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가 50여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선거사무원 구인난’이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잇따른 부정선거 여파로 인해 함양지역에서 선거판에 끼어들려는 이들이 없어 출마를 준비하는 후보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함양지역 출마 예정자들에 따르면 오는 6월4일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출마 예정자들이 홍보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목 좋은 곳에 선거 사무실을 구하는 등 선거캠프 준비에 돌입했다. 하지만 출마 예정자들마다 믿을 만한 유급 선거사무원을 구하지 못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번 6.4 지방선거에는 군수 후보로 3명. 도의원 후보로 1~2명. 군의원 후보로는 20명 안팎으로 예비후보로 등록했거나 출마를 준비하고 있으며 이들 출마 예정자들은 선거사무실을 개소하고. 선거사무원을 모집하는 등 본격적인 선거 준비에 돌입하고 있다. 그러나 출마 예정자들마다 믿을만한 유급 선거사무원을 구하지 못해 전전긍긍 하고 있다. 함양선관위에 따르면 예비후보를 넘어 최종 후보자로 결정되면 군수의 경우 40명. 도의원은 10명. 군의원은 8명까지 선거사무원을 고용할 수 있다. 이번 선거에서만 200명 이상의 선거운동원이 후보를 도와 선거운동을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여기에는 직계 존비속은 포함되지 않았다. 선거사무원 선거를 전반적으로 총괄하는 선거사무장과. 선거 비용을 총괄하는 회계책임자. 그리고 거리 유세 등에 투입되는 이른바 ‘율동조’ 등으로 모두가 선거 운동에 꼭 필요한 이들이다. 선거사무장과 회계책임자의 경우 하루 수당 5만원과 일비와 식비 각 4만원까지. 선거사무원은 수당 3만원과 일비와 식비 각 2만원까지 지급할 수 있다. 비교적 높은 수당 등을 지급받을 수 있지만 선거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선거운동원을 아무에게나 맡길 수 없다. 군수 후보의 경우 40명까지 선거사무원을 고용할 수 있지만 정작 선거판에 뛰어드는 이들이 없는 실정이다. 모 후보는 “당장 선거는 치러야 하는데 발로 뛰어다닐 운동원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며 하소연했다. 이 후보의 경우 일찌감치 선거사무원을 선점하기 위해 백방으로 수소문 하고 있으나 20여명 밖에 모집하지 못했다. 다른 후보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이번 선거에서 군수와 도의원. 군의원까지 한꺼번에 선거가 치러지는 만큼 선거운동을 함께할 선거사무원들도 많이 필요하다. 지역 인구 등의 지역적 한계만 봐도 선거사무원들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 특히 지난 2010년 이후 계속된 선거법위반 혐의로 벌금 등을 받은 이들이 500명을 넘어서면서 이들 대부분이 선거운동을 할 수 없거나 기피하고 있어 사실상 선거판에 끼어들려는 이들을 찾을 수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선거사무원을 구하지 못하는 일부 후보들은 가족과 지인은 물론 인근 생초면. 인월·아영면 등에서 선거사무원 충당을 모색하고 있다. 한편 이번 선거에서 함양군수의 경우 1억1800만원. 도의원은 4800만원. 군의원 가 선거구는 4100만원. 나 선거구와 다 선거구는 3900만원. 비례대표의 경우 4000만원 이내로 선거비용이 제한된다. 예비후보자 홍보물 발송 수량은 군수와 도의원은 각각 1914부. 군의원 가 선거구는 947부. 나 선거구는 438부. 다 선거구는 529부로 확정됐다. 하회영 기자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