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군민들에게 상림공원이란 휴식처이며 고향의 향수를 전하는 곳이다. 고운 최치원 선생에 의해 만들어진 상림공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그의 업적이며 유산이기도 하다. 시대를 잘 못 만난 비운의 천재로 묘사되는 최치원 선생이 천년이 지난 현재 한중 양국을 잇는 문화 아이콘으로, 그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정치이념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최치원 선생의 유물과 행적이 남아있는 지자체들이 앞 다퉈 ‘최치원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전국적으로는 최치원 선생 관련 유적이 300여 곳 이상 되는 것으로 파악될 정도로 수많은 지자체에 그의 흔적이 남아있다. 고운 최치원 선생의 발자취를 쫓으며 각 지자체들의 최치원 마케팅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글 싣는 순서>1. 최치원 그의 삶과 길2. 최치원 도시연합의 중심 경주시3.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곳 - 군산시·정읍시4.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곳 - 문경시·의성군5. 최치원의 자취가 서린 곳 - 합천군·창원시6. 함양 상림공원과 최치원 역사공원최치원 선생의 행적은 우리나라 곳곳에 남아 있지만 전라북도 정읍시는 최치원이 첫 외직(外職)으로 태산군수로 부임받아 지역민의 지극한 숭모의 대상이 된 지역이며, 군산은 최치원의 출생설화와 지역유림의 배향(配享) 활동이 가장 많이 남아있는 지역이다.첫 부임지 태산군에서 선정을 베푼 그를 기리기 위한 많은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있다. 특히 그가 다른 지역으로 부임한 이후에는 생사당을 짓고 그를 추앙했을 정도로 정읍지역은 그를 기리는 여러 유적들이 남아 있다. 그의 흔적으로는 그를 배향한 무성서원, 유상곡수연을 즐긴 유상대, 시를 읊었던 호남제일정자 피향정 등이 중요 유적으로 남아있다.군산시는 최치원 선생의 출생설화가 깃든 곳이다. 신시도 월영대와 옥구향교 내 자천대, 문창서원, 충현단, 옥상원 등이 대표 유적으로 꼽힌다.정읍시와 군산시 모두 최치원 선생과 관련된 유적을 정비하고 고운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정읍에서 뜻을 펼친 최치원 정읍 무성서원은 최치원을 배향한 전북 제일의 서원으로 그의 영정이 모셔져 있는 곳이기도 하다. 또 피향정은 최치원이 태산군수로 재임 중 세웠다고 전하는 호남제일의 정자이다. 그는 886년(헌강왕 1년) 첫 부임지였던 정읍시(현 칠보·태인·산내면 일대)를 돌보는 태산(泰山)군수로 재임하면서 애민정치를 펼쳤고 치적이 뛰어나 많은 백성들에게 존경과 추앙을 받았다. 그가 8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떠나게 되자 많은 이들이 이를 아쉬워하여 그를 기리기 위해 생사당(生祠堂)을 세워 태산사(泰山祠)라 하였다. 살아있는 사람을 기리는 사당인 생사당을 지었을 정도이니 최치원을 떠나보내는 아쉬움이 얼마나 컸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삼국사기와 신증동국여지승람 기록을 살펴보면 최치원 선생이 태산군 태수로 부임한 배경과 그 전후에 관한 일대기가 실려 있다. 정읍시에서 최치원 선생의 흔적이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곳이 바로 무성서원이다. 무성서원은 신라 때 태산현 군수를 지내면서 많은 치적을 남긴 고운 최치원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원래 태산서원이라고 불렸으나 이후 숙종 22년(1696년)에 ‘무성’(武城)이라는 사액을 받아 무성서원이 됐다. 무성서원은 사적 제166호로 지정돼 있으며, 사우는 1884년에 중수한 것으로 정면 3칸과 측면 3칸에 홑처마 맞배 기와지붕으로 돼 있다. 최치원을 주벽(主壁)으로 하여 좌우에 신잠·정극인·송세림·정언충·김약묵·김관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입구에는 홍살문이 있고, 비각, 현가루, 강당 등도 있다. 무성서원이 무엇보다 가치있는 것은 주벽으로 모신 최치원 선생의 영정이 보관된 것이다. 1831년 무성서원에서 제작한 영정의 보존 처리를 위해 1967년 국립 중앙박물관으로 옮겨진 뒤 돌아오지 못했다. 정읍시는 1992년부터 수 차례 반환을 요구했으나 이를 증명할 관련 서류가 사라져 지금까지 미뤄져 오다 지난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대여 형식으로 돌려받아 정읍시립박물관에 보관중이며 무성서원에 모신 것은 이의 영인본이다. 당초 무성서원에 보관돼 있던 최치원 초상화는 △1784년 하동 쌍계사에서 이관한 1점(고려시대 제작 추정) △무성서원에서 1831년께에 제작한 1점 △1924년 석지 채용신이 모사한 1점(현재 정읍 시립박물관에 기탁 보관) 등 모두 3점이다. 이 가운데 고려시대와 1831년 초상화는 문화재 지정과 보존처리를 위해 1967년 문화재 위원 김상기(당시 무성서원 원장)와 최순우 선생에 의해 국립 중앙박물관으로 옮겨졌으나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다. 이후 1831년 초상화는 현재 국립 중앙박물관에 보관돼 있으나 다른 한 점은 지금까지도 행방이 묘연한 상태이다. 무성서원 인근에는 최치원 선생이 흐르는 물에 술잔을 띄워 자기 앞에 당도할 때까지 시를 지어 잔을 들고 읊은 후 다음 사람에게 잔을 띄워 보내는 풍류놀이인 유상곡수연을 즐긴 유상대가 있 다. 현재는 그 흔적조차 남아있지 않지만 칠보면 시산리 고운천변에 있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유상대는 시를 짓고 담소하며 술을 마시던 당시 선비들이 놀이터로 마치 신라의 포석정처럼 유상곡수(流觴曲水)의 놀이터를 만들어 놓고 대(臺)를 만들어 유상대라 일컬었다. 유상대 자리는 현재 폐허가 되고 나중에 세운 ‘감운정(感雲亭)’이라는 정자만이 남아있다. 정읍시에서는 2005년 유상대 발굴을 위한 조사를 펼쳤으나 흔적을 발견하지 못했다. 현재는 감운정과 함께 유상대비가 남아 이곳이 유상대 유적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최치원이 태인현감으로 재임 중에 새웠다고 전해지는 피향정이 있다. 보물 제 289호로 지정된 피향정은 조선 시대에 여러차례 중건되면서 조선 중기의 목조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정자의 하나이다. 정면 5칸 측면 4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의 건물이라서 그런지 다른 정자에서 볼 수 없었던 깊고 웅장한 기품이 느껴졌다. 정면에는 피향정이라는 편액이 보인다. 원래 상연지 하연지라고 하여 양 위 아래로 두 개의 연못이 있었는데 여름이면 연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연꽃의 향기가 만연하여 이름을 ‘피향정’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현재는 아래쪽 연목, 즉 하지만 남아있다. 상지의 경우 일제강점기 적산가옥을 메워졌다고 한다. 최근 정읍시에서는 상지 복원을 거론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따른다. 8년간 태인군에 머물며 선정을 펼친 최치원 선생. 정읍시는 최근 그의 흔적을 따라 최치원과 관련된 스토리텔링 사업에 착수했다. 이제 시작지점이지만 최치원의 풍류문화를 구체화함으로써 관광산업을 신규 발굴할 방침이다. 출생의 비밀이 담긴 군산시 최치원 선생의 출생지는 경주와 군산, 부산 등 여러 설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 근거가 명확한 것이 경주시로 신라 문성왕 19년(857년) 경주 사량부에서 최견일의 아들로 태어났다라는 근거가 남아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설, 즉 최치원 출생의 비밀이 담긴 여러 가지 설화 등을 근거로 할 때 그의 출생지는 경주가 아닌 군산일 가능성이 높다. 군산 내초도 금돈시굴(金豚始屈), 선유도 금돈치굴이 최치원의 군산(옥구) 탄생설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경주 최씨의 시조는 최치원 선생으로 그에 대한 기이한 전설이 내려온다. 원래 경주 최씨의 시조는 금빛이 나는 돼지(金豚)에서 낳았다 하여 일명 ‘돼지최씨’라고 불리어 온다. 이것은 단군이 곰에서 낳았다는 전설이나 신라 시조 박혁거세가 박속에서 낳았다는 설화 등과 함께 경주 최씨도 중요한 민족 설화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최치원 선생 자체가 전설상의 인물이 아니며, 또 군산의 금돈시굴이 아직도 그 흔적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그의 고향이 군산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군산 신시도 월영대는 고군산열도가 바라다 보이는 조망권을 가지고 있으며 최치원이 단을 쌓고 글을 읽으며 깨달음을 얻은 장소라고 전해지는 곳이다. 옥구향교 내에 있는 자천대는 최치원이 올라 글을 읽었는데 중국까지 들렸다고 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아울러 최치원을 배향한 문창서원, 현충단, 옥산서원도 함께 남아 있어 중국과 관련된 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옥구향교는 1403년(태종 3) 옥구읍 이곡리(耳谷里)에 창건되어, 1646년(인조 23) 지금의 위치로 이전했다. 향교 내에 대성전, 명륜당 등의 전각과 외삼문, 내삼문, 교직사 등이 있다. 옥구향교 내에는 단군성묘(檀君聖廟)가 있고, 단군성묘 옆으로 최치원의 영정이 봉안된 문창서원(文昌書院), 고운 최치원이 글을 읽으며 지냈다는 자천대, 양사재 뒤쪽의 세종대왕 숭모비와 비각 등이 있다. 자천대(紫泉臺)는 옥구현 서쪽에 위치한 하제 포구 인근 바닷가의 바위산 이름으로 바위산 옆 연못빛깔이 항상 붉어 붙인 ‘붉은 연못가의 바위산’이라는 뜻이다. 1934년 일제 강점기 비행장 확장공사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자천대의 2층 누정을 당시 유림들과 옥구 군수가 나서서 옥구향교로 이전하였고 이때부터 경현제 혹은 자천대로 불렀으며 1967년 현재의 장소로 이전하였다. 자천대는 최치원이 소년 시절에 무관으로 내초도의 수군장으로 부임한 아버지를 따라와 살던 곳인데, 이 곳 정자에서 글 읽는 소리가 당나라까지 들려 사신이 건너와 그를 데리고 갔다는 전설이 전하고 있다. 특히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돌아왔을 때 세상의 인심이 어지럽고 어수선하자, 자천대에 올라 책을 읽으며 근심과 걱정을 달랬다고 하며, 동국여지승람에는 ‘자천대는 서해안에 위치하여 지형은 넓고 평평하며, 샘과 돌이 가히 즐길 만 하다. 세상에 전하기는 최치원이 놀던 곳이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옥구향교에서 우측으로 50여 미터를 가면 옥산서원이다. 1929년 건립된 옥산서원은 최치원 선생을 비롯하여 옥구지역의 문무(文武) 및 충효(忠孝)에 특출한 선현(先賢) 14분을 배향하고 있으며, 사당인 옥산원, 강당, 내삼문, 원직사, 외삼문 등을 갖추었다.전북의 최치원 마케팅전라북도 곳곳에서 발견되는 최치원 관련 주요 유적만 해도 16개소에 이른다. 전북도는 최치원 설화와 유적지를 발굴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요 유적지에 대한 안내판 설치 등을 완료했다. 정읍시는 최치원 마케팅을 위해 그의 영정을 국립박물관으로부터 영구 임대 형식으로 돌려받았다. 또한 정읍시는 최치원을 배향(配享)한 무성서원, 그가 머물렀던 피향정, 태인동헌과 향교 등 선비문화 유산들이 흩어져 있어 최치원을 재조명해 이 일대를 ‘인문·정신문화’의 중심지로 가꾸려고 개발계획을 수립 중이다. 군산시도 최근 최치원 마케팅에 본격 나섰다. 한 사회단체가 내초도 공원의 명칭을 최치원 탄생공원으로 개명해야 한다는 세미나를 마련해 주목을 받고 있다. 새만금에 ‘최치원’이라는 문화콘텐츠를 입혀 관광자원화해야 한다는 배경에서다. 내초도 공원의 명칭을 최치원 탄생공원으로 개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시도에 최치원에 관한 각종 조형물을 조성하고, 관광객들에게 최치원에 관한 각종 일화를 스토리텔링화해야 한다는 것이다.강대용 기자이 취재는 경상남도 지역신문발전지원 사업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