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집중호우로 삶의 터전이 무너진 산청과 합천. 그러나 마을 곳곳에서 수천 명의 손길이 모이며 진흙 속에서도 희망이 움트고 있다. 정부는 7월22일 산청·합천을 포함한 6개 지자체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고, 정당과 국회, 시민사회가 빠르게 복구 지원에 나섰다.
7월16일부터 닷새간 이어진 폭우로 산청군과 합천군 곳곳이 침수되고, 산사태와 토사 유출 피해가 속출했다. 이후 21일에는 함양군 청년봉사단과 거창 지역 당원들이 구호물품을 지원했고, 22일에는 산청 현장에서 침수 주택의 토사 제거와 살림살이 정리에 구슬땀을 흘리는 봉사활동이 시작됐다.
23일에는 경남도당 소속 자원봉사자 37명과 함양 상림로타리, 중앙위원회 회원들이 산청 전역에서 복구 작업에 힘을 보탰고, 한국수력원자력 사회봉사단 40명과 경남도청 공무원 140명도 합류했다.
자원봉사 열기는 날이 갈수록 확산됐다. 24일에는 산청군 신등면과 차황면, 시천면 일대에서 전국 각지에서 모인 자원봉사자들과 군장병, 불교계 인사들까지 현장을 찾았다. 허리까지 차오른 진흙을 마다하지 않고 복구에 나서는 모습은 공동체의 따뜻한 연대를 실감케 했다.
정치권에서도 자발적인 참여가 이어졌다. 국회에서는 여야를 막론하고 수해 복구에 뜻을 모았으며, 각 지역구에서는 자원봉사단을 조직해 피해 현장에 투입하고 있다. 오는 26일에는 복구 활동이 합천으로 확대될 예정이며, 다수의 국회의원실에서 소속 당원들이 마을 복구 작업에 동참할 계획이다.
신성범 의원(국민의힘, 산청·함양·거창·합천)은 “이번 수해는 우리 지역에 큰 상처를 남겼지만, 전국에서 모인 수많은 손길이 산청과 합천을 따뜻하게 감싸주고 있다”며 “땀 흘려 복구에 함께 해주신 자원봉사자들과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전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