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孝行篇 續篇(명심보감 효행편 속편) 이 편은 효자, 효부의 구체적인 실례와 일화를 들어서 부모에게 효도할 것을 가르치는 글들로 묶여져 있다. 중국의 곽거에 비유되는 손순(孫順)의 일화나 도씨(都氏)의 효행 등은 하늘도 감동시켰다고 했다. 요즘 같은 메마른 세대에 경종이 되길 바랄 뿐이다.1. 손순이 집이 가난하여 그 아내와 함께 남의 집의 머슴살이를 하며 그 어머니를 봉양했다. 그런데 그들에게 아이가 있어 언제나 어머니가 잡수시는 것을 빼앗는지라 순이 아내에게 일러 말하기를 “아이가 어머니의 잡수시는 것을 빼앗으니 아이는 또 얻을 수 있거니와 어머니는 다시 구하기가 어렵소”하였다. 할 수 없이 아이를 업고 취산 북쪽으로 가서 물으려고 땅을 팠더니 홀연히 매우 이상한 돌종이 나왔다. 놀랍고 이상히 여겨 시험삼아 두드려 보니 그 소리가 아름답고 사랑스러웠다.아내가 말하기를 “이 같이 기이한 물건을 얻은 것은 아이의 복이니 아이를 묻어서는 안됩니다.”고 하였다. 순도 그렇게 생각하고 아이와 함께 돌종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와서 종을 대들보에 달고 이것을 울렸다. 왕은 멀리서 들려오는 종소리를 듣고 이상히 여겨 조사하도록 하고 그 사실을 듣자 말하기를 “옛날에 곽거(郭巨)가 아들을 땅에 묻었을 때에는 하늘이 금으로 만든 솥을 내렸는데 이제 손순이 아들을 묻자 땅에서 돌종이 나왔으니 앞뒤가 서로 꼭 맞는구다.”하고 그들에게 집 한 채와 해마다 쌀 오십 석(石)을 주었다.<원문原文>孫順(손순)이 家貧(가빈)하여 與其妻(여기처)로 傭作人家以養母(용작인가이양모)할새 有兒每奪母食(유아매탈모식)이라. 順(순)이 謂妻曰(위처왈) 兒奪母食(아탈모식)하니 兒(아)는 可得(가득)이어니와 母難再求(모난재구라)라 하고 乃負兒往歸醉山北郊(내부아왕귀취산북교)하여 欲埋堀地(욕매굴지)러니 忽有甚寄石鐘(홀유심기석종)이어늘 驚怪試撞之(경괴시당지)하니 舂容可愛(용용가애)라. 妻曰 得此寄物(처왈 득차기물)은 殆兒之福(태아지복)이니 埋之不可(매지불가)라 하니 順(순)이 以爲然(이위연)하여 將兒與鐘還家(장아여종환가)하여 懸於樑撞之(현어량당지)러니 王(왕)이 聞鐘聲(문종성)이 淸遠異常而覈聞其實(청원이상이핵문기실)하고 曰(왈) 昔(석)에 郭巨(곽거)가 埋子(매자)엔 天賜金釜(천사금부)러니 今孫順(금손순)이 埋兒(매아)엔 地出石種(지출석종)하니 前後符同(전후부동)이라 하고 賜家一區(사가일구)하고 歲給米五十石(세급미오십석)하리라.<해의解義>손순은 우리나라 신라 사람이요 곽거는 중국 진나라 사람으로 효자로써 오늘까지 인구에 회자되는 인물들이다. 곽거의 이야기는 앞의 효행편 해의에도 인용한 바 있거니와 우리나라에도 손순과 같은 효자가 있음은 자랑스럽고도 다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지성이면 감천이라 했듯이 두 사람의 지극한 효성에 하늘도 감동하여 복을 내리신 것이다. 오늘날에도 귀감이 되고 남을 인물들임을 절실히 깨닫고 효행에 힘써야 할 것이다.<주註> 孫順(손순) : 신라 모량리(牟梁里) 사람. 경주(慶州) 손씨의 시조로 신라 42대 흥덕왕(興德王) 때 신라 삼기(三器)의 하나인 돌종을 얻은 효자임. 郭巨(곽거) : 중국 후한(後漢) 때의 사람으로 중국의 대효자 중의 한 사람. 傭作(용작) : 고용인, 머슴. 驚怪(경괴) : 놀랍고 기이한 것. 試撞之(시당지) : 시험삼아 두드려 보다. 舂容(용용) : 울리는 소리. 以爲然(이위연) : 그렇게 생각하다. 懸於樑(현어량) : 대들보에 달아놓다. 覈聞其實(핵문기실) : 사실을 조사해서 듣다. 符同(부동) “부점을 맞춘것처럼 서로 같다. 一區(일구) : 한 채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