. 특히 면석은 다양한 크기와 각으로 된 돌을 쌓았는데 전국 각지에서 가져온 돌들로 날씨와 계절에 따라 시시각각 색이 변하는 오묘함을 준다고 한다. 또한 여의주와 물고기를 물고 있는 4개의 용머리와 좌우면석에 꽃송이와 다람쥐 모양의 동물이 조각된 돌이 장식되어 있다. 중정당 양 옆으로는 유생들의 생활공간인 동서재가 있다. 동재인 거인재(居仁齋)와 서재인 거의재(居義齋)가 나란히 마주보며 동재 뒤편으로는 서원의 집무를 맡아 보던 전사청이 자리잡았다. 도동서원의 강당과 사당, 그리고 이들을 둘러싼 담장 모두가 보물 제350호 지정되어 있다. 특히 담장은 전국 최초의 토담이 보물로 지정되었을 만큼 아름다움과 함께 유명세를 가지고 있다. 담장에 암키와와 수막새를 사용하여 음양의 조화를 통해 생명력을 불어 넣는다는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고, 장식 효과를 최대한 살린 것으로 평가된다. 돌과 흙, 기와를 골고루 사용한 견고한 축조기법과 지형에 따라 바뀌는 높낮이와 면의 변화, 담장 지붕이 그리는 모습은 우리 건축에서 만 볼 수 있는 기법이다. 제향공간으로 서원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며, 정면 3칸 측면 3칸 맞배지붕 건물이다. 사당 안 주벽에는 한훤당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고 좌측에는 외증손인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위패가 1678년(숙종4년)에 추배되어 있다. 향사는 매년 음역 2월 중정일과 8월 중정일에 지내고 있다. 강대용 기자 ※이 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