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遵禮篇(명심보감 준례편) 2. 군자에게 용맹만 있고 예의가 없으면 세상을 어지럽게 하고 소인에게 용맹만 있고 예의가 없으면 도둑이 될 것이니라. - 공자 -   <원문原文> 子曰(자왈). 君子有勇而無禮(군자유용이무례)면 爲亂(위란)하고 小人(소인)이 有勇而無禮(유용이무례)면 爲盜(위도)니라. <해의解義> 앞장과 맥락이 같은 글로 역시 예의의 소중함을 재삼 강조하고 있다. 군자란 범사에 예와 명분에 맞게 정도를 가는 인물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한 군자가 용맹만 있고 예의가 없다면 행동이 거칠어져 세상을 어지럽게 만들고 소인이 용맹만 있고 예의가 없다면 도리를 모르므로 도둑이 되기 쉽다. 용맹과 예가 조화를 이루는데서 훌륭한 인간이 도리 수 있으며 따라서 큰 사업을 이룩할 수 있는 것이다. 3. 조정에서는 벼슬만한 것이 없고 향리에서는 나이가 많은 것보다 더 나은 것이 없으며 나랏일을 잘하고 백성을 잘 다스리는 데에는 덕만한 것이 달리 없느니라. - 증자(曾子) -   <원문原文> 曾子(증자) 曰(왈). 朝廷(조정)에 莫如爵(막여작)이요 鄕黨(향당)엔 莫如齒(막여치)요 輔世長民(보세장민)엔 莫如德(막여덕)이니라. <해의解義> 덕의 중요성을 강조한 글이다. 조정에서는 무엇보다 벼슬의 서열이 가장 중요하다. 마을에서는 가장 나이가 많은 연장자가 웃어른이 된다. 그것과 마찬가지로 백성을 잘 살게 하고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데는 덕이 가장 소중한 것이다. 공자는 ‘군자의 덕은 바람이요. 소인의 덕은 풀과 같다. 풀은 바람이 불면 반드시 바람에 쓸려 따르게 마련이다’라고 했다. 공자의 이 말씀 역시 백성을 이끄는 데는 덕만한 것이 없음을 강조한 글이라 할 것이다. 좌구명은 ‘덕이 없는데도 복종하는 자가 많으면 반드시 스스로 멸망하고야 만다’는 경고를 보내고 있기도 하다. <주註> 曾子(증자) : 중국 춘추(春秋)시대 노나라의 사상가. 본명은 증참(曾參)이며 증자는 그를 높여 일컫는 말임. 공자(孔子)의 제자로서 효행이 높았다. 안회(顔回). 자사(子思) 및 맹자와 더불어 사성(四聖)으로 일컬어진다. 鄕黨(향당) : 마을. 齒(치) : 나이. 輔世(보세) : 세상을 돕는 것. 나랏일을 잘 하는 것. 長民(장민) : 백성을 잘 살 수 있게 이끌어 나가는 것.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