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1일, 지역신문발전기금 우선지원신문사 주간지협의회는 정부·지자체 광고대행수수료를 지역방송에만 지원하는 방안을 강하게 비판하며, 해당 재원을 지역신문과 지역방송에 균등하게 출연할 것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번 성명은 21대 대선 공약이었던 ‘지역 중소방송사 지원 확대’와 ‘광고제도 개선을 통한 제작 지원’이 새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될 예정이라는 소식에 따른 대응이다. 특히 국정기획위원회가 지역 중소방송사 지원 재원을 정부·지자체 광고대행수수료로 충당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며, 지역 언론계 전반에 깊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지역신문은 지역방송보다 매체 수는 많지만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지역방송만을 위한 기금 신설은 불균형한 정책이며, 지역신문의 존립을 위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언론은 지역방송과 지역신문이 함께 꾸려온 민주주의의 풀뿌리 기반”이라며 “공적 재원인 광고대행수수료는 지역신문과 방송에 동등하게 배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지원방안은 지역방송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지역신문은 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사실상 소외되고 있는 상황이다. 협의회는 이를 “역차별적 정책”으로 규정하며, 지역 미디어 생태계 전반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성명서 말미에서 협의회는 ‘정부·지자체 광고대행수수료의 지역신문·방송 기금 균등 출연’, ‘지역미디어에 대한 차별 없는 지원 원칙의 국정 로드맵 반영’, ‘지역신문발전기금 재원의 정부 예산 출연 지속’ 등 세 가지 핵심 요구사항을 제시하며, 새 정부의 책임 있는 대응을 요구했다.
지역신문발전기금 우선지원신문사 주간지협의회는 “지역신문과 지역방송이 함께 성장할 때 비로소 진정한 지역 미디어 생태계가 구축될 수 있다”며, 공정하고 균형 잡힌 지역 언론 지원정책의 마련을 거듭 촉구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