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든 무더위 속에서, 우리는 뜨거운 햇빛을 피하기 위해 에어컨을 웁니다. 에어컨에서 나오는 시원한 바람 덕에 이런 더위를 피할 수 있지만, 사실 이 에어컨에서 나오는 바람도 우리를 위험에 빠트리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여름날 모두에게 떼려야 뗄 수 없는 에어컨의 위험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여러분, 혹시 ‘냉방병’을 들어보셨나요? 오래전부터 여름철마다 뉴스에 나왔기에 아시는 분들도 있으실 겁니다. 냉방병은 신체 기능이 여름 온도에 적응된 상태에서 지나치게 차가운 한랭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우리 몸이 기온 차이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자율신경계 이상 반응인데요. 냉방병이 의학적 병명은 아니지만,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포함해 다양한 불편함을 주는 증후군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여름 감기로도 불리는 냉방병은 더운 여름철 실내에서 장시간 에어컨을 사용하면서 신체가 실내와 실외 온도 차에 적응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호흡기가 건조해지거나 에어컨에서 배출될 수 있는 세균 감염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또 냉방병은 말초 혈관의 급속한 수축을 동반한 혈액 순환의 이상 및 자율신경계 기능의 변화를 일으켜 감기 증상, 근육통, 복통, 두통 등 다양한 증상들을 일으키는데요. 이는 고혈압, 당뇨병, 심폐 기능 이상, 관절염 등 만성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취약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그러나 앞에서 말했던 것처럼, 냉방병은 어떤 질병을 가리키는 용어가 아닌 유사한 증상들을 나타내는 여러 질환군을 총칭하는 증후군의 일종입니다. 그렇기에 냉방병은 우리가 작은 예방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이겨낼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실내와 실외의 온도 차이입니다. 실외의 온도와 5도 이상 차이 나지 않도록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찬 바람이 직접 몸에 닿지 않도록 위치를 조절해야 합니다. 찬 바람이 직접 몸에 닿으면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혈관이 수축돼 혈액순환이 나빠지며 자율신경계가 혼란을 일으켜 냉방병 증상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바람의 위치를 설정하기 어려울 때는 겉옷을 입거나 담요를 사용해 체온을 유지하고, 물을 충분히 마시며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방법도 있습니다.우리에게 좋은 이득을 주고 있다고 느꼈던 에어컨이 사실은 우리의 건강을 더욱더 해치는 냉방병을 주고 있었습니다. 만약 여러분들도 지금 에어컨을 켜고 계시다면, 실외와 실내 온도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한 번씩 확인해 보는 건 어떨까요? 이번 기회에 냉방병 하나가 우리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 만큼, 이제는 에어컨을 켤 때 각별히 주의해야 하지 않을까요?   이 기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사업 보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