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리도 아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언론과 기업에 시민사회단체까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백가쟁명식 해법들을 쏟아내고 있다.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실질적이고 창조적인 해결책도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대안 하나를 제시한다. 기존의 ‘한국농어촌공사’를 ‘한국농산어촌살림공사’로 바꾸자!알고 보면 농산어촌의 출생률이 도시보다 높다. 상대적으로 넉넉한 공간과 쾌적한 자연환경 그리고 40만가구에 이르는 다문화가정까지, 농산어촌이야말로 출생률을 높일 수 있는 훌륭한 기회의 공간이다. 과밀한 도시 인구를 받아들일 공간 역시 농산어촌밖에 없다. 이런 농산어촌이 무너지면 우리나라 출생률은 0.7은커녕 0.5도 사수하지 못할 것이다. 정부가 최근 ‘저출생’ 대책을 연이어 발표하고 있지만 이런 농산어촌에 대한 배려는 도시에 비해 오히려 부족하다. ‘한국농어촌공사’라는 공기업이 있다. 공사 누리집에는 ‘국민의 먹을거리 생산기반을 확충하고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에 주도적인 역할을 해온 농정 최일선 기관’으로 소개하고 있다. 다시 말해 ‘농어촌 자원의 효율적 이용·관리와 가치 증진을 통해 농어업의 경쟁력 강화와 농어촌의 경제·사회·환경적 발전에 기여’하는 기관이라는 것이다. 바로 이 기관을 리모델링해 농산어촌도 살리고 저출생 문제도 해결해보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하고자 한다. 농어촌공사는 수리조합 시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100여년 역사 동안 중요한 일을 많이 했고 나름 성과도 있었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가장 뛰어난 성적을 받은 것으로도 알고 있다. 그러나 기실 현재의 농어촌공사는 이전에 비해 자체 예산도 많지 않고, 다른 공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급여와 승급 체계 등 여러가지 이유로 조직의 활력이 많이 떨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농어촌에는 농어촌공사가 직접 주관하거나 또는 지자체로부터 위탁받아 시행하는 사업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농촌협약이든 권역사업이든 농촌중심지활성화사업이든, 소위 ‘소멸 위기’에 처한 농어촌을 살려내는 데는 역부족으로 보인다. 콘텐츠 아닌 하드웨어 중심의 사업으로는 농어촌을 살릴 수 없다는 것이 이미 증명됐다. 이런 사업들은 ‘문명 전환’이라는 지금의 시대정신에 맞지도 않을뿐더러 출생률을 더 높이고 도시민들을 유입하는 대안공간으로서의 농어촌 만들기에는 더더욱 적합하지 않다. 이제 농어촌공사는 시급히 출구전략을 세워야 한다. 이참에 농어촌공사는 환골탈태해서 새로운 백년맞이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그래서 하는 말인데 ‘한국농어촌공사’를 ‘한국농산어촌살림공사’로 바꾸는 것은 어떨까. ‘농어촌’에 ‘산’을 넣어 ‘농산어촌’이라 하고 ‘공사’ 앞에 ‘살림’을 넣어 ‘농산어촌살림공사’라 하자. 이른바 ‘지방소멸’의 시대, 죽어가는 농산어촌을 되살리는 일을 하는 기관으로 탈바꿈시키자는 것이다. 농산어촌은 이제 생태적 삶의 구현공간, 도농상생의 융합공간, 그리고 무엇보다 공생공락의 공유공간으로 새롭게 조명돼야 한다. 식량안보와 기후대응, 출생률 제고의 첨병이 될 수 있는 농산어촌이 살아나야 대한민국이 지속가능할 수 있다. 이 절체절명의 과업 수행에 ‘농산어촌살림공사’가 앞장서야 한다는 것이다. 자꾸 조직이나 기구를 새로 만드는 것보다 이미 있는 것들을 잘 고쳐 쓰는 것이 최선일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15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