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監 廉義篇(명심보감 염의편)
염의편은 청렴결백과 의에 얽힌 미담글로 구성된 것이다. 청렴결백과 참된 의리는 이미 앞장에서도 그 미덕이 여러번 강조된 군자가 반드시 실천해야 할 덕목이다. 마지막 장에서 다시한번 그 예화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참된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을 것이다.
1.印觀(인관)이라는 사람이 시장에서 솜을 파는데 暑調(서조)라는 사람이 곡식으로써 이것을 사 가지고 돌아갔다. 이때 솔개가 이 솜을 채 가지고 인관의 집에다 떨어 뜨렸다. 인관은 서조에게 이 솜을 되돌려 주며 말하기를 “솔개가 당신의 솜을 내 집에 떨어뜨렸으므로 당신에게 돌려 보냅니다.”라고 하였다. 서조가 말하기를 “솔개가 솜을 채어 당신에게 준 것은 하늘이 한 일입니다. 그러므로 제가 어찌 받겠습니까.”라고 하였다.인관이 “그렇다면 당신의 곡식을 돌려주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서조가 말하기를 “제가 당신에게 준 뒤에 두 번이나 장이 지났으니 곡식은 이미 당신의 것입니다.”라고 하였다.이와 같이 두 사람이 서로 사양하다가 그 솜과 곡식을 모두 장에다 버렸다. 장을 맡아 다스리는 관헌이 이 사실을 임금께 아뢰니 임금은 이 두 사람에게 다 같이 벼슬을 주었다. <원문原文>印觀(인관)이 賣綿於市(매면어시)할새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이니 有鳶(유연)이 攫其綿(획기면)하야 墮印觀家(타인관가)어늘 印觀(인관)이 歸于署調曰鳶墮汝綿於吾家(귀우서조왈연타여면어오가)라 故(고)로 還汝(환여)하노라 署調曰鳶攫綿與汝(서조왈연확면여여)는 天也(천야)라 吾何爲受(오하위수)리오 印觀曰然則還汝穀(인관왈연즉환여곡)하리라. 署調曰吾與汝者(서조왈오여여자)가 市二日(시이일)이니 穀已屬汝矣(곡이속여의)니라 하고 二人(이인)이 相讓(상양)이라가 幷棄於市(병기어시)하니 掌市官(장시관)이 以聞王(이문왕)하여 竝賜爵(병사작)하니라.
<주註> 印觀(인관), 暑調(서조) : 두 사람 다 신라 때 사람으로 청렴하고 의리로 이름난 사람들. 墮(타) : 떨어지다. 歸于署調(귀우서조) : 서로에게 돌려보내다. 還汝(환여) : 그대에게 돌려준다. 天也(천야) : 하늘이 시킨 것. 穀已屬汝矣(곡이속여의) : 곡식은 이미 그대의 것이다. 讓(상양) : 서로 양보하다. 幷棄於市(병기어시) : 함께 시장에 버리다. 掌市官(장시관) : 시장을 관장하는 벼슬아치. 以聞王(이문왕) : 이것을 임금에게 아뢰다. 竝賜爵(병사작) : 나란히 벼슬을 내리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