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최근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은 지역에 대한 응급복구와 실종자 수색, 주민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는 지난 7월22일 오전 도청 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호우 피해상황 및 복구계획 점검회의’를 열고, 피해 복구를 도와 시·군의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을 강조했다.박완수 경남지사는 회의에서 “피해 상황을 재난안전관리시스템(NDMS)에 철저히 입력해 국고지원에 차질이 없도록 하고, 복구가 시급한 지역부터 장비와 인력을 집중 투입하라”고 지시했다. 이어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대피 체계를 사전에 정비하고, 이재민의 일상 회복이 지연되지 않도록 응급복구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경남도는 현재 산청, 합천, 의령 등 피해가 큰 지역에 하루 평균 도청 인력 150여 명을 투입하고 있으며, 22일부터는 시·군 공무원 310여 명도 산청 지역 복구 지원에 나선다.도는 긴급 재정 지원에도 나섰다. 도 특별조정교부금 20억 원이 산청(10억), 합천·의령(각 3억), 진주·창녕·함양·함안(각 1억) 등 7개 시·군에 배정됐다. 이와 함께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 25억 원도 진주, 의령, 창녕, 산청, 합천 등에 각각 5억 원씩 지원될 예정이다. 특히 함양군은 도의 특별조정교부금 지원 대상에 포함되면서 복구 작업에 필요한 재원 확보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도에 따르면 도내 공공시설 741건(도로 292건, 하천 90건, 산사태 109건 등), 주택 674호, 농경지 4263ha 등 피해가 집계됐으며, 이 가운데 도로 피해 89%(261건), 하천 피해 32%(29건), 산사태 피해 17%(18건)는 복구가 완료됐다.정전과 통신 장애 복구도 진행 중이다. 정전 피해 8358세대 가운데 97%(8128세대)가 복구됐고, 이동통신 중계기 1525개소 중 91%(1,382개소)는 장애 조치가 마무리됐다.한편 정부는 경남 지역 가운데 산청과 합천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지난 7월21일 이재명 대통령이 산청을 방문한 가운데, 실종자 수색과 실질적 복구를 위해 최대한의 인력과 장비 지원을 지시하며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언급한 바 있다.경남도는 공공시설 피해는 지난 7월27일까지 조사를 완료했으며 사유시설은 7월30일까지 조사를 완료하도록 시·군에 요청한 상태다. 도는 소규모 피해까지 누락 없이 등록해 국고지원이 차질 없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