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군민들에게 상림공원이란 휴식처이며 고향의 향수를 전하는 곳이다. 고운 최치원 선생에 의해 만들어진 상림공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그의 업적이며 유산이기도 하다. 시대를 잘 못 만난 비운의 천재로 묘사되는 최치원 선생이 천년이 지난 현재 한중 양국을 잇는 문화 아이콘으로, 그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정치이념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최치원 선생의 유물과 행적이 남아있는 지자체들이 앞 다퉈 ‘최치원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최치원 선생 관련 유적이 300여 곳 이상 되는 것으로 파악될 정도로 수많은 지자체에 그의 흔적이 남아있다. 고운 최치원 선생의 발자취를 쫓으며 각 지자체들의 최치원 마케팅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글 싣는 순서>1. 최치원 그의 삶과 길2. 최치원 도시연합의 중심 경주시3.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곳 – 군산시·정읍시4.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곳 - 문경시·의성군5.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곳 - 합천군·창원시6. 함양 상림공원과 최치원 역사공원우리나라 곳곳에 남아있는 고운 최치원 선생의 흔적들. 그 중에서도 이번에는 그가 말년을 보냈던 합천군과 창원시 지역 유적들을 찾았다. 합천군은 최치원 선생의 흔적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지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가야산 해인사 일대는 그의 마지막 자취가 남은 곳으로 곳곳에 그의 유적이 남아 있다.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지은 가야서당, 그의 둔세시 칠언절구 한수가 새겨져 있는 제시석과 후대에 세워진 농산정, 최치원 선생이 초막을 짓고 살던 고운암, 학사대, 길상탑 등 해인사 인근 유적들이 즐비하게 남아 있다. 창원은 최치원 선생이 별장을 짓고 학문을 연마하면서 마음의 상처를 치유했던 곳이다. 그 중 대표적인 곳이 월영대로 최치원 선생의 친필고비가 남아 있다. 또 최치원 선생의 영정과 선생이 13세 때 썼다고 전해지는 필적이 봉안되어 있는 두곡영당, 무학산의 고운대, 전설이 전해지는 돝섬 등이다. 모두 옛 빼어난 절경을 자랑하던 곳으로 그가 근심을 벗어던지고 자연과 함께하며 후학을 길렀던 장소들이다. 합천 가야산에서 신선이 되다고운 최치원 선생이 마지막을 보낸 곳이 바로 합천 해인사다. 이곳을 찾았을 때는 억수같은 비가 쏟아져 바로 앞도 분간하기 힘들 정도였다. 어렵게 차량을 운전해 요금소를 지나 해인사 일주문 앞에 서자 언제 그랬냐는 듯 비가 그쳤다. 해인사 최치원의 유적은 일주문 전 약 50m 전방에 위치한 길상탑(吉祥塔)이다. 보물 1242호로 지정된 이 탑의 첫 번째 지석 앞면에는 ‘해인사묘길 상탑기’가 기록되어 있는데 최치원 선생이 지은 것이다. 상탑기에는 ‘진성여왕 9년(895) 7월 전란에서 사망한 원혼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3층 석탑을 세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길상탑을 거쳐 일주문을 지나면 비로소 최치원 선생이 말년을 보냈던 해인사 경내로 들어선다. 팔만대장경을 봉안하고 있는 법보사찰로 더욱 많이 알려진 해인사는 최치원 선생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해인사 대적광전 오른편 독성각 옆 학사대(學士臺)는 최치원 선생이 시서에 몰입하던 곳으로 그가 이곳에서 가야금을 연주할 때 수많은 학이 날아와 경청했다고 한다. 학사대란 이름은 최치원 선생의 벼슬 신라 한림학사에서 따온 것이다. 학사대는 없어지고 지금은 그가 지팡이를 거꾸로 꽂았는데 이것이 자라 전나무가 됐다는 전설의 나무 학사대 전나무가 남아 있다. 천연기념물 541호로 지정된 이 전나무는 가지가 아래로 쳐져 거꾸로 자라는 것처럼 보여 지팡이를 거꾸로 꽂았다는 것을 증명하는 듯하다. 고운 최치원 선생이 속세를 떠나면서 지은 ‘입산시’다. 僧乎莫道靑山好 (승호막도청산호) 스님네여 청산이 좋다고 말하지 마소. 山好何事更出山 (산호하사갱출산) 산이 좋다면서 왜 산 밖으로 나오려고 하시는가? 試看他日吾踪跡 (시간타일오종적) 훗날 내가 어찌하는지 두고 보소. 一入靑山更不還 (일입청산갱불환) 나는 한번 청산에 들어가면 다시는 나오지 않으리라.해인사 부속 암자인 고운암(孤雲庵)은 최치원 선생이 초막을 짓고 살던 곳이다. 이곳은 해인사 서쪽 방향 해발 약 860m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인초등학교 교문 오른편방향으로 올라가면 고운암을 만날 수 있다. 고운암은 현재 법당으로 사용되며 1974년 건립한 것이다. 해인사내 최치원 유적을 뒤로 하고 홍류동 계곡을 따라 차로 약 5분가량 내려오면 만날 수 있는 곳이 농산정(籠山亭)이다. 폭우가 쏟아져 내린 계곡은 누런 흙탕물이 급류가 되어 무섭게 흘러내리고 있었다. 계곡 건너편 농산정으로 가는 길은 구름다리가 놓여 있어 아찔한 급류를 건널 수 있었다. 농산정은 최치원 선생이 은거 생활을 하던 당시에 글을 읽거나 바둑을 두며 휴식처로 삼았던 곳이다. 농산정 맞은편으로는 그가 가야산에 머물며 후진을 양성했던 가야서당(伽耶書堂)이 있다. 가야서당의 오른쪽 뒤편으로는 1940년 최치원이 가져온 화상(畵像)을 봉안하기 위해 이건한 학사당이 있다. 최치원 선생은 말년을 이곳 해인사에서 머물며 시름을 잊고 시를 짓고 후학을 길러냈다. 해인사에는 그의 모형(母兄)인 승려 현준(賢俊)이 있어 지친 마음에 안식을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선경에 반해 머물렀던 창원최치원 선생은 유독 합포(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 오랜 기간 머물렀다. 아름다운 해변을 거닐고, 해변가에 당을 쌓고 후학을 양성했으며, 산 정상에 올라 아름다운 경치를 바라본 곳이 바로 합포다. 창원에도 많은 최치원 선생 관련 흔적들이 남아 있다. 제자들을 가르쳤던 월영대, 최치원 선생 영정을 모신 두곡영당, 최치원 전설을 품은 돝섬, 마산 해변이 바라보이는 고운대 등이다. 경남대 앞에 위치한 월영대(月影臺)는 달이 비치는 대(臺)란 뜻으로 제자들을 가르치며 칩거한 곳이다. 약 2m 높이의 담으로 둘러싸인 건물 내부에는 전각 1채와 비석이 남아 있다. 전각 앞 높이 2.1m의 비석에는 월영대(月影臺)라는 최치원 선생이 직접 각석했다는 글이 남아 있다. 약 20평 남짓한 크기의 공간은 현재 좌우로 4~5층 높이의 건물이 앞으로는 도로가 나면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지나칠 수 있을 정도로 협소하게 변했다. 그 옛날 아름다운 해변과 달 그림자 속의 운치는 찾아 볼 수가 없다. 마산회원구 두척동에 자리 잡은 두곡영당(斗谷影堂)은 최치원 선생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고운 선생을 존경하는 후학들이 1713년(숙종 39년)에, 지금 경남대 법정관 자리에 ‘월영서원’을 세워 선생을 기리고 제자들을 가르쳤습니다. 월영서원은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따라 훼손됐지만, 훼손된 서원을 경주최씨 두곡 문중에서 1902년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척동에 ‘두곡영당(斗谷影堂)’을 다시 지어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두곡마을에 자리 잡아 두곡영당으로 일컬어지는 것 같은데 굳게 문이 잠겨있고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합포만 앞바다에 놓여 있는 섬이 바로 돝섬, 돝은 돼지의 옛말로 저도(猪島)라고도 불린다. 이곳에는 최치원 선생과 관련된 전설이 내려온다. 최치원 선생이 창원에 머물고 있을 때 돝섬에서 밤마다 돼지 우는소리와 함께 이상한 광채가 일었다. 최치원이 한밤에 그 괴이한 현상을 보고 화살을 쏘자 광채가 두 갈래로 갈라지며 사라졌다. 이튿날 최치원이 섬으로 가 화살이 꽂힌 곳에 재를 올렸다. 그러자 다시는 그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한다. 돝섬과 마주한 무학산은 마치 학이 춤추듯 날개를 펴고 나는 형세와 같다며 최치원 선생이 이름 붙였다는 설이 있다. 해발 760m 무학산 중턱 397m에 최치원 선생이 유람하며 수양했던 고운대(孤雲臺)를 찾을 수 있다. 고운대 정면으로는 마산 시내와 함께 마산만이 한눈에 들어온다. 창원에는 이 외에도 진해구 웅동면 가동리란 한적한 바닷가에 청룡대(靑龍臺)란 최치원 선생의 친필이 남겨져 있다. 이곳은 최치원 선생이 낚시를 하며 소일하던 곳이다. 6두품이라는 신분의 한계에 절망하고, 변하지 않는 신라 지배층에 대한 환멸 속에서도 멸망해가는 신라의 안타까움을 바라만 봐야 했던 최치원의 모습이 그려진다. 합천군과 창원시의 최치원 마케팅합천군은 가야산과 해인사를 중심으로 최치원 선생의 유적답사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중국 현지 마케팅에 나섰다 최치원 선생이 학문을 집대성한 뒤 말년을 보낸 곳이 가야산 일대여서 곳곳에 그가 남긴 시와 유적, 전설이 많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고운 최치원 선생과 관련해 합천이 가진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관광 상품화에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고 판단, 이를 활용한 관광 마케팅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창원시는 보다 적극적으로 최치원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우선 시 차원에서 고운 최치원 관광콘텐츠 조사와 관광상품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최치원의 길을 조성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이다. 최치원의 길은 최치원이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월영대에서 시작해 무학산 고운대(학봉)~무학산 둘레길~서원곡 유원지~창원시립 마산박물관~창원시립 마산문학관까지 이어지는 7.9㎞ 탐방 길이다. 경남대학교에서는 지난해 고운학 연구소를 설립, 최치원 선생의 학문을 체계적으로 연구 보급하기로 했다. 그동안 고운 선생의 발자취를 재구성해 문화 상품화하는 움직임은 있었지만, 대학에서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해 학문화하는 움직임을 보인 곳은 경남대가 처음이다. 민간단위에서도 최치원기념사업회가 발족하며 고운 최치원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할 계획이다. 강대용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 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