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귀농귀촌이 팍팍한 삶에 찌든 도시민들에게 새로운 삶의 방법으로 주목 받으며 도시에서 농촌으로 향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빨라진 정년에 반해 길어진 노후를 건강하게 보내고자 하는 욕망과 농촌에서 자연과 더불어 제2의 인생을 살고자 하는 열망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한 여론조사 기관에서 우리나라 국민 중 35세 이상 1500명을 대상으로 노후를 어디에서 보내겠느냐고 질문한 결과 67%가 ‘농촌에서 보내고 싶다’라고 답했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1955~1963)의 은퇴가 본격화된 지난 2009년부터 귀농 귀촌을 꿈꾸는 이들이 많이 늘었다. 경제적 삶의 여유 속에 전원에서의 삶을 꿈꾸는 이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인구 감소로 인해 노동력 확보에 겪고 있는 지역에서는 이들이 새로운 활력소로 다가오고 있으며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다양한 혜택을 통해 이들을 끌어들이려 노력하고 있다.경남도를 비롯한 전국의 농촌지역 지자체는 귀농귀촌을 새로운 정책으로 설정하고 많은 지원책을 마련, 도시민 유치에 힘쓰고 있다. 함양군도 귀농귀촌 정착에 필요한 지원사업 뿐만 아니라 도시민들이 귀농 전 농촌을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귀농귀촌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함양군의 귀농귀촌 정책과 지역의 성공한 귀농인들의 노하우는 물론 다른 지자체의 정책을 살펴보며 군의 정책 방향을 점검하려 한다.글 싣는 순서1. 함양에 살으리랏다! 귀농천국 함양군2. 이래야 성공한다! 성공한 귀농 이야기13. 이래야 성공한다! 성공한 귀농 이야기24. 귀농인의 천국 전북 고창군5. 대한민국 귀농밸리 하동군함양군의 귀농·귀촌 현 주소는?함양군의 귀농귀촌 인구는 가파른 상승세를 보인다. 지난 2006년 15가구에 불과했으나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해 지난해에는 391 가구로 도내에서 가장 많은 귀농귀촌 정착을 유도했다. 인구증가를 군의 목표로 삼고 있는 군의 입장에서는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야 말로 군 발전의 동력으로 느끼며 수많은 지원책을 통해 이들을 끌어들이고 있다.지난 2006년 15가구에 불과했던 함양지역 귀농·귀촌 가구수는 2007년 34가구, 2008년 27가구, 2009년 54가구, 2010년 79가구로 점진적인 증가세만을 보였다. 2011년부터는 급증하기 시작해 157가구, 2012년 171가구, 2013년 391가구로 경남에서 가장 많은 귀농·귀촌 가구가 찾았다. 지난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822가구의 귀농·귀촌 가구가 정착했으며 이는 경남에서 거창 다음으로 많은 수치이다. 경남에서는 거창이 가장 많은 963가구, 다음으로 함양이며, 하동이 770가구, 창녕군 705가구, 산청군 616가구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함양군이 귀농·귀촌지로 각광받는 이유는 사통팔달의 교통로로 접근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지리산과 덕유산 등 천혜의 자연자원, 그리고 행정의 다양한 귀농·귀촌 정책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풀이된다.<함양군 귀농·귀촌 가구 추이(2006~2013)>최적의 귀농·귀촌 여건을 갖춘 함양군귀농·귀촌을 염두에 둔 이들이 가장 원하는 장소는 어디일까. 그들은 답답한 도심 속의 삶 속에서 벗어나 산 좋고, 물 맑고, 공기 좋은 곳에 정착하길 원한다. 경남지역에서 귀농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 역시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서부경남 지역이다. 함양은 우리나라 남부내륙의 중심지로 대전 통영간 고속도로 등 3개의 고속도로가 관통해 수도권과 3시간, 대전과 대구 등의 주변도시는 1시간대로 사통팔달의 교통 요충지로서 접근성이 가장 좋다. 또한 국립공원 지리산과 덕유산 등 해발 1000m 이상 고산이 15개가 자리 잡고 있으며 낙동강과 남강의 수원 발원지로 공기 좋고 물 맑은 산과 들이 어우러진 청정지역이기도 하다. <2013년 함양지역 귀농귀촌 전 거주지 현황> 지난해 귀농·귀촌 391가구 중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에서 120명이, 부산지역에서 91명, 대구 21명, 인천 13명, 대전 10명 등 대부분이 대도시에서 함양을 선택했다. 이는 함양이 청정지역과 교통망 등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귀농·귀촌의 최적지임을 다시 한 번 입증하는 것이다.함양군의 귀농·귀촌 정책함양군에서는 수많은 귀농정책 지원사업을 펼치며 도시민들을 유혹하고 있다.귀농 농업 창업자금과 귀농주택 구입 자금을 통해 심리적인 안정을 지원하는 한편 농지구입이나 농축산 기반시설, 가공시설 등의 귀농정착지원 자금을 보조해 안정적인 생계를 돕고 있다.아울러 임차한 주택의 수리비, 빈집 구입시 정비 수선비, 귀농 후 1년 이내 가구에 대한 집들이 사업을 비롯해 전입 세대 정착금의 경우 2인 이상일 때 10만원, 3인 이상 20만원, 4일 이상일때 30만원을 지원하고 있다.아울러 다양한 교육을 통해 귀농귀촌 인구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는다. 1년 40시간 과정의 예비 귀농인 및 귀농인들을 귀농귀촌 교육을 통해 기초영농기술의 전수는 물론이고 다양한 귀농 정착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귀농인들이 관심을 가지는 약초재배 기술은 물론 귀농현장 실습 등을 통해 실생활에 접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다.함양군의 귀농귀촌을 담당하는 전용문 계장은 “귀농·귀촌은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가는 농촌지역에 새로운 인구를 유입함으로써 농촌에 활력을 주고자 하는 것이 1차적 목표”라며 “이렇게 할 경우 자연스럽게 인구증가와도 연결되는 것”이라고 말했다.<인터뷰> 김기완 함양군귀농인연합회 회장“노력과 열정이 성공적인 정착 지름길”“충분한 사전 지식을 습득한 이후 접근해야 안정적인 귀농귀촌의 삶을 누릴 수 있습니다.”고향을 떠난 지 40년 만인 지난 2007년 고향 휴천면 송전리로 귀촌한 이후 다양한 작물을 심으며 귀농인으로 변모한 김기완(72) 함양군귀농인연합회 회장의 진심어린 충고다. 처음에는 정년 이후 고향에 계신 노모를 모시기 위해 귀촌을 결심했지만 이제는 고추와 참께, 들께, 오미자 등의 작물을 심는 농부로 변모했다.김기완 회장은 “앞으로 더욱 많은 귀농 귀촌 인들이 함양을 찾을 것이다. 함양에 들어오는 이들도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지만, 함양군에서도 이에 대한 대비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이왕 귀농 귀촌을 했으면 삶의 터전이 될 그 마을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그는 귀농 귀촌 지역을 ‘제2의 삶의 터전’으로 생각하며 살아갈 것을 충고했다. 농사짓는 일을 결코 쉽게 생각해서는 안된다고 충고하기도 했다. 그는 “농사를 짓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농사일이 제일 어려운 것인데 ‘할일 없으면 농사나 짓지’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 있다. 농사짓는 지식만 있다고 해서 되는 것도 아니다. 오랜 기간의 노하우가 있어야 한다. 지역민들에게 하나하나 배워 나가면서 노하우를 터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금 귀농하는 이들은 공기 좋고 물 맑은 곳을 선택하고 있다. 함양지역은 아직까지 시골의 정이 남아 있고, 지리산과 덕유산,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산세가 아주 좋다. 토질도 좋고 임대를 할 수 있는 땅도 많이 있다. 귀농 귀촌하기에 최적을 장소라 할 수 있다.“귀농귀촌을 하게 되면 그동안 생활했던 곳과 모든 것이 달라지게 된다. 도심에서 벗어나는 것은 좋지만 문화생활부터 시작해 지역 정서, 그리고 누릴 수 있는 복지까지. 이것에 적응하지 못하면 실패한 귀농이 되는 것이다. 그는 “아직까지 귀농·귀촌 인에 대한 지역민의 시각이 좋은 것만은 아니다. 정착한 곳의 주민들과 함께 호흡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해야 한다. 다시 태어난다는 각오로 생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귀농인들 대부분이 마을과 멀리 떨어진 외톨이집에서 거주하고, 지역의 주민들과 접촉조하 하지 않으면서 차츰 지역민들로 부터 외면받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는 “먼저 인사하고 다가서야 한다. 차근차근 마음의 문을 열어나가야 하는 것이다. 아직 정이 살아있는 함양 사람들에게 금방 친해질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끝으로 그는 “노력과 열정만 있으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강대용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 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