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충북 청원군 두루봉 동굴. 석회석 광산을 찾기 위해 산을 헤매던 김흥수씨는 동굴 하나를 만난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동굴 속을 살피던 그는 사람 뼈를 보고 흠칫 놀랐다. 자세히 살펴보니 키가 110~120센티미터 가량 되는 어린아이의 뼈였다. 발견 당시 이 뼈는 반듯하게 누워있는 모습이었는데. 뒤통수가 튀어나와 제법 귀여운 느낌이었다. 사람들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이 뼈를 ‘흥수아이’라고 부르기로 하였다.(살아있는 한국사) 역사학계가 나서서 조사해보니 흥수아이는 구석기시대에 살았던 5살~7살가량 아이로 추정되었다. 또 주변 흙을 분석해 본 결과 주검 둘레에 꽃을 꽂아 둔 흔적이 있었고 머리와 가슴에 뿌려진 흙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국화꽃 성분이 나왔다. 죽음을 슬퍼하면서 가족들은 평소 아이가 좋아하던 국화꽃을 꺾어 함께 놓아 준 것 같다. 한없이 예뻤던 5000년 전의 어린 흥수아이의 꿈은 무엇이었을까? 500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죽은 사람들 곁에 국화꽃을 놓아 준다. 흥수아이는 꽃비를 맞으며 꿈을 꾼다. 내가 누운 이 땅에. 내가 바라보는 이 하늘에 지상의 아름다운 모든 꽃이 피어나 노래하는 강산이 되게 하라. 한반도 최초로 사람의 화석이 발견된 것은 평남 덕천 승리산 동굴이다. 구석기 시대 사람의 어금니와 어깨뼈가 발견되었다. 남한에서 사람 화석이 발견 된 것은 충북 단양 상시 바위다. 연천 전곡리에서 주먹만 한 뗀석기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발견되어 동서양의 구석기 영역 다툼에서 동양에 승리의 손을 들게 한 중요한 유물이다. 주먹도끼는 슴베찌르개와 함께 손 안에 든 돌이어서 고대 생활에 필수 도구다. 결혼예물로 주었던 절대 필수품일지도 모른다. 문자 이전의 선사시대는 유적과 유물로만 추정할 수밖에 없는 어려움이 따르지만 곳곳에서 발견되는 유물들은 과학적 분석과 복원을 통해 많은 부분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옛날 사람이라고 해서 어리석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산이다. 자연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의 몸부림은 하나하나가 지혜와 슬기다. 우리의 상상 이상이다. 암사동 선사시대 주거지 움집은 땅을 70~80센티미터 깊이로 파서 냉난방을 기막히게 조화시켰다. 편리한 중앙 화덕 조리 부엌이며 중앙식 난방구조며 서까래 곳곳에 줄줄이 줄을 내려놓아 생선과 육고기를 보관하는 자연 실내 건조장 시설까지 갖춘 것은 실용제일주의를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중앙 천장에 굴뚝을 내 놓아 온풍기 냉풍기 역할을 하는 신선표 공기청정기를 설치했다. 엔틱 홍싸리문 출입구 옆에 빗살무늬토기. 덧무늬토기. 눌러찍기무늬 토기 등을 놓아 냉장고나 저장시설로 쓰고 공동 작업장까지 내부에 갖추어 논 것을 보면 4~5명 가족단위의 씨족사회는 나름 가축적인 분위기 속에서 화기애매하게 평등과 행복을 추구하며 아기자기하게 살아간 생활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이야말로 우리가 오매불망 지향해야 할 평등 씨족사회가 아닐까? “<얼짱 한국사 탐험> 대원들에게 묻겠다. 신석기 시대에 사용한 흙으로 만든 이런 ////// 빗살무늬의 토기는 왜 아래를 뾰족하게 만들었는지 아는 사람?” “저요. 저요. 저요가 아니라 문제가 어려워 난 잘 모르닝께 저기에 있는 제요. 제요. 제요.” “그래 제요가 말해 보아라.” “으잉? 나? 칠팔월에 가만있다 눈폭탄 맞아 죽는 경우구만. 제 생각으로는 만든 사람이 성질이 뾰족하게 칼칼하게 더러워서 빗살무늬토기를 그렇게 뾰족하게 만든 게 아니겠는가 이렇게 사료되는 바이올시다. 문쌤님.” “그런 모양을 한 토기는 땅이 평평하거나 딱딱한 곳에서는 넘어지기 쉽다. 그러나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주로 강가나 바닷가에서 살았기 때문에 모래 위에 이 그릇을 꽂아 놓고 쓰기에는 아주 편리했다.” “그러면 그렇지 왜 그렇게 무게 잡고 말씀하시와요?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사냥. 수렵. 열매 채집을 하며 이동하며 살아갔다. 그러나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점차 돌낫. 돌도끼. 돌 그물추 등 간석기 도구로 수렵도 하고 조 피 기장 등 밭농사도 하고 가축도 기르면서 움집에서 정착생활을 하게 됐다. 바야흐로 1가족 1가구 단독주택 시대로 나아간 것이다.” “선상님. 동그란 돌에 가운데를 뽕 뚫은 가락바퀴라고 라고라 하는 게 있다는데 그게 뭐에 쓰는 물건이예유? 그때 벌써 마차 바퀴를 만들어서 타고 다녔나유? 돌로 만든 가락바퀴가 튼튼해유 고무로 만든 한국타이어가 튼튼해유?” “나 원 참. 가락바퀴는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실을 뽑는데 사용하던 도구다. 이를 통해 그 당시 옷이나 그물을 만들어 쓰는 원시 수공업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니 꼭 기억 해 두어라. 시험에 꼭 나온다. (시험에 나온다면 학생들은 껌뻑 죽지. 히.히.) 오늘은 너무 많은 것을 가르쳐주었다. 처음부터 많이 먹으면 체하니 오늘은 이만. 안뇽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