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역사에서 심각한 고문을 당했지만 그 고문을 통해 절개를 더욱 빛낸 이들이 여럿 있다. 대표적인 인물이 사육신(死六臣)과 삼학사(三學士)와 조선 숙종 때의 간관(諫官) 박태보(朴泰輔:1654~1689)와 독립운동가 김구(金九:1876~1949) 선생이다. 사육신은 성삼문, 박팽년, 이개, 하위지, 유성원, 유응부를 이른다. 그들은 단종의 자리를 뺏은 수양대군, 즉 세조를 밀어내고 단종을 복위시킬 것을 꾸미다가 발각되어 모진 고문 끝에 결국 죽은 사람들이다. 다음으로 들 수 있는 이들은 이른바 삼학사이다. 홍익한, 윤집, 오달제가 바로 이들인데, 이들은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항복하는 것을 반대하다가 중국으로 끌려갔다. 그곳에서 온갖 협박과 고문과 회유를 받았으나 굴복하지 않아서 끝내 중국 선양성 사문 밖에서 처형되었다. 박태보는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심한 고문을 받고 진도로 귀양 가던 도중에 고문후유증으로 죽었다. “전하께서 신을 죽이시려거든 머리를 바로 베십시오. 누가 감히 말리겠습니까. 받기 어려운 자백을 왜 꼭 받으려고만 하십니까. 신의 머리는 베실 수 있지만 자백은 받지 못하실 것입니다. 신이 전하를 위하여 말씀드리는데, 전하는 말씀과 기운이 너무 격하시고 위엄이 너무 급하여 밤새도록 과도하게 기운을 쓰고 계십니다. 신이 듣기로 분노와 기운을 과하게 내면 정신이 편치 못하다고 합니다. 구구한 신의 마음으로는 전하의 옥체가 상하실까 걱정이옵니다. 신이 어찌 감히 밝은 임금을 속여 거짓으로 자백을 하겠습니까. 엄한 형벌을 못 견디어 거짓으로 자백을 하고 저승에 돌아간다면 저승 사람이 틀림없이 신을 보고 비웃으며 ‘저 사람은 형벌을 못 견뎌 거짓 자백을 했다.’고 할 것입니다. 그러면 신이 그때 부끄럽지 않겠습니까. 서럽습니다. 신의 아비 나이가 60도 넘고 어미의 나이 70이라 매우 쇠하여 날마다 위태로운데, 자식이 되어 장차 부모의 얼굴을 영결하지 못하고 이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사사로운 정을 생각하면 부모의 은혜가 하늘처럼 끝이 없사오나 신은 이미 나라에 몸을 바쳤으니, 상소로 임금의 허물을 간하는 것은 신하의 마땅한 분수와 의리입니다. 다만 안타까운 것은, 전하의 오늘의 행동이 성덕에 크게 누가 되어 반드시 망국의 주인이 되리라는 것입니다.” 박태보가 형을 받는 소리를 듣고 궁궐문 밖에서는 “아까운 사람이 맞는구나. 충신이 죽는도다.”라는 소리가 들렸으며 오촌 조카 박필순은 “착하시도다. 우리 숙부여! 죽음에 임하여서도 마음을 바꾸지 않으시니 군자이십니다. 이번 일은 천하 후세에 전할 것입니다.”라고 탄식하기도 했다. 평소 박태보 집안과 서로 사이가 그리 좋지 않았던 노론의 대표적인 인물이었던 송시열도 희빈 장씨가 낳은 아들의 원자 책봉이 시기상조라며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탄핵을 받고 제주도로 유배를 가는 도중 박태보의 전말을 듣고 “대단하다 대단해! 그 덕분에 인륜과 기강이 땅에 떨어지지 않게 되었도다.”라고 탄식하기도 했다. 『조선왕조실록』은 공식 역사 기록이기 때문에 사실만 기록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관은 몇몇 기사 끝에 평을 덧붙일 수 있었다. 「인현왕후를 폐위하는 문제에 대해 박태보 등 86명이 연명으로 폐위의 부당함을 올린 상소를 본 숙종은 매우 노하여 그날 밤에 바로 친히 국문을 하는데, 이때의 상황을 적은 실록 기사 끝에 사관은 이런 평을 적었다. 뼈가 으스러졌지만 박태보는 임금의 노여움이 더 심해질수록 응대는 더욱 평온했고, 형벌이 혹독해질수록 정신이 선명하였으니, 진실로 절개 있는 선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화를 스스로 불러와 끝내 죽고 말았으니, 성세(聖世)의 누(累)가 됨을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당시 옆에서 모시고 있던 신하들은 모두 재상이나 대간이었는데도 임금의 노여움이 두려워 입을 다문 채 한마디도 하지 못했으니, 이런 사람들을 어디에 쓸 것인가.」라고 적고 있다. 이로부터 6년째 되는 해 숙종은 크게 뉘우치고 퇴출했던 인현왕후를 다시 궁으로 돌아오게 하시고 박태보를 충신으로 추증하게 되었으며 경종 3년(1723)에는 ‘문열(文烈)’이라는 시호(諡號)를 받고 영의정으로 추증되기도 했다. 백범 김구선생은 명성황후 시해 사건에 대한 원수를 갚겠다고 황해도에서 일본 군인을 살해한 죄로 주리를 트는 고문을 당하는 등 모진 고통을 겪었으나 재판정에서 일본인 재판관을 향해 호령하면서 그들이 우리나라를 빼앗고 우리 국모를 죽인 죄 등을 꾸짖을 뿐이었다. 국가적인 위기에 어떻게 처신할지 고민하는 게 어찌 숙종 때만의 일이겠는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